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제물류주선업체의 다각화 성과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for the Diversification of Korea's Freight Forwarders : based on the function of transport logistics
- Abstract
- 세계무역환경이 바뀜에 따라 국내 물류산업의 여건도 변화되어 급변하는 통합물류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욕구 충족과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새로운 목표산업에의 진출이라는 과제는 경영자에게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 주요 물류기업의 경영에서 다각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기업의 16%로 경비절감과 점유율 확대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국내 주요 물류업체 70개사를 대상으로 한 「주요물류업체 경영계획조사」, 2004, 대한상공회의소.
.
이는 국내 물류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침체된 시장을 타개하기 위해 다수의 국내물류업체들이 사업다각화 경영전략을 펼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이에 국제물류주선업체에 있어 다각화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후 국제물류주선업체의 다각화 결정요인 및 다각화수준과 기업성과를 실증 분석하여 국내 국제물류주선업체에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국제물류주선업체의 다각화 목적과 다각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국제물류주선기업의 다각화의 목적으로는 115개 기업이 성장의 추구를 1순위로 꼽았고 규모의 경제, 시장지배력, 위험의 분산 및 내부자원 활용을 위해 다각화를 추구하고 있다.
국제물류주선기업의 다각화 정도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운수업(53개 업체), 창고업(51개 업체), 통관업(28개 업체), 하역업(19개 업체), 포장업(8개 업체) 등에 진출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물류주선업체에서 타 업종으로 다각화한 기업이 81개 업체이며 타 산업에서 국제물류주선업으로 진출한 기업은 59개 업체이다.
회사 설립기간과 다각화수준의 빈도분석 결과 현행 국제물류주선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의 설립연도를 보면 1960년대 이전에 국제물류주선업과 함께 한 기업이 1개 업체이고 이중 6개 업체는 타 산업으로부터 국제물류주선업으로 다각화 된 기업의 경우로 볼 수 있다. 상기의 결과들을 보면 국제물류주선기업의 구성은 타 물류산업으로부터 다각화된 기업들이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추가분석으로 두 집단 간의 수준과 성과의 차이에 있어 다각화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성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본 연구의 모형은 다각화 결정요인이 다각화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기존산업의 매력도(성장률, 진입장벽, 경쟁정도), 보유자원(서비스자원, 재무자원, 관리자원) 및 기존산업과의 관련성을 포함하는 목표산업의 매력도(산업매력도, 시너지창출가능성)의 3가지 요소로 보고 다각화 결정요인이 다각화수준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가설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국제물류주선업의 매력도 중에서 진입장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국제물류주선업의 다각화는 진입장벽과 중요한 상관이 있음을 나타낸다. 진입장벽이 높은 경우 산업에서의 경쟁률이 높아지고 이러한 경쟁으로 인하여 산업성장률 또한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다각화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타 사업에서 국제물류주선업으로 다각화 한 기업의 경우 이러한 낮은 진입장벽은 국제물류주선사업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각화를 결정하게 되는 주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성장률, 경쟁정도는 다각화 결정요인이라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국제주선기업의 낮은 진입장벽으로 인한 업체의 난립으로 인한 성장저해 요소로 체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보유자원에 있어서는 3가지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는 업종 다각화로 인한 사업부서간 및 직원에 있어 여러 가지 산재하는 어려움을 통합·관리하는 자원이 우수한 기업일수록 성공적인 다각화를 통한 이익을 향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종다각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들 산업으로의 진입을 할 수 있는 자금이 확보되어야 하며 창고, 운송수단, 장비와 같은 시설의 투입에 따른 자금적인 문제로 인해 필수적인 중요 요인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매력적인 산업이더라도 재무자원이 부족한 경우 타 산업으로의 진출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수한 서비스자원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타 물류산업과의 시설이용 계약, 아웃소싱 및 제휴의 형태로 기업 내에서 총괄적으로 제공하는 물류서비스에 대해 부족한 일정부분을 만회하여 고객과 기업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업종 다각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목표산업의 매력도 중에서는 기존산업과의 시너지창출가능성이 다각화 결정과 주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장률, 진입장벽, 경쟁정도로 묶여진 산업매력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이는 국내 물류산업의 성장률과 진입장벽 및 경쟁정도는 유사한 수준으로 이들에 대해 기업들이 체감하는 매력도의 정도가 유사하여 기업의 다각화 결정요인이라기 보다는 기업들이 어떻게 할 수 없는 제도적 문제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는 본 연구의 매력도 요소이외에 다각화를 결정함에 있어 국제무역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합서비스의 필요성과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종합물류서비스의 제공 및 국내 종합물류인증을 위한 국제물류주선업으로의 진출 등에 의한 결과이다.
