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캠페인 광고의 표현 특성과 교육적 의미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PROPERTY OF NATURE CONSERVATION CAMPAIGN ADVERTISING AND EDUCATIONAL MEANING
- Abstract
- 오늘날은 환경 친화적 지구시대라고 불릴 만큼 지구환경문제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기업이나 국가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세계의 여러 단체들이 환경보호에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교육도 이러한 사회적인 현상과 문제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현 시점에 환경 교육을 통한 환경 의식 고취가 필요한 상황이다.
환경교육에 있어 광고는 환경에 대한 정보전달 기능을 하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는 설득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광고활동은 환경문제에 대한 소구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교육에 적용시키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고의 표현을 통해서 이를 환경 교육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환경캠페인 광고를 디자인교육에서의 환경 교육적 방안으로 제시해 수용자로부터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환경캠페인 광고의 사례를 살펴보고 광고의 내용전달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환경캠페인 광고의 표현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광고의 표현특성을 통해 어떤 요소가 호감을 주고, 어떤 표현 부분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 광고의 교육적 효과가 큰 표현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입증하기 위해 ‘환경캠페인 광고가 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인가.’를 연구 가설로 세우고 설문조사를 통해 환경캠페인 광고가 수용자로부터 어떠한 광고태도와 교육적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에 관한 인식조사에서 대다수의 학생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며,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수업 시 구체적인 환경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캠페인 광고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환경캠페인 광고를 알고, 본적이 있다고 대답했으며, 주로 TV광고를 통해 많이 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캠페인 공익광고와 기업광고를 보고난 후의 광고의 이해도와 호감도, 표현도 측정에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환경캠페인 공익광고가 환경캠페인 기업광고에 비해 이해도, 호감도, 표현도의 모든 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환경캠페인 공익광고가 기업광고에 비해 환경보호를 실천하자는 내용이 잘 나타나고 그만큼 광고의 내용이 각종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쉽게 전달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넷째, 환경캠페인 공익광고가 환경캠페인 기업광고에 비해 학생들의 환경의식 증진과 환경 교육적 활용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다섯째, 환경캠페인 광고의 표현특성에 따른 환경 교육적 효과 측정에서 사실적으로 표현된 광고의 교육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환경보호 실천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사실적으로 표현된 광고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환경캠페인 광고는 우리가 간과하고 지냈던 환경과 주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따라서 개인주의가 팽배해지고 주변의 문제에 대해 이방인 같은 입장을 취하기 쉬운 학생들에게 환경과 자신의 주변 경험에 대한 자각 의식을 심어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환경캠페인 광고가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의식을 개선하고 교육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ile these days a general stream of modern arts is focused on the theme of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when we think environment as important issues, some roles to improve the greening of students are required in Design education to reflect this wave.
Advertisemen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function to convey some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 and fulfill a persuasive communication function of education about the problems of Environment. Especially an advertising activity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f it applies to education because of high appeal power about environmental issues.
Thus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instructive effects to make users change their behaviors by offering the advertisements of Environmental campaign as educational solutions of Environment in Design education to search for some possibilities to receive it educationally in Environment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advertisements.
We have surveyed the examples of the ads in the environmental campaign and made an analysis of the qualities in it to look into some ways to transmit the contents of ads.
To establish this research we have also studied the results about which educational effects and any attitudes of ads the advertising of the environmental campaign can bring from the consumers through the surveys about the instructive effectiveness of ads.
- Author(s)
- 박성희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환경캠페인 광고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90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50
- Alternative Author(s)
- Park, Seong Hu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 Advisor
- 장청건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시대변화와 환경 = 4
가. 환경문제의 대두 = 4
나. 환경캠페인과 환경 친화적 마케팅의 등장 = 5
2. 환경캠페인 광고의 이론적 고찰 = 8
가. 환경캠페인의 이해 = 8
나. 광고에 있어 캠페인의 정의 = 9
다. 환경캠페인 광고의 성격 = 10
라. 환경캠페인 광고의 교육적 기능 = 11
3. 환경캠페인 광고의 교육적 활용 = 13
가. 광고의 교육적 효과 = 13
나. 환경캠페인 광고를 통한 디자인교육 = 15
(1) 시각디자인 교과 교육과정 = 15
(2) 광고일반 교과 교육과정 = 17
(3) 환경교육을 위한 광고디자인 = 18
(4) 환경캠페인 광고를 통한 광고디자인 지도방향 = 19
Ⅲ. 환경캠페인 광고의 사례 연구 = 20
1. 국내외 환경캠페인의 동향 = 20
2. 환경캠페인 광고의 사례 = 34
가. 대기오염 = 34
나. 지구온난화 = 36
다. 해양오염 = 39
라. 열대우림과 산림의 파괴 = 40
마. 생활쓰레기 및 산업폐기물 증가 = 43
Ⅳ. 환경캠페인 광고의 표현특성 분석 = 44
1. 상징적 표현 = 45
2. 변형적 표현 = 46
3. 은유적 표현 = 47
4. 극적 표현 = 49
5. 충격적 표현 = 51
6. 암시적 표현 = 52
7. 비교 표현 = 54
8. 사실적 표현 = 55
Ⅴ. 환경캠페인 광고의 교육적 영향에 관한 연구조사 = 57
1. 연구가설의 배경 = 57
2. 연구가설의 설정 = 57
3. 연구 자료의 수집 = 58
가.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 58
나. 설문지 구성 = 58
4. 설문조사 결과 분석 및 해석 = 61
가. 응답자의 기초사항 = 61
나.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에 관한 태도 = 61
다. 환경캠페인 광고에 관한 태도 = 64
라. 환경캠페인 광고의 노출 후 태도 = 66
마. 환경캠페인 광고의 표현특성에 따른 교육효과 = 70
Ⅵ. 결론 = 76
참고문헌 = 79
설문지 = 8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