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칸딘스키의 추상예술의 사상적 배경과 교육적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Research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Influences of Abstract Art by Wassily Kandinsky : Focused on Oriental Thoughts such asTheosophy and Activity of Bauhaus
Abstract
본 연구는 상기의 고찰을 통해 칸딘스키의 추상예술이 궁극적으로 ‘내적필연성(Inner necessity)’, ‘내면세계’, ‘정신세계’를 화면에 담아내는 것이 목표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칸딘스키는 이러한 자신의 예술적 의지를 성취하고자 추상의 이론을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법칙을 통해 체계화 시켰다. 그리고 그러한 예술적 의지와 사상은 1912년 라는 책으로, 그리고 바우하우스에서 1926년 이라는 저술로 출판되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저술과 특히 바우하우스에서의 교육을 통해 칸딘스키는 20세기 근대디자인과 건축공간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를 가능케 한 단초를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칸딘스키의 예술론 형성에 많은 영향들 중에서도 가장 중심에 있었던 사상적 배경은 신지학과 같은 동양사상과의 융합으로 등장한 당시 서구의 보편주의 사상이었음을 고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그의 이론과 작품 그리고 교육을 통해 그러한 영향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칸딘스키 예술 사상에서 보여 지는 동양적 요소들과 그 영향, 그리고 그로 인한 바우하우스에서의 교육내용에 국한하여 고찰하였다. 그러나 칸딘스키와 더불어 동시대의 많은 예술가들, 예를 들어 몬드리안과 같은 사람들이 동양 사상의 영향을 받은 신지학과 같은 사상을 믿고 있었다. 따라서 소위 당시 근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공유했던 사상을 그에 영향을 미쳤던 동양사상과 더불어 그 내용을 탐구하는 것은 근대성의 이해를 넓히는데 있어 필수불가결한 일일 것이다. 이러한 주제에 관해서는 향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This study research on W. Kandinsky's artistic attempts to express a human's internal inevitability by forms and colors into Abstract Art. It is well known that his ideas on ‘Abstract’ was formed by the Influences of mystic music such as Scriabin and Theosophy. Furthermore, his belief on the Abstract in Modern arts had constantly been showed in his works and theories through his books.
Particularly, his ‘Abstract Art’ activities in Bauhaus had influenced greatly in the realm of education, which finally made Modern Design as ‘Pure Form’ spread all over the world. Notably, it is fact that his artistic ideas and theories were made by Oriental thoughts such as Theosophy which was composed by and with Oriental thoughts and religions. Therefore, The influence of positive Orientalism was a significant source from which he brought out Essence of Abstract.
Author(s)
조현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칸딘스키 바우하우스 추상 신지학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6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09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오장환
Table Of Contents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추상예술의 등장과 근대건축 = 3
2.1 사실주의에서 추상으로의 전이 = 3
2.2 새로운 공간에 대한 가능성 = 10
1) 구성주의의 프라운(Proun)공간 = 13
2) 데스틸의 슈뢰더주택 = 14
3) 바우하우스의 실험주택 = 15
3. 칸딘스키의 추상예술과 바우하우스 활동 = 17
3.1 추상회화의 선구자 칸딘스키 = 17
1) 신지학(Theosophy)의 영향 = 17
2) 음악적 조형 = 21
3) 내적 필연성의 원칙 = 24
4) 점, 선, 면과 색채 = 29
(1) 조형요소로서의 점 = 32
(2) 조형요소로서의 선 = 33
(3) 조형요소로서의 색채 = 34
3.2 바우하우스에서의 교육 = 36
1) 형태와 색채론 = 37
2) 분석적 사고와 드로잉 = 39
3) 벽화반 = 42
4. 칸딘스키의 사상과 작품에서의 동양사상 = 44
4.1 사상적 배경으로서의 동양사상 = 44
4.2 작품에서의 동양사상 = 48
5. 결론 = 54
참고문헌 = 55
Abstract = 5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건축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