넷째, 다각화수준과 기업성과의 측정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국제물류주선업의 성장방안으로 범위의 경제실현을 통한 시너지효과로 기업의 성장에 다각화가 일조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현재 실정에 맞는 사업으로의 다각화를 구체적(자체보유, 타 물류시설과의 계약, 전략적제휴, 아웃소싱 등)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다섯째, 다각화 결정요인 및 다각화수준과 성과에 있어 기존산업의 경쟁정도는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산업인 국제물류주선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낮은 성장률과 낮은 진입장벽은 매력적이지 못한 산업으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체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산업에서 이러한 요소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일정한 경쟁정도를 유지하고 있다면 이는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보유자원에 있어서는 재무자원, 서비스자원 및 관리자원의 3가지 요소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목표산업의 매력도에 있어서는 목표산업의 산업매력도와 서비스창출가능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이는 목표산업의 진출에 있어 다각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산업과의 관련 및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산업매력이 큰 사업으로의 다각화를 통한 범위의 경제실현과 물류전문인력의 육성·구축 및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가설 검증을 요약하여 보면 국제물류주선업체의 다각화결정에 가장 영향이 큰 차원은 기업이 보유한 자원에 있으며 이는 재무자원, 서비스자원, 관리자원의 순으로 나타났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산업의 진입장벽 및 목표산업의 시너지창출가능성이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다각화 결정요인과 수준이 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는 기존산업의 경쟁정도와 3가지 요소의 보유자원 및 2가지 요소의 목표산업의 매력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산업에서 경쟁력이 있거나 기업이 보유한 자원이 충분하고 목표산업에서의 산업매력도에 있어 기존사업과의 시너지창출 가능성이 높은 사업으로의 다각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Manufacturing and distributing companies in developed countries are outsourcing many tasks for the better efficiency of their own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The expans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is definitely projected to las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as to provide competitive one-stop service. The freight forwarder's business needs to diversify its global total services accordingly including those of transport, storage, stevedore, packing and customs clear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Korea's Freight Forwarders' diversification-level and research the determinant factors for diversification and economic success. In addition, this thesis measures diversification by means of a survey that solicited product-count data. Determinant factors for diversification are not only attractiveness of the existing and target industry but any retention resources as well.
Attractiveness of the existing industry includes growth rate, entry barriers and competition impact. On the other hand, attractiveness of the target industry creates synergy with the attractiveness of the existing industry. Management, service, and financial resources are used to measure resources which the related industries hold.
Success is divided into financial success, such as sales growth, earning growth, cash flow improvement, and non-financial success, such as the increase of market share, number of customers,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employees'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in general.
The pursuit of growth was chosen as the main purpose of diversification by 115 companies, followed by economy of scale, market strength, diversification of risks and use of internal resources.
Classifying the diversification intensity of industry, Transportation Business(53) is the most, followed by Storage Business(51), Customs Clearance Business(28), Stevedoring Business(19) and Packing Business(8). As a result of measuring diversification factors, entry barriers of the existing industries, and the possibility of creating synergy are all significant in statistical analysis.
