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포토레지스트의 붕괴 없는 패턴 건조
- Alternative Title
- Photoresist drying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o prevent pattern collapse
- Abstract
- 반도체 공정에서 높은 종횡비의 미세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작할 때, 기존의 습식 공정에서는, 현상 후 공정에서 DI-water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물의 높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미세 패턴 내부에서 모세관 압이 발생하여 건조과정에서 패턴이 붕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 장력이 0에 가까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계면활성제와 함께 건조 공정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다양한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통해 패턴 내부의 모세관 압에 의한 패턴 붕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계면활성제 중 EO 그룹을 가지고 있는 계면활성제와 암모늄 염을 포함하고 있는 계면활성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KrF 포토레지스트와의 적합성이 낮은 것을 알았다.
Several CO₂-soluble surfactants were investigated as possible agents to remove rinse water from aqueous-based photoresists utilizing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₂) drying process. Hydrocarbon and fluorocarbon surfactants having a short chain length and polymeric surfactants based on block and random copolym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 hybrid type KrF photoresist having 130-140 nm (line-space), with an aspect-ratio of 3.8 were used as a model. Though some of the surfactants are not compatible with the resists, others were found be highly efficient in removing the rinse water from the resi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EM) image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sist patterns were preserved without any deformation or damage by rinsing with de-ionized water followed by utilizing surfactants-aided scCO₂ drying.
- Author(s)
- 도경민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초임계 이산화탄소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6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06
- Alternative Author(s)
- Do, Kyung M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이미지시스템공학과
- Advisor
- 임권택
- Table Of Contents
- 제 Ⅰ 장. 서론 = 1
1. 초임계 이산화탄소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1
제 Ⅱ 장. 이론적 배경 = 5
1. 이론적 배경 = 5
2. 이산화탄소용 계면활성제 = 7
3. 연구목표 = 10
제 Ⅲ 장. 초임계 이산화탄소 내에서 붕괴없는 패턴 건조 = 12
1. 전자빔을 이용한 패턴 제작 = 12
2. 실험 = 14
가. 시약 = 14
나. 포토레지스트와 계면활성제 간의적합성 테스트 = 16
다. 패턴 웨이퍼의 수계 세정 및 건조 = 19
라. 초임계 이산화탄소용 포토레지스트 건조 장치 = 20
마. 실험 방법 = 23
바. 기기분석 = 24
제 Ⅳ 장. 결과 및 고찰 = 25
1. 온도와 압력에 따른 건조 성능 비교 = 25
2.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패턴 웨이퍼 건조 = 26
3.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건조 성능 비교 = 28
가. 계면활성제 PFPE-COOH를 사용한 패턴 웨이퍼 건조 = 28
나. 계면활성제 PFPE-COO_(-)NH₄^(+)를 사용한 패턴 웨이퍼 건조 = 29
다. 계면활성제 F-P-AOT를 사용한 패턴 웨이퍼 건조 = 30
라. 계면활성제 F-P-AOT 를 사용한 패턴 웨이퍼 건조 = 31
마. 계면활성제 Zonyl UR 을 사용한 패턴 웨이퍼 건조 = 32
바. 계면활성제 Zonyl UR^(-)Na^(+)를 사용한 패턴 웨이퍼 건조 = 34
사. 계면활성제 poly(DMAEMA_(5k)-b-FOMA_(5k))를 사용한 패턴 웨이퍼 건조 = 36
아. 기타 = 37
제 4 장. 결과 및 고찰 = 37
제 5 장. 결론 = 41
[참고문헌] = 4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이미지시스템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