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소백산육괴 서남부 보성-순천 지역의 반상변정편마암내 알칼리장석 거정의 생성 기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origin of alkali-feldspar megacrysts in porphyroblastic gneisses from Boseong-Suncheon area in southwestern Sobaeksan massif
Abstract
소백산육괴 서남부 보성-순천 일대에는 상당수의 알칼리장석 거정을 포함하는 소위 반상변정질 편마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Vernon(1986)은 자형의 결정 우세, 거정의 배열성과 군집, 거정 내 Ba의 함량 변화, 진동 성장대, 포유물의 패턴 등을 증거로 화성기원의 반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춘희 등(2001)은 소백산육괴 지리산 일대에 분포하는 알칼리장석 거정을 함유한 암체를 잔류반상 화강편마암(Blastoporphyritic granite gneiss)이라 명명한바 있다.
본 역에 나타나는 소위 반상변정질 편마암은 장경 5cm~10cm정도(평균 7cm)이며, 10cm를 넘는 자형에서 반자형이 우세한 알칼리장석 거정을 가진다. 이런 거정은 엽리와 나란한 배열성을 가지며, 일부영역에 군집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알칼리장석 거정들은 격자형쌍정을 보이는 미사장석들이며, 퍼싸이트 조직을 보인다.
경우에 따라 주변부(rim)를 가지는 것도 있고, 거정 내부에 석영, 사장석, 흑운모 같은 포유물을 가지는데, 포유물들이 동심원상의 누대구조를 따라 배열된 경우를 흔히 관찰할 수 있다.
현미경 하에서 주 구성광물은 알칼리장석, 석영, 사장석, 흑운모 등이며, 부 구성광물은 석류석, 각섬석, 전기석, 백운모 등이 있다.
흑운모와 전기석 등은 부분용융에 의해 광물 내에 석영이나 알칼리장석이 충진 된 것을 관찰할 수 있고, 사장석은 거의 자형이었던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 모서리가 융식된 것으로 보아 부분용융 혹은 그 이상의 변성작용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알칼리장석 거정들이 주로 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거정 내에 광물 포유물들이 동심원상의 누대구조를 따라 배열되는 등의 증거는 거정이 마그마 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알칼리장석 거정이 주변부에 덧성장한 조직을 보이는 것은 후기에 변성작용 과정 동안 재결정되었음을 보여준다.
In the Boseong-Suncheon area, SW Sobaeksan Massif in Korea, extensively occurs Precambrian gneiss complex consisting of porphyroblastic gneisses (PGN), granitic gneisses, biotite gneisses, migmatitic gneisses and pelitic gneisses .
PGN of these Precambrian gneisses include alkali-feldspar megacrysts whose origins, magmatic or metamorphic, are debatable yet. This study focuses on petrographic features of alkali-feldspar megacrysts in PGN to clarify their origin.
Most of all megacrysts in PGN are microclines showing cross-hatched twinning and microperthitic textures.
Alkali-feldspar megacrysts in PGN are 5 cm to 10 cm (average 7 cm) in length and sometimes are up to 20cm. Megacrysts of alkali-feldspar in PGN largely show euhedral to subhedral shape and often have recrystallized rims.
Most megacrysts in PGN contain inclusions of quartz, plagioclase and biotite which are often concentrically arranged. Some megacrysts show randomly oriented inclusion patterns. Muscovite and tourmaline inclusions in some megacrysts show deformation fabric.
In conclusion, most evidence of euhedral shape of megacryst, concentrically arranged inclusion patterns favours a magmatic/phenocrystic origin for alkali-feldspar megacrysts in PGN from the study area.
But, rims surrounding some alkali-feldspar megacrysts might be overgrown on initial magmatic megacrysts during later metamorphism.
Author(s)
신지완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alkali-feldspar megacrysts phenocryst porphyroblast Sobeaksan massif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07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14
Alternative Author(s)
Shin, Ji W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과
Department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Advisor
송용선
Table Of Contents
LIST OF FIGURES = iii
LIST OF TABLES = v
abstract = vi
I. 서언 = 1
II. 일반지질 = 3
III. 암석기재 = 6
1. 반상변정질 편마암 = 6
2. 화강암질 편마암 = 10
3. 흑운모 편마암 = 14
4.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 = 15
IV. 알칼리장석 거정의 암석기재적 특성 = 17
1. 이론적 배경 = 17
(가) 반정(Phenocryst) = 17
(나) 잔류반상조직(Blastoporphyritic texture) = 18
(다) 반상변정(Porphyroblast) = 18
2. 알칼리장석 거정의 특성 = 21
(1) 거정의 배열과 군집 = 21
(2) 거정의 모양 = 23
(3) Rim의 존재 유무 = 26
(4) 포유물의 패턴 = 28
(5) 현미경하에서 거정의 조직적 특성 = 32
V. 광물화학 = 38
1. 장석류 = 38
2. 흑운모 = 38
VI. 토의 = 55
VII. 결론 = 56
참고 문헌 = 58
요약 = 6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