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 Alternative Title
- A Narrative Inquiry of Teacher's for Children's Creative Education
- Abstract
- 교사들과의 내러티브를 통해 유아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의 의미에 대해 알고 창의성 교육을 실천하는 방법과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이 생각하는 유아 창의성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유치원 교사들이 생각하는 유아 창의성 교육의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 창의성 교육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이에 따라 본 연구는 11명의 유치원 교사들이 참여한 내러티브 탐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내용은 다음과 같이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유아의 창의성은 교사들의 이론적인 정보를 통한 창의성의 의미와 유치원에서 아이들을 통해 알아가는 창의성의 의미로 나눌 수 있고, 창의적인 아이는 남과 다른 아이로 의미를 해석하였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 교육은 유아들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교육임을 이야기하는 과정을 통해 그 의미를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아들을 양성하는 교사가 창의성 교육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교사들이 보는 창의적인 교사는 다방면에서 남과 다른 교사라고 의미를 해석함을 통해 창의성 교육의 의미를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 창의성 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창의성 수업을 계획하지만 교사가 창의성에 대해 잘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어려움을 느낀다고 했다. 그리고, 창의적인 수업을 하고 싶어도 교사 역할의 한계점과 유아의 인원수, 관리자의 요구, 다양한 행사, 과중한 업무 등으로 인해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교사들은 현장에 가장 적합한 실제적인 교사, 학부모, 관리자 연수기회를 확대하고, 유아 발달에 적합한 창의성 전문자료, 유치원의 실태파악을 정확히 해달라는 요구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 창의성 교육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었다.
The paper seeks to examine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teachers' narratives and to explore methods and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creativity education.
To attain these goals, the paper establish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as thought by nursery school teachers?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as thought by nursery school teachers?
Third, how do nursery school teachers implement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Guided by these questions, the paper arrived at following implications by interpreting data gathered through narrative inquiry participated by 11 nursery school teachers.
First, children's creativity could be divided into meaning of creativity through teacher's theoretical information and meaning of creativity learned through dealing with children in nursery school, and creative children were interpreted as ones who were different from others.
Second, the paper was able to discover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telling the story of that the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is necessary education for children's present as well as future. Further, teachers who educate children took a significant role in creativity education, and the paper was able to discover the meaning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interpreting that ordinary teachers view creative teachers as different teachers in multifarious ways.
Thir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teachers communicated that they plan out creativity lessons but they don't quite fully understand creativity, and thereby their feeling of difficulties. Moreover, despite their want for implementing creative lessons, teachers faced numerous difficulties due to limitation of teacher's role, the number of children to be taught, demands of manager, various events, and burdensome works. While teachers voiced their demands on expanding training opportunities for realistic teachers most appropriate to the site, parents and managers, and on accurately conducting research on gathering actual conditions of nursery schools and professional data about creativity appropriate for children's development, the paper was able to interpret the implication of how nursery school teachers were implementing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 Author(s)
- 오현옥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창의성 유아 창의성 교육 내러티브 탐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2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59
- Alternative Author(s)
- Oh, Hyun O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Advisor
- 황희숙
- Table Of Contents
- Ⅰ. 이야기를 시작하며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5
3. 용어의 정의 = 5
Ⅱ. 전통연구와의 말 걸기 = 7
1.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 = 7
가. 유아의 창의성 = 7
나. 유아의 창의성 교육 = 8
2. 왜 내러티브이어야 하는가? = 11
가. 내러티브 탐구의 배경 = 12
나. 내러티브 탐구의 필요성 = 14
다.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 15
Ⅲ. 현장에 다가서기 = 19
1. 연구 참여자 = 19
2. 연구 절차 = 21
3. 자료 수집 및 분석 = 24
Ⅳ.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야기 = 26
1. 창의성의 의미 = 26
2. 유아 창의성 교육의 의미 = 37
3. 유아의 창의성 교육의 실천 = 49
Ⅴ. 이야기를 정리하며 = 75
1. 요약 및 논의 = 75
2. 결론 = 79
참고문헌 = 80
부록 = 8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