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Brown & Palincsar의 상호교수(Reciprocal Teaching)방법을 이용한 디자인색채 교육모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Design Color and Educational Model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을 전공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 요소 중에서도 "색의 기초" 단원에 속하는 "색의 혼합" 부분에서 발생되고 있는 선(先)개념과 오(誤)개념을 객관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디자인 색채 교육 모형을 구안(具案)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검사문항을 개발하되, 문항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誤)개념을 유형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후, 색 혼합 원리에 대한 수업을 한 뒤, 동일한 검사문항을 통해서 개념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 한다. 이는 "KS A 0062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 방법" 을 토대로 하되 "색 혼합"에 대한 개념 구조에 한정하여 연구 한다.
연구 대상은 디자인계와 비(非)디자인계 고등학생 2학년으로, 총 참가 인원수는 600名(디자인계:400名+비(非)디자인계:200名)이다. 검사문항은 5문항으로 객관식과 이유를 서술하는 주관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문항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이미 형성되어있는 선(先)개념과 오(誤)개념을 바로잡을 수 있는 객관화된 디자인 색채 교육모형을 구안(具案)한다고 하여도 차후 디자인 색채 수업에 활용 방안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design, aims to devise an design color education model to fine tune the "advanced" concept and "error" concept - design elements - which occur in the color mixing of color basics. To this end, survey questions are developed, and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s, students' "error concept" is analyzed. Then, a class is given regarding the principle of color mixing, and a change in students' conception is measured using the same survey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KS A 0062 three attributes of color, the study is limited to the conception of color mixing.
The survey targets 600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400 from design high schools and 200 from non-design high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ive multiple choices and essay questions. On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study aims to devise a color education model designed to correct students' already formed "advanced concept" and "error concept."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the findings can be used in design color classes.
Author(s)
신현선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KS A 0062 상호교수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93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367
Alternative Author(s)
Shin, Hyeon seo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문제 = 5
3. 연구가설 = 5
4. 용어의 정의 = 6
4-1. 선(先)개념 = 6
4-2. 오(吳)개념 = 7
4-3. 과학적 개념 = 7
4-4. 상호교수(Reciprocal Teaching)전략 = 7
5.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9
1. 구성주의 이론 = 9
1-1. 인지적 구성주의(cognitive constructivism) = 13
1-2. 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 14
2. 상호 교수(Reciprocal Teaching) = 17
3. 상호교수를 적용한 선행연구 = 23
4. 선(先)개념의 특징과 오(誤)개념의 원인 = 26
4-1. 선(先)개념의 특징 = 26
4-2. 오(誤)개념의 원인 = 28
5. 실업계고등학교 디자인과의 색채교육 = 31
5-1. 실업계고등학교 색채교육 교과내용 및 목표 = 31
6. 색채관리 교과서 분석 = 32
6-1. 6,7차 교육과정 교과서 비교 분석 = 32
6-1-1. 단원별 비교 = 33
① Ⅰ. 색의 기초 = 33
② Ⅱ. 색의 표시 방법 = 35
6-1-2. 단원별 구성 비율 비교 = 37
① 6차 교육과정 ‘색채관리’ 교과서 = 37
② 7차 교육과정 ‘색채관리’ 교과서 = 38
7. 색의 개념 = 38
7-1. 생물학적 관점에서의 색 = 40
7-1-1. 색상 = 41
7-1-2. 명도 = 45
7-3-3. 채도 = 45
8. 색의 혼합원리 = 47
8-1. 가산혼합 = 53
8-2. 감산혼합 = 56
9. KS A 0062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 방법 = 59
9-1. 색의 표시방법 = 59
9-2. 표준색의 기준치 = 61
9-3. NCS 표색계(Natural Color System) = 62
9-4. 표준색표의 구성 = 6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68
1. 연구절차 = 68
2. 연구대상 = 70
3. 통계조사의 절차 = 71
4. 자료 처리 방법 = 73
4-1. SPSS = 73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 75
1. 조사개요 = 75
1-1. 목적 = 75
2. 설문지 분석 = 75
2-1. 설문지 회수율 및 기초빈도 = 75
2-2. 연구문제 검증방법 = 78
2-3. 연구문제 검증 = 81
2-3-1. 연구문제 1번 연구 결과 분석 = 81
2-3-2. 연구문제 2번 연구 결과 분석 = 85
2-3-3. 연구문제 3번 연구 결과 분석 = 88
2-3-4. 연구문제 4번 연구 결과 분석 = 91
2-3-5. 연구문제 5번 연구 결과 분석 = 94
Ⅴ. 결론 및 제언 = 97
1. 결론 = 98
2. 제언 = 100
참고문헌 = 101
〈단행본〉 = 101
〈논문〉 = 102
〈참고 URL〉 = 10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