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세계화'관련 내용 연결망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Network Analysis of Globalization-related Contents in Highschool Social StudiesTextbooks
Abstract
본 논문은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화 관련 내용들의 연결망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우리는 교통?통신의 발달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간의 사회적?경제적?문화적 관계가 더 긴밀해지고 많은 사회현상이 국제적으로 서로 관련 되어있는 소위 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다. 이제 세계화는 현대사회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21세기의 창조적인 세계 시민 양성을 표방하는 제7차 교육과정의 출범과 함께 사회과 교육의 주요현안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화 관련 이론적인 배경과 함께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기술되어 있는 ‘세계화’ 관련 내용을 분석해 보고 내용 및 편성상의 문제점과 한계를 밝혀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세계화의 영역별 중심개념들 간의 비중분석이 주를 이루어 전체적인 윤곽만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사회연결망 분석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회과 교과서 내에서 세계화 관련 내용들이 어떠한 연결 관계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먼저 세계화의 개념과 역사의 의미를 살펴보고 특히 사회과 교육에서의 세계화 교육의 필요성이 왜 강조되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회과에서 강조되어지는 세계화 교육의 필요성을 학자와 기관을 중심으로 세계화 교육의 핵심이 되는 중심개념들을 분석의 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사회과 교과서의 연결망 중앙성 분석 결과, 세계화 교육의 가장 중요한 개념은 지구촌과 UN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사회과목에서는 세계체제와 관련된 지역화, 지구촌과 각종 세계적인 이슈와 연관된 개념 그리고 문화 관련개념의 연결 횟수가 많고, 인간의 보편적 가치를 설명하는 개념을 제외하고는 연결망의 연결이 활발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치 과목은 보편적 가치로는 평화, 세계 체제 분야의 UN과 지구촌, 그리고 세계적인 이슈와 문제 중 전쟁, 다극화, 양극화를 국가/국제적인 발전 분야의 주권의 개념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문화에 대한 인식 분야의 개념들은 연결망에 빠져있다. 경제 과목은 세계 체제 분야의 WTO, 지구촌이라는 개념과 세계적인 이슈와 문제 중 희소성과 경제 영역의 경쟁력, 무역, 기술의 개념이 교과서에서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편적 가치 분야의 개념들의 연결망이 활발하지 못하고, 특히 문화 인식 분야의 개념들은 대부분 연결망에서 제외되었다. 사회문화 과목에서는 보편적 가치의 분야의 기본권, 세계적인 이슈와 문제 분야의 환경오염과 희소성과 경제 영역의 기술, 문화 인식 분야의 문화의 특성과 문화변동이 활발한 연결망을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계 체제 분야의 개념들이 연결망에서 거의 제외 되었다. 법과사회 과목에서 세계체제 분야의 UN, 국제법이 보편적 가치의 분야에서는 평화개념이 활발한 연결망을 보였다.
일반사회 교과서에 대한 내용 연결망 분석 결과 일반사회 교과서가 세계화교육을 담당하는 교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미흡한 부분들이 지적되었다. 지적된 문제점들과 이에 대한 개선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세계화 교육은 인간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이해, 체제의식의 개발, 세계적인 이슈와 문제에 대한 인식, 세계적 문화에 대한 지각 등의 종합적인 시각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일반사회 교과서를 구성하고 있는「사회」,「정치」,「경제」,「법과사회」,「사회문화」교과서에 반영된 세계화에 대한 내용들이 매우 협소한 범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이를 교육내용으로 전환하는 과제가 시급하다.
새로운 교과서 서술시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국민 기본 공통과목인 10학년 사회과목의 서술방식은 인간의 보편적 가치들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연계성 있는 서술이 이루어져야 세계화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심화선택과목인 정치, 경제, 사회문화, 법과사회 과목은 해당과목과 관련된 중심적인 개념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져야겠지만, 이념과 체제 그리고 세계적인 이슈의 문제점, 문화적인 접근들을 연계시켜 종합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교과서의 서술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etwork analysis of globalization-related contents that appears in the 7th curriculum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Nowaday we are living in the so-called globalized era in which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conturies in the world are becoming intimated and many social phenomena are interrelate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Globalization has now rooted itself as a significant idea to explain the morden society and has become the main isseu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7th curriculum period which advocates fostering of the 21th century's creative world citizens
This thesis has its aim in analyzing 'globalization-related contents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period along with globalization's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oposing possible improvements by identifying problems in contents or organization. This thesis adopts social network analysis as the main opproach, and examines how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globalization are consist of, and analysis the network which appers in the 7th curriculum social studies textbooks.
First of all, the following research will look at the concept and history of globalization as well as the meaning of globalization education. It will particularly focus on why the necessity of globalization education has to be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The concept of research derives from the research and scholars that stress the important globalization education. Based on these main concepts,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globalization education reflected in 7th curriculum of highschool are analyzed.
Centrality analysis shows that global village and UN a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globalization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fter network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some ploblems were indicated in accomplishing the role of globalization. the ploblems and improvement assignments to each are written below.
For globalization Education, we should have comprehensive vision that such as universal values of human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system development, awareness about global issues and problems, perceptions about the world culture. The textbooks that are composing the social affairs division are 「society」,「politics」,「economics」,「law and society」, and「society and culture」textbook. however, the elements of content in all of these textbooks, which reflects globalization, is being repeated in a limited range. more diverse acces toward globalization and the assignment of converting it to educational contents is required immediately.
Author(s)
신호철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세계화 Social Studies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00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434
Alternative Author(s)
Shin, Ho Cheol
Affiliation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Table Of Contents
Abstract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과제와 방법 = 3
3. 연구의 제한점 = 6
4. 선행 연구 분석 = 7
Ⅱ. 이론적 배경 = 11
1. 세계화 개념 정의 = 11
가. 유사개념과 구분 = 11
나. 세계화 개념 정의 = 14
2. 사회과와 세계화교육 = 17
가. 세계화 교육의 개념 및 목적 = 17
나. 세계화 시대에 강조되는 사회과 교육의 내용 = 22
Ⅲ. 연구 설계 = 30
1. 분석 대상 = 30
가. 분석 대상 교과서 = 31
나. 분석 기준 = 32
2. 분석 방법 = 33
Ⅳ. 분석결과 = 37
1. 고등학교 사회과목 세계화 내용 분석 결과 = 37
가. 사회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망 클릭 분석 = 37
나. 사회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 중앙성 분석 = 41
2. 고등학교 정치과목 세계화 내용 분석 결과 = 45
가. 정치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망 클릭 분석 = 45
나. 정치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 중앙성 분석 = 48
3. 고등학교 경제과목 세계화 내용 분석 결과 = 52
가. 경제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망 클릭 분석 = 52
나. 경제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 중앙성 분석 = 55
4. 고등학교 사회문화과목 세계화 내용 분석 결과 = 59
가. 사회문화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망 클릭 분석 = 59
나. 사회문화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 중앙성 분석 = 62
5. 고등학교 법과사회과목 세계화 내용 분석 결과 = 66
가. 법과사회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망 클릭 분석 = 66
나. 법과사회 교과서 세계화 개념 연결 중앙성 분석 = 69
Ⅴ. 결론 및 제언 = 73
참고 문헌 = 7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