PUKYONG

중등 영어교사 심화연수의 효과, 개선방안 및 연수 후 효과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ntensive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 Based on the Class Observation,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사 심화연수의 운영에 대한 분석 및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수 참여 교사 24명을 대상으로 국내연수 및 국외연수에 관한 설문조사를 각 1회씩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다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연구자가 수업 관찰을 하였고, 연수 후 두 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내연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연수 목표와 방향, 교수 요목, 교재, 행정지원인력, 연수 지원, 강의 만족도, 연수 효과에 대해서는 연수생들에게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선을 요구한 분야는 수업 시수, 교수방법론, 평가, 연수생, 강사, 연수 환경 등이다. 국외연수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교재, 행정지원인력, 연수 지원, 강의 만족도 부분에서는 대체로 만족을 표하였으나 연수 목적과 교육과정, 교수방법론, 평가, 연수생, 강사 등에 대해서는 개선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강의 만족도와 연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국내연수와 국외연수에 대한 대략적인 평가는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와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관찰과 개별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개별 면담의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에서 한 교사는 연수에서 듣기·말하기 실력 향상 및 수업기법 향상을 기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 교사는 교사들 자체적으로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연수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수업관찰 내용에서 예시로 제시한 수업을 보면, 모의수업을 준비하고 발표 및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영어 사용 능력이 향상되었고, 동료 교사들에게서 수업기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어서 교사들의 요구에 부합되었고 교사들의 만족도가 높았던 수업이다. 국외연수의 수업관찰에서도 이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영어교사들은 교실수업에서 적용이 가능한 내용을 연수에서 배우기를 원하였고, 이는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수업의 내용이 교사들의 요구에 부합하지는 않았지만, 어떤 수업이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수업이며 강사들이 지향해야 할 방향인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이것은 향후 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교사들 서로에게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으며 이것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장려할 방안을 간구해야 하겠다.
개별 면담 결과에서도, 연수를 마친 후에 교실 수업을 할 때 수업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수업 준비를 하면서도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영어를 사용하는 것에 자신감이 생기고, 영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자극이 된다고 하였다. 교실영어를 자신감 있게 구사할 수 있는 것은 영어 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에 틀림없다.
교사의 영어능력은 영어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교사들의 영어능력 신장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송석요·이선, 2004). 본 심화연수를 통해 영어 사용에 대한 자신감이 증대되었고, 수업을 영어로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더불어 교사들의 수업 기법에 대한 아이디어가 다양화 되어 교실수업에서 사용할 활동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는 것으로 볼 때, 심화연수가 중등학교 영어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였다고 평가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nsive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in Busan, Korea. The question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 training program effective?
(2) Do the curricula of the training program satisfy teachers' needs?
(3) Does the training program have positive after-effects on teaching?
In order to obtain answers to the questions above, various data collecting techniques are used including the survey, the class observation, and the interview. Twenty-four subjects are asked to fill out the two kinds of surveys at different times regarding how they are satisfied with the domestic program and the overseas training program. Furthermore, suggestions for a bette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are collected. The questions are modified from Jin's (2006) study. To provid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results of the surveys, a class observation is recorded during the whole training program. Additionally, an interview is conducted after the program with two of the trainees to find out how useful the training program 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trainees are satisfied with the domestic training program and the overseas training program, especially in terms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class satisfaction, the training support and the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the trainees are content with the classes related to the teaching techniques that they can use effectively and immediately in the classroom and they think their teaching skills improved through such classes. Third, the trainees find that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goes up with the program so they feel confident in using classroom English. Fourth, the trainees also learn a lot from other trainees.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1) the trainees would like to spend more time on communication skills than theories, and also they want to have more of systematic listening and speaking practices. 2) the trainees would like to have more of study hall even if it means to cut down the classes for a day. 3) the trainees want to have electives. 4) the instructors should be informed of the levels and the needs of the trainees. 5) the trainees want to get feedback on the evaluation. 6) an extensive research on the trainees' needs should be conducted in the preliminary stage. 7) the instructors should adopt more various teaching methods. 8) in the overseas training program, the trainees want to have cultural experiences rather than classroom learning. 9) the trainees need to be encouraged to meet with each other on a regular basis after returning to each individual school. 10) the training program developer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se suggestions for the next program.
Author(s)
이은성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어교사 심화연수 효과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86
Alternative Author(s)
Lee, Eun S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매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3
3.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영어교사의 자질과 역할 = 4
가. 영어교사의 자질 = 4
나. 영어교사의 역할 = 6
2. 교실영어(Classroom English) = 8
가. 교실영어의 정의 = 8
나. 교실영어의 특징 및 분류 = 10
다. 교실영어 사용의 효과 = 14
3. 중등 영어교사 심화연수 = 16
가. 교사 연수 모형 = 16
나. 중등 영어교사 심화연수 현황 = 18
4. 선행 연구 = 20
Ⅲ. 연구 방법 = 27
1. 연구 대상 및 기간 = 27
2. 연구 과정 = 30
가. 국내연수 분석 = 30
나. 국외연수 분석 = 30
다. 연수 후 영향 분석 = 30
3. 자료 수집 및 분석 = 31
가. 국내연수 및 국외연수 관련 설문지 = 31
나. 수업 관찰 일지 = 32
다. 연수 후 개별 면담 = 32
Ⅳ. 결과 및 논의 = 33
1. 국내연수 분석 = 33
가. 설문지를 통한 연수 만족도와 효과 분석 = 33
나. 수업관찰을 통한 분석 = 47
2. 국외연수 분석 = 50
가. 설문지를 통한 연수 만족도와 효과 분석 = 50
나. 수업관찰을 통한 분석 = 57
3. 개별 면담을 통한 연수 및 연수 후 효과 분석 = 58
Ⅴ. 결론 및 제안 = 61
1. 결론 = 61
2. 제안 = 63
참고문헌 = 67
부록 = 7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