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외장색채의 배색 이미지 스케일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Color Combination Image Scale for Architectural Exterior
- Abstract
- 도시환경이나 경관 중에서의 색채 응용문제를 논하면, 도시색채 주체인 건축외장색채의 응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970년 프랑스 색채학자 장 필립 랑크로교수가 색채지리학의 개념을 언급한 이후, 세계 각국의 많은 나라에서 자기의 도시 주조색을 찾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프랑스 파리의 미색, 암스테르담 의 갈색, 브루노의 다색 그리고 키클라데스의 흰색 등을 들 수 있다.
색채의 여러 분야에서의 응용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색채이론과 기술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과 한국 등에서 개발된 컬러 이미지 스케일은 색채설계 시 사람의 심리적 반응을 연결해 주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컬러 이미지 스케일은 건축외장색채 설계 시의 요건보다는, 대부분 제품색채 설계에서의 컬러 마케팅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심리학으로부터 건축외장에 적용되는 색채의 선택,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 부동한 심리적 반응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하여 건축외장색채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외장색채에 적용되는 이미지 스케일 공간을 건립하는 것이며, 차후 건축외장색채설계를 위한 지침작성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주로 건축색채배색이미지 스케일의 작성과정을 논의하였다. 건축외장색채 응용은 특수성이 있어서 적당한 좌표를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논의의 중점이다. 예를 들면 큰 면적사이즈와 시각 환경요소로서의 피할 수 없는 특성과 인식의 무의식과정이다. 기존의 이미지 스케일은 색채면적의 비율관계를 고려하지 않지만, 이것은 건축입면 색채설계 시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할 요소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좌표의 선택에서 환경심리학의 상관개념을 고려하여 Y축이 다방면 요소들이 결정하는 종합지표 자극정도이고 X축은 색채중의 주요한 요소로서의 색상 자극방법을 선택하였다. 조사연구를 통하여 SD분석방법을 이용해서 각 형용사의 의미와 배색견본이 좌표중의 분포위치를 알려 주었다. 그리고 기존의 이미지 스케일을 참조하여 마지막으로 건축외장색채에 적용하는 배색 이미지 스케일 방안을 작성하였다.
?我???城市?境或者景?中色彩的?用??的?候,作?城市色彩主?的建筑外?色彩往往是被??最多,也是最?重要的要?之一. 自?上世?70年代, 法?的色彩?家朗科?提出色彩地理?的?念之后, 世界?多?家的城市都?始了??其城市主色?的?究. ?例??, 法?巴黎的米色, 荷?阿姆斯特丹的褐色, 意大利布??的斑?色, 以及希?斯克拉迪的白色都以其具有地方特性成?了城市形象的?志.
?着色彩在各?行??用的?展,新的色彩理?和技?都被?泛地???究, 比如日本和??先后??的色彩形象比例?(Color Image Scale), 就?色彩??和人的心理反映?系在一起. 但是目前所??的色彩形象比例?在?大程度上是?了?足??上的色彩??和??的要求, 而不??适用于具有一定特殊性要求的建筑外?色彩??.
因此,在本?文的?究中,主要??境心理?的角度?分析什??的色彩适用于建筑外?,??的不同色彩搭配能??人?不同的心理反?和感?, ?而利用色彩形象比例??建筑外?色彩?行分?. 本?文的目的也就在于建立一???适用于建筑外?色彩的形象比例?空?,????的建筑外?色彩??提供一?指?作用.
本?文??了建筑外?色彩配色形象比例?的建立?程.由于建筑外?色彩?用的一些特殊性,比如,大面?的范?以及作????境的不可回避性和无意????程,因此,如何??一?合适的坐?系是本?文的第一???重点. 考?到先前色彩形像比例?中所存在的一些??,比如不能充分考?到色彩面?的比例?系,而?又恰恰是在建筑立面中被最?泛采用的一?配色方式.因此本?究中坐?系的??充分?用了?境心理?的相??念,Y?坐?是一?由多方面因素所?定的?合指?-?醒程度. 而X????了作?色彩主要要素之一的色相-?醒方式. 通??泛的???究,以及?卷??,利用SD法分析了解各意?形容?以及配色?本在坐?中的分布位置, 再?考先前的其他色彩形象比例?, 最后得出了适用于建筑外?色彩的配色形象比例?方案.
