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보육 시설장의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는 보육시설 시설장의 직무 환경실태 분석과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시설장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 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시행하기 위한 연구대상 표본은 부산지역에 위치한 국, 공립보육시설장과 사립보육 시설장 1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시설장의 주요 배경적 특징으로는 보육시설 설립 주체별로 구분하였고, 시설장의 학력, 현재 근무 중인 보육시설 규모별 학급 및 인원수, 교직경력, 시설장의 자격 종류별 유형, 전공분야, 근무지역, 시설장의 경력, 시설장의 연령, 보육시설의 형태, 교직원수, 보육시설 주변지역 환경, 시설장의 보수, 결혼여부, 시설장의 성별 등에 대한 일반적인 개인적 특성과 내용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SPSSWIN(ver.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시설장의 직무만족도는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영역별로는 교육 및 교사활동 영역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며, 재정 및 사무관리 영역은 전 분야에 걸쳐 만족도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이는 특히 어린이집 시설규모별 인원수에 따른 만족도와 영향이 있으며, 인원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보육 시설장은 직무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정 및 사무관리 영역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는 영역은 시설 및 교재관리 영역으로 앞서 언급한 직무 만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시설장의 직무 만족과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직접적인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영역별로 보면 재정 및 사무관리 만족과 재정 스트레스 간에 부적 상관의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대한 만족과 직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부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상호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직무 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가 반드시 완전한 부적 상관에 가깝지는 않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fold. First, this study analyzed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ho work in Busan.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 on personal background,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Major background variabl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cluded type of institution, educational background, size, educational career, type of certification, major, district, ag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center directors generally showed relatively high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alysis by domain showed education and teacher activity was the highest area of satisfaction and financial and management was the lowest of satisfaction.
Seco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xperienced relatively high degree of job stress. They experienced the highest degree of stress in the domain of financial and official management and the lowest degree of stress in the domain of facility and teaching material management.
Thir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 job stress and the relationship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job domai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researches.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on theory and practices were also discussed. Finally, the future research areas were suggested with comments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uthor(s)
김미숙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보육시설장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05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488
Alternative Author(s)
Kim, Mi Soo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Advisor
이희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5
3.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1. 보육 시설장의 직무 = 7
가. 보육 시설 현황 = 7
나. 보육 시설장의 직무 = 9
2. 직무만족 = 12
가. 직무만족의 개념 = 12
나. 직무만족 이론 = 14
다. 직무만족의 관련 요인 = 15
3. 직무스트레스 = 17
가.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 17
나.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요인 = 19
4. 선행 연구의 고찰 = 20
Ⅲ. 연구 방법 = 26
1. 연구 대상 = 26
2. 측정 도구 = 29
3. 연구 절차 = 31
4. 자료 처리 = 3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3
1. 연구 결과 = 33
가. 보육 시설장의 직무만족 분석 = 33
나. 보육 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 분석 = 42
다. 보육 시설장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 = 53
2. 논의 = 56
Ⅴ. 요약·결론 및 제언 = 64
1. 요약 = 64
2.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7
부록 = 7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