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強占期下の台湾と朝鮮の日本語教授法研究
- Alternative Title
- 일본강점기하의 대만과 조선의 일본어 교수법 연구
- Abstract
- 일본은 명치유신에 성공하고, 천황을 정점으로 하는 근대통일국가를 수립했다. 국력이 대외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대만을 점령하고,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조선에 있어서의 지배권을 확대해 나갔다. 1910년 조선을 식민지로 한 일본은, 「조선교육령」을 실행하고, 일본어를『국어』로 한, 일본어교육의 본격화를 꾀하였다.
그 중, 조선을 식민지화한 일본이 직면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는 조선을 일시적인 착취대상이 아닌, 교육을 통하여 일본인으로 동화시키는 것에 있었다.
이러한, 점령지에 있어서 동화의 가장 빠른 길을 교육과 그에 따른 일본의 지배 정책이라는 측면에서 행해지고 있는 연구는 다양한 각도에서 진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행해지고 있는 연구 관점인, 일본어를 식민지체제를 존속시키고 안정된 통치를 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기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언어본질의 기능과 교육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여, 점령지에 있어서 일본어 교육의 교수법에 대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즉,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일본의 점령지에 있어서의 일본어 교수법이다.
1895년, 중일전쟁에서 승리하고, 대만을 할양받은 일본은, 대역법과 직접법으로 일본어를 가르치고, 뒤이어 조선에서는 山口喜一□의 직접법으로 일본어를 가르쳤다. 일본은 점령지인 대만과 조선에서 일본어를 보급하기 위해, 직접법으로 교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본어 교수법의 도입 및 개발 배경과 변천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서, 특히 대역법에서 직접법으로의 연결이 이루어졌던 대만과 조선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강점기하의 대만과 조선에서 가르쳐졌던 교수법의 실태와 변천의 고찰에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외국어 교수법의 개념을 조사하여 정리하고, 대만에서의 일본어교수법의 개발 및 성과를 시작해 조선에서의 일본어 교수법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 결과, 대역법과 직접법의 개념을 조사하여 정리하였고, 대만에서 대역법으로 가르쳐진 경위와 당시의 수업 및 직접법으로 변천되는 과정, 이후에 조선에서『국어』교육으로써 가르쳐진 일본어의 교육 목적 및 방법으로써의 일본어 교수법의 흐름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어 교수법은, 일본의 지배 정책의 수단으로써 행해진 언어정책이며 정책의 바탕에 깔려 있는 통치 이념을 배제하고서, 독립적으로 바라 볼 수 없기에, 좀 더 다각적인 측면에서 당시 일본어 교육을 고찰해야 할 것이다.
- Author(s)
- 구정희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일본어 교수법 대역법 직접법 조선 대만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2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6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Advisor
- 孫東周
-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 1
1. 硏究の背景及び目的 = 1
2. 先行硏究のレビュ- = 3
3. 本硏究での課題設定 = 8
4. 硏究の方法 = 9
4.1. 資料の限定 = 9
4.2. 用語や槪念の定義 = 10
Ⅱ. 「日本語」 敎授法の硏究 = 11
1. はじめに = 11
2. 日本語敎育に影響を與えた敎授法 = 12
2.1. 對譯法(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 13
2.1.1. 文法敎授法(Grammar Method) = 14
2.1.2. 飜譯敎授法(Translation Method) = 16
2.2. 直接法(Direct Method) = 17
2.2.1. グアンの敎授法 = 18
2.2.2. ベルリッツの敎授法 = 19
2.2.3. パ-マ-の敎授法 = 21
2.2.4. ASTP (Army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 23
3. おわりに = 24
Ⅲ. 台灣における 「日本語敎育」 = 25
1. はじめに = 25
2. 台灣での 「日本語敎育」 = 26
2.1. 台灣での伊澤修二 = 26
2.1.1. 伊澤修二の敎育活動 = 26
2.1.2. 伊澤修二と對譯法 = 28
2.2. 台灣での日本語敎育機關 = 30
2.3. 台灣での 「日本語敎育」 に對する評價 = 32
3. 台灣の敎授法の變遷 = 35
3.1. 芝山巖での授業 = 36
3.2. グアンの敎授法の發見 = 38
4. おわりに = 41
Ⅳ. 朝鮮における 「日本語敎育」 = 43
1. はじめに = 43
2. 朝鮮における 「日本語政策」 = 44
2.1. 保科孝一のヨ-ロッパでの體驗 = 45
2.2. 保科孝一と朝鮮における 「言語政策」 = 47
3. 『國語』 として敎えられた日本語 = 50
3.1. 4期にかけて公布された「朝鮮敎育令」 = 51
3.2. 山口喜一郞の敎育活動 = 54
3.3. 『國語』 敎科書から見られる日本語敎授法 = 56
4. 朝鮮での「日本語敎育」に對する評價 = 58
5. おわりに = 61
Ⅴ. 結論 = 62
參考文獻 = 6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