- Author(s)
- WANG, HAOJIANG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건축외장색채 배색이미지 스케일 환경심리학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99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430
- Alternative Author(s)
- 왕호강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건축공학과
- Advisor
- 김기환
-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1
1.1 Research Background and Aim = 1
1.2 Research Approach and Range = 2
Ⅱ. FRAME OF COLOR IMAGE SCALE FOR ARCHITECTURAL EXTERIOR = 5
2.1 Necessity of Research = 5
2.1.1 Situation of Color Application in Urban Plan = 5
2.1.2 Particularity of Architectural Exterior Color = 6
2.1.3 Problems in Previous Works = 7
2.1.4 Situation of Color Image Scale Application = 9
2.2 Examples of Previous Image Scale = 10
2.2.1 Color Image Scale in Japan = 10
2.2.2 Color Image Scale in Korea = 12
2.2.3 Landscape Color Image Map for Apartment Zone = 14
2.2.4 Space Design Profile Map = 16
2.2.5 Emotional Evaluation Scale = 17
2.3 Frame of Color Image Scale for Architectural Exterior = 18
2.3.1 Y axis : Arousal Level = 18
2.3.1.1 Color Experience Pyramid = 18
2.3.1.2 Factors of Arousal Level = 19
2.3.1.3 Evaluation of Weighted Value for Each Factor = 21
2.3.1.4 Arousal Level Evaluation Criteria = 22
2.3.2 X axis : Form of Arousal = 24
2.3.2.1 Hue Effect = 24
2.3.2.2 Perceptual Color and Rational Color = 24
2.3.3 Frame of Color Image Scale for Architectural Exterior = 26
Ⅲ. POSITIONING OF COLOR COMBINATIONS IN ARCHITECTURAL = 29
3.1 Color Combination Image Scales of Unique Function = 29
3.1.1 Government Building = 29
3.1.2 Office Building = 31
3.1.3 Residence = 34
3.1.4 Healthcare = 37
3.1.5 Hotel = 39
3.1.6 Marketing = 41
3.1.7 School = 43
3.1.8 Culture = 45
3.2 Preliminary Color Combination Image Scale = 48
3.2.1 Positioning of Color Combination Palette = 48
3.2.2 Classification of Exterior Color Combination = 49
3.3 Color and Color Palette for Each Type = 54
Ⅳ.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OF RESULTS = 56
4.1 Selection of Representative Image for Each Type = 56
4.2 Selection of Evaluation Image Adjectives = 57
4.3 General Information about Survey = 59
4.4 Resulting of Survey = 60
4.4.1 Analysis of Psychoreaction = 60
4.4.1.1 Type A : Alive = 60
4.4.1.2 Type B : Arousing = 61
4.4.1.3 Type C : Nice = 62
4.4.1.4 Type D : Restful = 63
4.4.1.5 Type E : Slow = 64
4.4.1.6 Type F : Stimulation = 65
4.4.1.7 Type G : Calm = 66
4.4.1.8 Type H : Tranquil = 67
4.4.1.9 Type I : Peaceful = 68
4.4.2 Comprehensive Analysis = 69
Ⅴ PROPOSAL AND APPLICATION OF COLOR COMBINATION IMAGE = 70
5.1 Proposal of Color Combination Image Scale for Architectural Exterior = 70
5.1.1 Positioning of Adjectives in Image Scale = 70
5.1.2 Completion of Architectural Exterior Adjective Image Scale = 71
5.1.3 Proposal of Architectural Exterior Color Combination Image = 72
5.2 Application Example 1 : Architectural Function Zone = 73
5.3 Application Example 2 : Movement of Adaptive Region = 74
Ⅵ CONCLUSION = 76
REFERENCE = 80
APPENDIX = 8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축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