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더리의 시각노화를 고려한 공공디자인의 문제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public design problem of Elderly Considering Yellowed Eye Sight of the Aged
- Abstract
- Life expectancy has been improving due to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decrease of birth rate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n recent modern societies. Accordingly, it’s speeding up that we enter into an aging society.
In an aging society, it is necessary the color for public design is planned appropriately considering features for the elderly’s eyesight.
Information achievement through eyesight consists of more than 80% percentage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senses.
Deterioration of eyesight causes inconvenience for independent lives for the elderly. Fine arrangement of colors can contribute to the elderly’s safety and independent lives.
This study figures out color recognition and confusion range of the elderly in aging process, find out problems of public design and consider how to cope with it based on eyesight ability for the elderly.
I could approach the problem of public design with point of view from the elderly. I realize that it’s not an specific issue only for the elderly. It’s being socialized and collectivized at the same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bring out the problem of public design and apply it for better arrangement of colors for improvement and right attitudes towards life.
- Author(s)
- 권명숙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시각의 노화 공공디자인 엘더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0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39
- Alternative Author(s)
- kwen, myung-su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Advisor
- 김선화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방법 및 범위 = 3
3. 연구의 한계점 = 4
II. 배경 이론의 고찰 = 5
1. 엘더리의 개념 및 특성 = 5
가. 엘더리의 개념 = 5
나. 엘더리의 특성 = 7
(1)정신·신체적 특성 = 7
(2)심리적 특성 = 8
(3)사회적 특성 = 9
2. 엘더리의 등장배경 = 11
가. 고령사회의 진입과 유년인구 감소 = 11
나. 가족 구조의 변화 = 13
다. 사회적 환경 및 가치관의 변화 = 15
3. 엘더리의 시각노화 특성 = 16
가. 시각의 노화 = 17
나. 눈의 생리적 특성 = 20
(1)어둠에 대한 순응력 저하 = 20
(2)암순응과 색 지각의 관계 = 22
다. 시계황변화의 이해 = 24
(1)시계황변화의 개념 = 24
(2)시계황변화에 따른 색채지각의 변화 = 27
(3)일상 생활 속의 색 변화 = 28
(4)시계황변화로 인한 색채 오인 = 30
4. 엘더리와 조도 = 33
가. 조도의 개념 = 33
나. 엘더리와 조도 = 33
다. 엘더리와 문자의 가독성 = 36
Ⅲ. 엘더리의 시각 노화를 색채 계획 = 38
1. 공공디자인과 색채문제 = 39
2. 색채의 기능과 효과 = 40
가. 색채의 기능 = 40
(1)심리·생리적 반응의 기능 = 40
(2)상징기능 = 42
(3)식별기능 = 43
(4)커뮤니케이션 기능 = 43
(5)안전기능 = 44
(6)반사·흡수의 기능 = 45
나. 색채의 효과 = 45
3. 엘더리의 시인성과 색채계획 = 47
Ⅳ. 엘더리의 시각노화 특성으로 인한 색채 지각의 변화 = 51
1. 분석 프로세스 = 52
2. 공공디자인의 색채 지각 분석 = 54
가. 안내사인·유도사인 = 54
(1)화장실 픽토그램 = 54
(2)요금정보 안내사인 = 55
(3)지하철역 안내사인 = 56
(4)부산역 유도사인 = 57
(5)지하철 유도사인 = 58
(6)유도등 = 61
나. 지하철 노선도 = 62
다. 병원 = 66
라. 컴퓨터 = 71
Ⅴ결론 및 제안 = 72
Abstract = 74
참고문헌 = 7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