In terms of retention resources, three factors (management, service, and financial resources) have a great impact on diversification in statistical analysis. It shows that the level of diversification is heavily related to important results. The combination model for diversification, determinant factors, and level indicates that surplus resources (managing, service, and financial resource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service, and competition among established businesses are important.
To sum up, the main purpose of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diversification lies in the pursuit of growth. The critical factors for diversification are the low entry barriers into the international logistics industry, managing capability, service capability and financial capability. The fact that the freight forwarding business is easily open contributes to diversification as well.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creating synergy with the existing industry is significant for the target industry. This is because scale economics through scope economics improves the operation of a business.
Diversif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utcome of freight forwarding industry. Therefore, the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ing business needs to diversify its related businesses, which can lead to synergy with the existing industry, by thorough study about what they have as resources.
In conclusion, my study made it clear that bringing professionals and manpower and providing customers with a variety of services in the field of logistics are the most important goals for successful freight businesses.
- Author(s)
- 추선애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한국 국제물류주선업체의 다각화 성과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8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28
- Alternative Author(s)
- Choo, Sun A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하명신
- Table Of Contents
- 제 Ⅰ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 1
2. 연구의 목적 = 3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체계 = 4
1. 연구의 방법 = 4
2. 연구의 구성 = 4
제 Ⅱ 장 다각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 6
제 1 절 다각화의 개념 = 6
1. 다각화의 의의 = 6
2. 다각화의 유형 = 11
3. 다각화의 동기 및 목적 = 13
4. 다각화 측정 = 16
제 2 절 다각화전략의 결정요인 = 19
1. 산업매력도 = 19
2. 기존산업과의 관련 = 20
3. 보유자원 = 23
4. 관리체계 = 26
제 3 절 다각화와 기업성과에 관한 고찰 = 31
1. 외국의 주요 연구 = 32
2. 국내의 주요 연구 = 34
3. 성과의 정의 = 36
제 Ⅲ 장 국제물류주선업체의 다각화에 대한 고찰 = 41
제 1 절 국제운송주선업의 개념 = 41
1. 국제운송주선업의 의의 = 41
2. 국제운송주선인(Freight Forwarder)의 주요 기능 = 42
제 2 절 한국 국제물류주선업의 발전과 일반현황 = 43
1. 한국 국제물류주선업의 발전단계 = 43
2. 한국 국제물류주선업의 일반현황 = 47
제 3 절 한국 국제물류주선업의 다각화 = 55
1. 한국 국제물류주선업의 다각화 정의 = 55
2. 한국 국제물류주선업의 다각화 유형 = 57
제 Ⅳ 장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 63
제 1 절 연구모형의 설계 = 63
제 2 절 연구가설의 설정 = 65
1. 다각화 결정요인 = 65
2. 다각화수준과 기업성과 = 69
3. 다각화결정요인 및 다각화수준과 기업성과 = 70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 71
1. 다각화수준 = 71
2. 다각화 결정요인 = 72
3. 기업성과 = 75
제 4 절 표본선정 및 분석방법 = 79
1. 조사방법 및 설문구성 = 79
2. 분석방법 = 81
제 Ⅴ 장 실증분석 = 84
제 1 절 응답기업 일반 = 84
1. 응답기업의 일반적 특성 = 84
2. 응답기업의 집단별 특성 = 92
제 2 절 측정항목에 대한 평가 = 96
1. 다각화 결정요인 = 96
2. 기업성과 = 99
3. 다각화수준 = 100
제 3 절 연구가설의 검증 = 102
1. 다각화 결정요인이 다각화에 미치는 영향 = 102
2. 다각화수준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106
3. 다각화 결정요인 및 수준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107
4. 분석결과의 요약 = 110
5. 연구의 시사점 = 113
제 Ⅵ 장 결론 = 115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 115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 119
1. 연구의 한계 = 119
2. 향후 연구과제 = 120
참고문헌 = 121
복합운송주선업체의 다각화 전략과 성과에 관한 설문지 = 128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