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 교재를 활용한 『운영전』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 of ‘Unyoungjeon’ using the Alternative Textbook
- Abstract
- 본 연구는 고전소설 교육 방법의 개선에 목적을 두고, 현 교육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안 교재를 통한 효율적인 고전소설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현재 고등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짚어 보고자, 7차 교육과정에서 이 수록된 단원, 학습 목표, 학습활동 과제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전소설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교육의 '수단‘이자 ‘도구’의 측면인 교재에서 찾아보았다.
그리고 기존 교과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고 고전소설 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현 교과서의 대안적 수단으로 대안 교재를 선정하였다.
대안 교재란, ‘현 공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수단으로 사용하는 교재’이다. 곧, 대안 교재라는 것은 어떤 고정된 특정한 교재가 아니라 ‘지속적인 고민을 거쳐 학습 환경과 목적에 적합한 텍스트와 학습 활동을 재구성한 수업자료’라고 할 수 있다.
국어과의 대표적인 대안 교재로는 『우리말 우리글』이 있다. 『우리말 우리글』의 단원 분석을 통해 대안 교재의 활용 현황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우리말 우리글』은 국정 교과서에 비해 학생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노력이 보이나 단원만을 살펴보았을 때 몇 가지 아쉬운 점이 보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의 대안적 수단으로 『손가락에 잘못 떨어진 먹물한 방울』을 교재로 선정하여 대안 교재로서의 가치를 분석해 본 후, 대안 교재를 활용한 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전소설 교육에 있어 오늘날까지 해결되지 않는 가장 큰 문제점인 고전소설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부분 읽기로 인해 고전소설의 진정한 아름다움과 의미를 알지 못한다는 점을 우선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사실 우리는 지금까지 교과서를 도구로 하는 수업이 아닌 교과서를 가르치는 수업을 해 왔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여전히 교과서만 가르치기에도 벅찬데다가 다른 수단으로 가르치려고 해도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현재까지도 텍스트의 개발이나 적절한 구성의 교재는 부족한 실정이며 그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도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대안 교재와 관련한 교육적 노력을 등한시 할 수는 없는 일이다.
현실을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돌릴 수 있는 힘이 교육에 있다고 믿는다. 그 힘은 교과서에도 있을 것이고 교과서 밖에서도 있을 것이다. 가능성에 대한 부족한 시도였지만 앞으로 부족한 부분을 계속 보충해 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paper is a Korean classic novel ways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purpose of leaving, to identify problems in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effective alternative to the Korean classic novel educational materials on ways to present you want.
First,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education in high school Korean classic novel thoughts look, 7th section contains training courses operating in transition, learning objectives and appropriate analysis of the challenges of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classic novel of education and status issues can be looked at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blems of the 'expedient' and 'tool' of the materials found in third party saw.
Also to change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existing textbooks, Korean classic novels of education, efficient alternative to the current textbook selection as a means of alternative materials.
Alternatives textbook is,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textbooks in use in the fiel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materials used for alternative means'. Also that means, some alternative materials is a particular textbook is not a fixed 'troubles continued through the text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 purposes of teaching materials to a forecast model' can do.
Alternative textbooks include representatives of the Korean national text book 『Urimal Urigul』. 『Urimal Urigul』is Se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alternative textbooks took a look at the significance of the situation and take advantage of. Compared to the national textbook 『Urimal Urigul』 Korean student's interest and aptitude effort considering the pantry Lesson learned, when only a few points seemed lacking.
Therefore, in this paper, alternative means of chosen as the value of alternative textbooks and then analyzed, using alternative textbooks plan to offer guidance.
Today's Korean classic novel of education does not solve the biggest problem for the student's point of a Korean classic novel, and negative perceptions, in part due to read a Korean classic novel, the true meaning of beauty and do not know that you can solve a priority basis points effective This plan will be.
In fact, we now have textbook lessons rather than as a tool to teach classes, textbooks have been criticized. Still, only teach the curriculum to teach other means pretty overwhelming, even if conditions are going to do if it is not corroborated. In addition, the current text of the development or even appropriate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and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that meet their professors - in fact, it is insufficient development of methods of learning. That does not mean that alternative; however, books and educational efforts concerning deunghan not favor it.
Reality of a better direction I believe we can turn the power of education. That power will be outside the textbooks will also be a textbook.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but insufficient part of the continuing lack of trying, I think you can fill out.
- Author(s)
- 차영임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대안교재 운영전 고전소설 교육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03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466
- Alternative Author(s)
- cha, young im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선행 연구 검토 = 4
II. 현행 고전 소설 교육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방향 = 13
2.1. 문학 교과서 고전소설 작품 수록 양상 = 13
2.2. 『운영전』수록 단원의 학습목표, 학습활동 분석 = 17
2.3.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방향 = 25
III. 대안 교재의 의의와 활용 현황 = 30
3.1. 대안 교재의 의의 = 30
3.2. 국어과 대안 교재의 구성과 활용 현황 = 35
3.2.1. 국어과 대안 교재의 구성 = 35
3.2.2. 국어과 대안 교재의 활용 현황 = 46
IV. 대안 교재를 활용한『운영전』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 = 51
4.1. 대안 교재 『손가락에 잘못 떨어진 먹물 한 방울』분석 = 51
4.2. 대안 교재를 활용한 『운영전』의 교육 방안과 기대효과 = 70
V. 결론 = 96
참고 문헌 = 9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