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어「하다」에 대응하는 일본어 표현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Japanese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Korean「-hada」
Abstract
이상과 같이 한일 양국어의 「하다」「する」동사는 가장 기본적이고 생산적인 역할을 하고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본고의 고찰에 있어서는 「する」외에 다른 여러 가지 표현으로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어「하다」는 단순동사「やる」ㆍ「なる」ㆍ「ある」ㆍ「とる」와 그 밖의「관용적 표현」「~ている표현」「사역표현」「기타표현」과의 대응이 중심으로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 비율은 「やる」ㆍ「なる」ㆍ「ある」ㆍ「とる」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것을 중심으로 대조ㆍ분석을 하였다. 「하다」에 대응하는 일본어 표현에서 총 용례 수 902개 중에 본고에 인용한 수는 143개, 비율에 있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단순동사 「やる」의 용례 수는 121, 「なる」의 용례 수는 82, 「ある」의 용례 수는 95, 「とる」의 용례 수는 24로 나타나고 있었다. 단순동사와 대응할 때「やる」의 경우 선행요소가 인칭대명사, 동작성 명사, 비동작성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なる」의 경우는 동작성 명사, 비동작성 명사, 관용구, 부사와 결합하는 경우가 많았고, 「ある」는 주어의 행위가 대상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그 결과로서의 존재를 인정하는 경우, 선행요소가 특징이나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경우, 즉 속성을 가지고 있을 때 결합하는 경우를 보였다. 「とる」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가지다, 취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어지나, 선행요소에 따라서는 자신의 것으로 해서 체내에 넣어 섭취하다. 즉 「食べる」의 의미로서도 표현되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하다」와 대응하는 일본어 동사와 문맥ㆍ상황에 따른 대응양상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선행요소에 따라서는「하다/ する」와 대응관계를 가지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한국어의「하다」에 대응하고 있는 일본어 표현이 어떠한 특징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This paper studied, even though Korean 「-hada」and Japanese「する」(suru) play a very basic, productive role and have a one-to-one relation, how other corresponding expressions apart from「する」are formed and expressed. In a result of the study, Korean 「-hada」corresponds with Japanese simple verbs like「やる」(yaru)ㆍ「なる」(naru)ㆍ「ある」(aru)ㆍ「とる」(toru),other 「idiomatic expressions」,「~ている expressions」(te-iru)and 「causative expressions」etc. At an usage ratio, 「やる」ㆍ「なる」ㆍ「ある」ㆍ「とる」have the majority cases where this paper focused on to compare and analyze. As the Japanese expressions for 「-hada」, among totally 902 examples, 143 examples were quoted in this paper. 「やる」, which occupies in the most cases at the usage ratio, were used 121 times, 「なる」were 82, 「ある」were 95, and 「とる」were 24. Corresponding to the simple verb,「やる」combines mostly with person pronouns, verbal nouns, non-verbal nouns as a preceding factor,「なる」combines with verbal nouns, non-verbal nouns, idiomatic phrase, adverbs in many cases,「ある」combines in case that an action of a subject directly affects an object, resulting in the existence is accepted or in case that a preceding factor has a certain characteristics or property. In case of 「とる」, it basically means own or take. However, depending on a preceding factor, it could mean take food into one's body. That is, it is used for「食べる」(taberu)
Therefore, in the paper, Japanese words corresponding to 「-hada」 were studied on changes in the corresponding phase, depending on the context or situation. Noting that depending on preceding factors, in some cases, 「hada/ する」may not correspondeach other, the paper researched how Korean 「-hada」 corresponds to the Japanese expression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Author(s)
배수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일본어 표현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9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32
Alternative Author(s)
Bae, Su 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손동주
Table Of Contents
1. 연구목적 및 방법 = 1
2. 선행연구 = 4
2.1 「하다」와「する」와의 관계 = 4
2.2 「하다」와「단순동사」와의 관계성 = 6
3. 「하다/する」동사의 정의와 사전적 의미ㆍ특징 = 9
4. 「하다」에 대응하는 일본어 표현 = 19
4.1 단순동사와 대응하는 경우 = 19
4.1.1 「やる」와 대응하는 경우 = 19
4.1.1.1 인칭대명사와 결합하는 경우 = 23
4.1.1.2 동작성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 = 24
4.1.1.3 비동작성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 = 24
4.1.2 「なる」와 대응하는 경우 = 25
4.1.2.1 동작성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 = 28
4.1.2.2 비동작성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 = 28
4.1.2.3 관용구와 결합하는 경우 = 29
4.1.2.4 부사와 결합하는 경우 = 30
4.1.3 「ある」와 대응하는 경우 = 30
4.1.3.1 어떤 사항의 존재를 인정하는 경우 = 33
4.1.3.2 선행요소가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 34
4.1.4 「とる」와 대응하는 경우 = 34
4.2 그 외 대응하는 표현 = 37
4.2.1 관용적 표현 = 37
4.2.2 「~ている」형과 대응하는 경우 = 44
4.2.2.1 변화의 결과상태 = 46
4.2.3 사역형과 대응하는 경우 = 47
4.2.3.1 「시키다」형 = 47
4.2.3.2 「-게 하다」형 = 49
4.2.3.3 「させる」형 = 50
4.2.4기타표현과 대응하는 경우 = 57
5. 결론 = 60
참고문헌 = 62
예문출전 = 6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일어일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