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러닝 환경에서 ARCS 동기이론을 이용한 정보기술기초교과의 교수· 학습 모형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Learning & Teaching Model of Basic Information Technology Subject Based on ARCS Theory in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 Abstract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기존의 강의중심의 교육형태에서 학생이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필요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고, 시공간을 넘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또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이 통합되어 다양한 학습형태를 통해 교육의 질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u-러닝 환경에서 ARCS 동기이론을 적용한 실업계 고등학교 정보기술기초교과의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u-러닝 교육환경에서의 정보기술기초 교육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조사한다. 그 후 u-러닝 환경에서 ARCS 이론을 활용한 정보기술기초 교과의 프로젝트 학습과 문제해결 학습지도안을 제안한다. 프로젝트 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협동심과 분석력, 의사소통 능력, 창의력을 훈련시킬 수 있도록 팀 프로젝트 방식으로 진행한다.
본 학습 지도안은 정보통신 서비스의 종류와 특징을 학습자 중심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설계한 프로젝트 학습과 홈페이지 제작을 통한 문제해결에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모형의 효율적인 검증을 위해 공업고등학교 전기과 2반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한다.
실제 실험은 학생들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고 수업처치 전에 정보기술기초 과목에 대한 ARCS 동기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후 실험반은 ARCS전략을 적용한 프로젝트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실시하였고, 통제반은 전통적 수업방법을 실시한 후, ARCS 동기이론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동기유발의 향상된 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은 완전한 u-러닝 환경은 아니지만 독립표본 t-검증한 결과, ARCS 각 요소들이 주의집중, 자신감, 만족감에서 실험반 학생들의 동기유발 정도가 통제반 학생들의 동기유발 정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전체 동기유발 전략에서도 실험반 학생들이 통제반 학생들보다 많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ubiquitous environment, anyone can find learning materials by internet connection and make communication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Moreover, combination of real and virtual space enables to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s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learning models.
In this study are suggested a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odels based on ARCS motivation theory in ubiquitous environment in Basic Informational Technology subject (later on BIT) in technical mechanical high school.
The first step is to research the basic concept and curriculum of BIT in ubiquitous learning (later on U-learning) environment. After that, a new BIT lesson plan is suggested using project and problem-solving models utilizing ARCS theory in U-learning environment.
In this lesson plan, students work in teams in project & problem solving models to enhance cooperation, creativity, power of analysis and communication skills by themselves.
This lesson plan is focused on problem solving by making homepage and project learning designed for learners to stud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al communication services and their features.
Lastly, for effective verification, a test was done to a class in electronics department of a technical mechanical high school and its result was analyzed by statistic method.
In the tes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both groups took ARCS motivation test of BIT before the lesson. During the lesson, experiment group got a lesson in project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based on ARCS strategies, while control group got a traditional lesson. After the lesson, a test was given to find out if there was any change in those students in terms of motiv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learning-teaching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enhances students' every aspect of motivation - Attention, Confidence, Satisfaction. Experiment group also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overall motivation strategies than control group.
- Author(s)
- 김소영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u-러닝 ARCS동기이론 정보기술기초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정보통신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99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423
- Alternative Author(s)
- Kim, So-Yo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정보통신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정보통신교육전공
-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 ⅳ
그림목차 = ⅵ
Abstract = ⅶ
Ⅰ. 서론 = 1
Ⅱ. u-러닝 환경과 ARCS동기이론 = 4
1. u-러닝과 미래 교육의 변화 = 4
가. 유비쿼터스의 개념 및 특징 = 4
나. u-러닝의 정의 및 특징 = 6
다. u-러닝 교수·학습의 변화 = 9
라. u-러닝 교수·학습 활동유형 = 10
마. u-러닝 교수·학습매체 = 13
2. ARCS 동기화 이론 = 19
가. ARCS동기화 이론의 개념과 특징 = 19
나. ARCS 이론의 동기유발 전략 = 22
3. u-러닝 환경에서 ARCS동기 이론의 필요성 = 29
Ⅲ. u-러닝 환경에서 ARCS를 이용한 정보기술기초교과의 교수·학습 모형 = 31
1. 정보기술기초교육 = 31
가. 정보기술기초 교육의 개념 = 31
나. 정보기술기초 교육과정 = 32
2. u-러닝환경에서 ARCS를 이용한 정보기술기초교과 교수·학습 모형 = 34
가. u-러닝 환경에서 ARCS를 이용한 프로젝트학습 모형 = 34
나. u-러닝 환경에서 ARCS를 이용한 문제중심학습 모형 = 39
3. u-러닝 환경에서 ARCS를 이용한 정보기술기초 교과의 교수·학습 모형 = 42
가. u-러닝 환경에서 ARCS를 활용한 정보 통신 서비스를 통한 프로젝트 = 42
나. u-러닝 환경에서 ARCS를 활용한 홈페이지 제작을 통한 문제중심학습 = 51
Ⅳ. u-러닝 환경에서 ARCS를 이용한 정보기술기초 교과의 교수·학습 모형 = 57
1. ARCS기법을 적용한 정보기술기초 수업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 57
가. 연구가설 = 57
나. 분석 대상 및 절차 = 57
다. 분석도구 = 59
Ⅴ. 연구 결과 = 63
1. 사전 검사 결과 = 63
2. 사후 검사 결과 = 64
3. 논의 = 65
Ⅵ. 결론 = 67
참고문헌 = 6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정보통신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