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고등학교 『정치』교과서에 나타난 성의식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Gender Bias in the Politics Textbooks of High School
Abstract
오늘날 여성의 지위가 많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영역에 있어서는 참여율이 극히 미약하여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국회의원이나 공무원 등의 상위적 여성의 비율이 매우 낮다. 이렇게 여성 참여가 낮은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큰 요인은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남성 중심적인 가치관과 지배체제를 유지해 왔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미래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양성이 조화로운 인격 형성이 중요하며 학교교육도 이를 지향하고 있다. 양성 평등을 위해서는 교과서에서 제공하는 성의식도 양성에 대해 균형적인 시각을 가져야 하므로 고등학교의 심화선택 과목인 정치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에 명시적·잠재적으로 제시된 성의식이 균형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의 성별 편중성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 저자의90%가 남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것은 우리나라 사회과 정치영역의 교과서 개발이 남성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교과서의 사진과 삽화에 여성과 남성 중 어느 성이 많이 출현하는 하는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남성이 등장한 삽화가 여성이 등장하는 삽화의 수보다 6배가 높았다. 교과서에 하나의 성이 우세하게 등장하게 되면 실제교육과정 과는 별개로 학생들에게 성차별적인 의식을 심어줄 수 있다. 셋째, 여성과 남성의 사진·삽화 중에서 정치활동과 관련된 사진과 삽화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정치지도층에서는 여성의 사진이나 삽화의 비율이 현저히 낮았으며 여성은 투표자와 선거운동 참여자 등 수동적인 참여자로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의 숫자 뿐 아니라 비중있게 등장하는 인물 또한 남성이 대부분이었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남성 인물은 각국의 정치지도자, 사회 모순과 인권 향상을 위해 노력했던 인물, 경제발전을 주도하거나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던 인물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여성인물이 등장한 경우는 한 교과서에 한두명 정도였으며 내용의 비중도 매우 적었다. 다섯째, 성차별적 고정 관념에 대한 관점에서 교과서를 분석하여 본 결과 여성은 직접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봉사활동과 시민단체의 시위에 참여하는 모습을 주로 보여줌으로서 정치의 주도자는 남성이고 여성은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인식을 지속적으로 심어주고 있었다. 또한 현실에서 남녀평등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치 교과서에는 이를 거의 다루지 않고 있었다.
정치교육이 사회과 교육의 핵심 영역으로서 민주시민의 자질을 키워주는 역할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성편향적인 내용과 구성으로 인해 어떤 정치교과서를 접하든지 학생들은 성편향적인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학습하게 된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은 성편향성을 지양하고 양성평등하게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사진과 삽화와 같이 암묵적으로 학생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까지도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is the content of Politics textbook and understand characteristic of gender bias. The reference books are four kind politics textbooks being us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 show that 90% are male of the textbook author. Second, pictures and illustrations of male‘s more often appeared in major textbooks or showed with greater relative importance than female. Third, there are many traditional fixed-idea about role of male and female in the textbooks. Forth, a view point of women is not reflected in the politic area. Fifth, the content of women's distinction is suggested a little nowadays.
Finally, we reached with the result that politics textbooks has still gendet bias. Therefore, the practice of gender-equity education asks for removing the contents based on gender bias and reflecting a viewpoint of gender-equity education in textbook. And politics textbooks need more conten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awareness of sexual equality, with an aim tower a mere gender-neural society.
Author(s)
이은영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정치 교과서 고등학교 성의식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00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439
Alternative Author(s)
LEE, EUN YO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Advisor
류태건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6
1. 교육과 성 = 6
1) 교육에서의 성차별 = 6
2)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 교육 = 8
2. 성역할 사회화와 학교 교육 = 10
3. 양성평등의 개념 및 양성평등 교육의 의미 = 14
1) 양성평등의 개념 = 14
2) 양성평등 교육의 개념 = 16
4. 선행 연구 분석 = 20
Ⅲ. 연구 방법 = 22
1. 분석교재 = 22
2. 분석 기준과 분석 내용 = 23
1) 저자의 성별 편중성 구분 방법 = 24
2) 사진·삽화의 성별 출현 빈도수 측정 방법 = 24
3) 내용 선정의 성별 편향성 분석 기준 = 25
4) 내용 구성의 성별 편향성 분석 기준 = 27
Ⅳ. 자료 분석 및 결과처리 = 30
1. 저자의 성별 편중성 = 30
2. 교과서 내용 선정에서의 성별 편향성 = 31
3. 교과서 내용 구성에 따른 성별 편향성 = 33
1) 성별에 따른 정치참여 유형 = 33
2) 여성인물의 등장 유형에 따른 분석 = 34
3) 성별 역할 수행의 고정성에 관한 분석 = 36
4) 여성의 관점 반영에 대한 분석 = 40
5) 현실사회의 반영에 따른 분석 = 43
Ⅴ. 결론 = 44
참고문헌 = 4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