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천연고무에 있어서 유기화클레이가 가교속도와 데마티어특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OLS(organically modified layered silicate) in the cure rate and demattia properties on NR nanocomposites
Abstract
컴파운딩법(compounding method)을 이용하여 organically modified layered silicate(OLS)로 보강된 NR nanocomposite을 제조하여 OLS별, 함량별로 삽입과 박리정도에 따른 mechanical properties 변화를 연구하였다. 개질하지 않은 Na+-MMT에 비해 개질된 OLS의 경우 mechanical properties에서 보다 나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OLS의 modified agent에 따른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OLS 중 OLS-15A의 mechanical properties가 가장 높았으나 3phr 이상 첨가할 경우 증가가 둔화되거나 오히려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순수한 기계의 힘에만 의존한 컴파운딩법은 OLS 분산 시 nanoparticle들의 층간 -OH기로 인한 강한 수소결합과 넓은 비표면적으로 인한 각 입자사이의 높은 반응성 등의 방해인자에 의하여 각각의 입자사이의 d-spacing의 간격을 벌이거나 완전 박리시키는데 미비한 효과가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그 중 OLS-15A가 비록 삽입과 박리현상이 가장 잘 일어나지만 그 함량에서는 3phr이라는 극히 적은 함량의 한계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X-RD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OLS 첨가 시 적정가교시간과 스코치시간이 빨라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는 modified agent인 quaternary ammonium salt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3phr 이상 첨가할 경우 속도가 둔화됨을 알 수 있었다. OLS 중 OLS-15A의 적정가교시간과 스코치시간이 가장 빨랐으며 OLS-93A의 속도가 가장 느림을 알 수 있었다.
demattia property에서도 OLS-15A의 crack growth 속도가 가장 느리고 균열의 생성이 늦게 이루어졌다. 이는 박리정도에 따른 응집상태 및 삽입상태로 남아있는 클레이의 양에 따라 크게 변함을 알 수 있었다.
When montmorillonite(MMT) was compared with black and silica the better reinforcing-effect but dispersion was not good. MMT has a difficult dispersion in the rubber because it has the strong hydrogen bond and htdrophilic property. To ensure good compatibility between polymer and montmorillonite, modification of the MMT become necessary. That can be modified by cation exchange with organic ammonium salt or amines.
Author(s)
신진호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천연고무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6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02
Alternative Author(s)
Shin, Jin H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고분자공학과
Advisor
박찬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2.1. 고무의 가교 = 4
2.1.1. 고무의 가황 = 4
2.1.2. 고무의 가황속도 = 4
2.1.3. 가황 고무의 화학구조 = 5
2.2 무기 층상 실리케이트의 구조 = 9
2.3 층상 실리케이트의 분산 = 13
2.3.1 층상 실리케이트의 유기화 반응 = 13
2.3.2 층상 실리케이트의 분산 방법 = 15
Ⅲ. 실험 = 17
3.1 실험 재료 = 17
3.1.1 천연고무 (Natural Rubber : SVR 3L) = 17
3.1.2 보강제 (FIllers) = 18
3.1.3 첨가제 (Additives) = 21
3.1.4 가교제 및 가교촉진제 = 22
3.2 실험 장치 = 22
3.2.1 Kneader = 22
3.2.2 Roll mill = 23
3.2.3 Hot press machine = 23
3.2.4 Oscillating disk rheometer(ODR) = 23
3.2.5 경도계(Hardness tester) = 23
3.2.6 비중계(Densitomer) = 23
3.2.7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 24
3.2.8 데마티어 시험기(Demattia Flex-Cracking apparatus) = 24
3.2.9 Abrasion tester = 24
3.2.10 Mooney Visco Meter = 24
3.3 실험방법 = 25
3.4 물리적 특성 = 29
3.4.1 경도(Hardness) = 29
3.4.2 인장강도 / 인장응력 / 신장율 (Tensile strength / Modulus / Elongation) = 31
3.4.3 인열강도(Tear strength) = 34
3.4.4 내마모성(Abrasion resistance : NBS, Akron) = 36
3.4.5 균열 성장 저항성(Crack Growth Resistance : Demattia Flex-Cracking Appartus) = 42
3.4.6 무늬 점도(Mooney Viscosity : Mooney Visco Meter) = 43
Ⅳ. 결과 및 고찰 = 44
4.1 Organically modified layered silicate(OLS) 첨가에 따른 천연고무(Natural Rubber)의 특성 = 44
4.1.1 가황 특성 = 48
4.1.2 기계적 강도 = 54
4.1.3 Mooney viscosity = 62
4.1.4 Crack growth test = 64
4.1.5 X-RD 회절 패턴 = 66
Ⅴ. 결론 = 68
참고문헌 = 7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고분자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