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아동의 주의력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of Atten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and School Adaptation
Abstract
최근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주의집중이 잘 안 되는 아동들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기본적인 과제 학습에 참여하지 못해 학업성취의 문제를 일으켜 학습 부진을 초래가기도 하고 주변 아동들에게까지 여향을 미쳐 학급전체의 수업효과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또한 충동성과 과잉행동을 보이며 다른 아동들과 잦은 싸움으로 인해 교사와 부모의 어려움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그동안의 연구들은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성취가 많고 또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본 학교적응의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일반적인 보통 아동 중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단계는 아니지만 주의력이 조금 떨어지는 아동들의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수업 중에 볼 수 있는 주의력이 조금 떨어지는 아동들과 학업 성취의 차이와 또 학교적응의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주의력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규명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우선 아동의 주의력, 학업성취, 학교적응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아동의 주의력에 따라 학업성취에 차이와 아동의 주의력에 따라 학교적응에 차이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용색선로검사(CCTT) 검사를 실시하고 학교적응 설문지를 작성했으며 1학기와 2학기의 기말고사 성적을 학업성취의 기준으로 삼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주의력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평균이하집단과 평균 이상 집단으로 나누어서 주의력 정도에 따른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주의력이 높은 아동이 학업성취 결과도 높다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왔으며 특히 주의력의 영역 중에서 분할 주의력이 학업성취와 더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의력과 학교적응의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주의력과 학교적응과는 상관이 없는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본 연구는 1개 초등학교 재학중인 6학년에 한하여 표집된 바 후속적으로 보다 광범위한 연령층 및 다양한 배경을 지닌 아동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주의력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의 관계를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CCTT의 검사의 여러움으로 최소인원인 60명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추후 연구에는 좀더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하여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inateentive students are easily found in the education field of primary school. They cannot often concentrate on the basic coursework, so they get in trouble wiht schoolwork attainment.
It brings about poor lesson progress and the lesson effect reduction of the entire class. Also, their impulse, hypercativity and lots of fights with other students increase the difficulties of parents and teachers.
Studies for years are about the school life adaptaion and schoolwork attainment or most of the studies were about school adaptation of ADHD students.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there are almost no studies about a little inattentive students who are not inthe stage of ADHD. It appeared to me that we need to know the correlation of a little inattentive students who can be found in any school hours with learning attainment and school adaptation.
So,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students' attentive with learing attainment and school adaptation.
First, the subject of theis study is examining the relation of the children's attentive, learing attainment and school adaptation and then studying the learning attaintment diferences accoring to the children's attentiveness and diferences of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he the children's attentiveness.
The questionnaire for school adaptation are made out after doing CCTT Test carried by children, sixth level in the primary school in Pusan. Pearson's 적률상관계수 was produced from the data, first and second final exam grades, as the standard of learing attainment through using SPSS 12.0 program.
The differences of learing attainment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attentiveness were analyized through separation sample T verification after deviding two groups, an above the average group and an below the average one, with a standard which is attentiveness standard grade.
Exami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very remarkable result, the learning attainment result of the students with high attentiveness was higher than the students with poor attentiveness, was produced. Especially, partion attentiveness is related with learning attainment more in the field of attentiveness.
But, any remarkable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learning attainment and attentiveness, It was produced that attentiveness is not related with school adaptation.
The proposal for the following study is like following.
First, the following study needs to examine the relation of attentiveness with learning attainment and school adaptaion through the research carriying out by the chlildren of wider scope age group and by the children with various background becau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only one group, one sixth level students in one primary school. Second, the following study needs to increase the accuracy with the more students becau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60 students, the minimum number of students, owing to the difficulties of CCTT test.
Author(s)
김혜진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Children of Attention Academic Achievements School Adaptation CCTT test educational psychology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09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33
Alternative Author(s)
Kim, Hye 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Advisor
이경화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5
3.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1. 주의력의 발달 = 7
2. 주의력과 학업성취 = 14
3. 주의력과 학교적응 = 16
Ⅲ. 연구방법 = 26
1. 연구대상 = 26
2. 연구도구 = 26
3. 자료처리 및 분석 = 29
Ⅳ. 연구 결과 = 31
1. 아동의 주의력, 학업성취, 학교적응의 점수 분포 = 31
2. 아동의 주의력, 학업성취,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 33
3. 아동의 주의력에 따른 학업성취의 차이 = 35
4. 아동의 주의력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 39
Ⅴ. 논의 및 결론 = 44
1. 논의 = 44
2. 결론 = 47
참고문헌 = 49
부록 = 5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