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 CORES COLLECTED AT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USING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S
- Alternative Title
- 단계 추출법을 이용한 낙동강 퇴적물 코어 내 중금속 분포 연구
- Abstract
- 강 하구 퇴적물에 함유된 중금속 분포를 연구하는 것은 이들이 강과 바다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잠재적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낙동강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왔지만 대부분 표층의 중금속 총량에만 중점이 맞춰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5단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낙동강에서 채취한 퇴적물 코어에 함유된 구리(Cu), 코발트(Co), 망간(Mn), 니켈(Ni), 납(Pb), 아연(Zn) 6개 중금속의 농도를 측정하여 퇴적물 코어에서 중금속이 어떻게,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Co, Mn, Ni, Pb는 residue와 Fe-Mn 산화물 분획에서 가장 풍부하게 나타나며, Cu는 residue와 유기물 분획에서 풍부하게 나타난다. 중금속 오염도(Contamination factors; CFs)는 Mn (C>6)을 제외하고 모든 중금속의 오염도가 낮게 나타났다. 망간의 높은 지반집적지수(Geoaccumulation index; Igeo)는 Mn 고농축을 나타내며, 다른 원소들은 오염되지 않았다. 퇴적물 오염도 평가 결과, 낙동강 주변 공장에서 인위적인 Mn 유입으로 인해 고농도의 Mn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NTAHOKAJA MAGALIE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heavy metal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890
- Alternative Author(s)
- 타호카자 마갈리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dvisor
- 류종식
- Table Of Contents
- 1.Introduction 1
2.Material and Methods 4
2.1.Study area 4
2.2.Sampling and sequential leaching 6
2.3.Sample preparation and elemental analysis 7
2.4.Evaluation of pollution indices 9
2.4.1.Contamination factors (CFs) 9
2.4.2.Geoaccumulation index (Igeo) 10
3.Results and Discussion 11
3.1.Metal speciation in sediments 11
3.1.1.Exchangeable fraction 11
3.1.2.Carbonate fraction 12
3.1.3.Fe-Mn oxide fraction 13
3.1.4.Organic fraction 14
3.1.5.Residual fraction 15
3.2.Contamination parameters 22
3.2.1.Contamination Factor (CF) 23
3.2.2.Geoaccumulation Index 24
4.Conclusions 26
References 2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