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의 사설 특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f 's description stecufucity : the case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Abstract
경남·전남의 를 대상으로 하여 각 지방별로 유형과 유형적 차원의 주제를 파악하였다. 또 에 나타난 표현과 소재를 통해 내용상 특징과 서술구조를 분석하였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된 는 총 107편이다. 그 중 전라남도는 40편과 경상남도는 11편을 대상으로 지역별 사설의 형식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경남 의 사설구성과 표현방식, 그리고 사설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친정부모 부고’는 으로 볼 수 있고, 시련의 대상은 시어머니, 시아버지, 올케 등 사설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시집살이 신세’에서는 을 겪는 것으로 보았다. 화자는 시련 후, 자신의 마음을 의지하고 싶은 ‘임’을 찾기도 한다. 사건의 전개 양상에 따라 일의 고됨, 친정부모 부고, 시련, 기원으로 나누어 각 유형의 사설마다 특징적인 구조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전남 의 사설구성과 표현방식, 사설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전남에서는 사설이 많은 만큼 형식과 소재, 비유적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사설 내용을 크게 분류하면 금봉채 11편, 중의 복색 4편, 신세한탄 6편이다. 경남과 마찬가지로 소재별로 뚜렷한 구분이 되어 지역적으로 분명히 차이가 있다. 특히 여성들이 자신의 경험과 인식, 감정을 다른 지역에 비해 자세하게 표현한다. 일의 고됨, 신세한탄, 소망 등을 자신이 처해 있는 현실과 함께 다양한 비유적 방법을 통해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Ⅳ장에서는 경상남도와 전라남도의 지역적 전승양상과 그 의미로 지역민의 생활의식을 반영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산간지방이 많은 경남지방은 지역적 특성에 의해 민요가 다양하게 전승되기 힘들었고, 그에 비해 전라남도는 평야를 중심으로 마을이 발달하여 왕래가 쉬운 만큼 사람들끼리 생활 의식과 처지를 활발히 전하였다. 구비문학의 특성상 전승이 활발한 만큼 사람들 사이에서 노래가 덧보태어지면서 내용 또한 풍부해질 수밖에 없다. 그것이 어느 한 시기에 공통적인 유형으로 지역적 특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이 논문은『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된 중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연구범위에 한정하여 서술구조와 표현방식, 사설의 내용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지역적 전승양상과 그 의미를 찾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하지만 한정된 연구범위에서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다른 지역과의 유기적 관계와 특성을 통하여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의 깊이 있는 연구는 다음 과제로 남긴다.
The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s justice in the object and grasped the subject of type and type dimension at each region by. Also a contents as a matter of feature and a description structure expression and the subject matter which appear led and analyzed. was recorded total a volume 107 in『General Introduction to the Oral Literature of Korea』. Among the rest Jeollanam-do 40 side and Gyeongsangnam-do 11 side tried to observe the formal quality and a contents quality of area by editorial in the object.
The chapter Ⅱ tried to observe the editorial composition of the Gyeongsangnam-do and meaning of expressive method and editorial from the market. In there is a possibility maiden home parents obituaries seeing, the object of ordeal appears every the mother-in-law, the father-in-law and sister-in-law etc. editorial little by little different. husband's houses saw with the fact that undergoes from an indebtedness the flesh. The anger person after ordeal, leans the mind of oneself and also the searching does. According to development aspect of event rose being hard, divided every editorial of each type tried with maiden home parents obituary and, ordeal and era to observe the structure which is characteristic.
The chapter Ⅲ tried to observe the editorial composition of the Jeollanam-do and meaning of expressive method and editorial from the market. The editorial as was many from the Jeollanam-do and format and subject matter and figurative method variously appeared. When classifies an editorial contents on a large scale, the gold seal not yet 11 side, the appearance a priest 4 side and indebtedness deploring 6 is easy. With the Gyeongsangnam-do and the same becoming the broad assortment with subject matter, by regionally clearly there is a difference. Specially the women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oneself, compare in the area where is different a sentiment and they express in detail. Work being hard, indebtedness deplores, desire etc. with the actuality where oneself is being placed together the figurative method which is various leads and the fact that shows is feature.
The chapter Ⅳ reflecting an area public opinion life consciousness with regional victory aspect and the meaning of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confirmed from the market. The Gyeongsangnam-do region where the mountainous area is many in compliance with a regional quality the folk song variously, winning a victory, was difficult, compared in that and Jeollanam-do the plain the village advanced in the center and the traffic as is easy actively conveyed people among life consciousness and a situation. The quality as a matter of victory of having literature as is and liveliness from between the people song to make up to come contents also there is not only a possibility of becoming abundantly. To make a regional quality keep in the type where it is common in which one time.
This dissertation while being recorded in 『General Introduction to the Oral Literature of Korea』 about contents feature of expressive method and editorial limited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in research scope and with description structure analyzed. Did so and the goal which tries to seek a regional victory aspect and the meaning put. But leads a conclusion from the research scope which is limited and is insufficient is. Organic relationship and quality with the different area leads and with national is ranging the research which is depth leaves with the next subject.
Author(s)
강정미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밭매기 노래 사설 지역적 전승양상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05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486
Alternative Author(s)
Kang, Jung M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곽진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목적과 방법 = 1
2. 선행 연구의 검토 = 5
Ⅱ. 경남 〈밭매기 노래〉의 사설 특성 = 9
1. 사설구성과 표현방식 = 9
2. 사설의 의미 = 24
2.1 친정부모 부고 = 26
2.2 시집살이 신세 = 35
Ⅲ. 전남 〈밭매기 노래〉의 사설 특성 = 38
1. 사설구성과 표현방식 = 38
2. 사설의 의미 = 52
2.1 금봉채 = 54
2.2 중의 복색 = 59
2.3 신세한탄 = 62
Ⅳ. 지역별 전승양상과 의미 = 69
Ⅴ. 결론 = 72
참고문헌 = 7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