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중 인터넷 통신언어 문화의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the comparity of the Network Language Culture between Chinese and Korean
- Abstract
- 인터넷 통신언어는 인터넷 통신에서 사용되는 일반 언어와 구별되는 변이된 언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인터넷 통신 언어와 일반대화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언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자 언어로 이루어진다. 둘째, 대화 전달이 직접적이지 못하고 컴퓨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이어서 경제적 원리에 의해 원래 어휘를 변이 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인터넷 통신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살펴보면 일반 언어활동에서 구어와 문어가 확연하게 구별되는 것과는 달리 구어와 문어의 특징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주로 한중 통신언어의 주요한 특징, 즉 음운론적인 면에서 발음대로 적기, 음절의 축약과 생략, 자모음 첨가와 생략 그리고 어휘론적인 면세서 해음, 약어, 아라비아숫자의 사용, 의성의태어, 기준 단어의 의미변형, 새말의 탄생, 이모티콘의 사용과 기호를 대조해 보면, 통신언어가 일반 언어보다 “두 배에 가까운 사용률”을 보인다. 또 한중 특유한 언어에 대하여 논술하고 통신언어의 같은 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대비 연구하였다. 그리고 통신언어가 생기게 된 원인에 대해서도 언급해 보았다.
통신언어라는 범주에서 두 나라의 통신언어의 기본적인 특징에서 많은 동일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해음 약어, 아라비아숫자의 빈번한 사용, 의성의태어의 보편화, 기존단어의 의미변형, 새말의 탄생 등에서 같은 점을 보여준다. 이것은 인터넷 통신언어에서 형태부가 의미부 범주에 결합되거나 생략되었음을 알게 해준다. 결국 통신언어는 의미를 강화시키고 형식을 약화시킨 언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두 나라의 문화적인 차이는 인터넷 통신 언어양상에도 차이점을 주고 있다. 인터넷 통신언어가 점차 차이를 보이는 것이나, 숫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 그리고 축사(縮寫) 및 전의(轉意) 등이 대표적인 예다.
본 연구의 결론을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인류교류방식의 거대한 변화로 인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자기의 심정, 느낌, 표정 등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하여 인터넷 기술이 가져온 편리함과 기쁨을 만끽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네티즌 중 특별히 청소년 누리꾼들은 이미 인터넷이 없는 나날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에 대해 상상조차도 못할 정도이며, 인터넷은 이제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도구일 뿐만 아니라 생활필수품이 되었다. 일상생활에서의 인터넷사용은 이미 TV시청, 라디오듣기, 신문읽기 등의 간단한 범주를 훨씬 초월하였으며, 오늘날 네티즌들은 인터넷을 정보취득, 타인과의 교류, 자신의 취미의 일종 방식, 일의 수요, 생활의 중요 구성부분으로 삼고 있다.
The appearance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and tremendous changes of human being's communication way change the distance between people, at the same time they also make it possible for people by us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to convey their moods, feelings, expressions and so on and even more therefore enjoy the convenience and pleasure brought by network technology.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population of internet users around the world, the network language irresistibly formed and spread rapidly through the network. At the beginning of human language history, language are composed by sound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but the main form of network language are written language, symbols, and numbers and so on. Because of it's concise form, mass arbitrary, and happy way of the psychological release, the network langage has become an important communications tool used by more and more net citizens. In human history, the rise of every culture in the world will make some new vocabularies come into existence, but it is stunning that network language has such an amazing development speed, such a huge scale usage and such a large quantity. Today, the network language has become a tool of network communication and surpassed the bond of internet, and it has gradually become a social phenomenon and cultural phenomena.
China and Korea both belong to Chinese cultural circle and these two countries have many similarities on language and culture. In the past scholars had done many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however, these study were only one - sided and not concentrated.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network languages of China and Korea and of course, meanwhile, there are some similarities. This thesis mainly compared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Chinese network and Korean network language from abbreviations, homophony, voice features and lexical features, and even more pointe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network language and Korean network language and discussed various reasons of the appearance of network language.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network language' is a new thing. Although Chinese and Korean scholars have done a good deal of study on their own domestic network languages, there are few Substantive comparison study on these two countries network language. So there were few research accomplishments that I could consult when I was writing this paper. Surely, there would be insufficient in my paper, but I hope that this paper could be able to provide some valuable things for later network language comparative study.
- Author(s)
- SONG DAPING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통신언어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8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37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오창호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5
Ⅱ. 관련 문헌 연구 및 이론적 고찰 = 8
1. 인터넷 통신언어의 개념 및 일반적 특성 = 8
2. 한중 인터넷 통신언어의 공통적 특징 = 13
1) 인터넷 통신언어 어휘적 특징 = 16
(1) 약어와 의미가 변형된 단어의 사용 = 16
(2) 합성법(合成法) = 17
(3) 생략법 = 18
(4) 영어를 차용하여 생략하는 방식 = 19
(5) 의미변형 = 19
2) 통신언어에서 기호 사용 = 23
(1) 숫자 기호의 회의와 연상 = 23
(2) 문자와 기호의 혼용 = 25
(3) 도형 기호류- 표정 문자(이모티콘) = 26
3. 한중 인터넷 통신언어의 차별적 특징 = 27
1) 한국 인터넷 통신언어 현상의 분석 = 27
(1) 통신언어의 음운론적 특징 = 27
① 소리대로 적기 = 28
② 한국어 자모음의 대치 = 30
③ 형태변이 = 31
(2) 소결 = 41
2) 중국 인터넷 통신언어 현상의 분석 = 44
(1) 영어 해음 = 50
(2) 중국어 해음 = 50
(3) 숫자 해음 = 55
(4) 혼합 해음 = 57
(5) 방언 해음 = 58
(6) 축약어 = 59
① 영어 단어를 자모로 축약 = 60
② 중국어 문장을 단어로 축약 = 61
③ 호칭 및 명사성 단어 변이 = 63
(7) 직접 한어 병음을 사용하는 방법 = 65
(8) 기호를 이용한 글쓰기 = 66
Ⅲ. 인터넷 통신언어에서의 어법파괴 원인 = 69
1. 경제적인 원인 = 69
2. 사회적인 원인 및 오락적 동기 = 70
3. 심리적 해방 동기 = 71
1) 개성화를 추구하는 심리 = 71
2) 심리적인 원인 = 72
4. 또래 집단 간의 폐쇄성과 언어의 카타르시스 = 73
5. 유대 강화의 동기 = 74
Ⅳ. 결론 = 75
- 참고문헌 - = 8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