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日本語學習指導方法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일본어학습 지도방법 연구 : 초·중급 일본어학습자의 작문 오용분석을 통해
Abstract
제 2언어습득 과정에 있어서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오용은 학습자의 학습발달 과정 및 학습 상태를 나타내는 근거가 되며, 교수자에게 있어서는 교수 현장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피드백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되므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처럼 학습자에게 있어서나 교수자에게 있어서나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오용을 발견하고 분석하여 언어습득에 방해가 되는 요인을 찾아내는 오용분석 연구의 중요성은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다.
종래의 많은 오용분석 연구는 선택식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가 범하기 쉬운 오용을 조사하여 그 원인을 모어의 간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제 교수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지도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단지 그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그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보다 자연스러운 오용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직접 작성한 작문에서 오용례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바,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보다 총체적인 오용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학습자가 직접 작성한 작문에서 나타난 오용례를 고찰 대상으로 하여 오용의 실태 및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원인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실제 일본어 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오용분석 방법으로는 학습 수준은 초?중급으로 거의 동일하지만, 학습 환경과 조건이 서로 다른 두 집단의 작문에 나타난 오용을 표기, 어휘, 문법, 표현 등의 네 개의 항목으로 대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오용분석 결과, 학습 수준이 거의 동일한 조건하에서는 학습 환경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오용의 경향이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과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일본어학습자가 목표언어인 일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점에서 특히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①한자의 표기
②유의어의 사용법
③조사「ノ」의 생략
④장소를 나타내는 조사 「ニ」와「デ」의 혼동
⑤동사의 「~テ」형 학습
⑥인용절「~と思う/~と言う」과 관련된 「ダ」의 첨가?탈락
⑦イ형용사·ナ형용사 활용형의 혼동
본고에서는 오용례의 분석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문제점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지도방법을 실제 일본어 교육현장에 적용시켜 실효성 여부를 직접 검증해 보는 것은 금후의 과제로 삼고 싶다. 본 연구가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육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는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오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지도방법의 고안과 교재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Author(s)
이은아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日本語學習 誤用分析 誤用 作文 指導方法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3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66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Advisor
손동주
Table Of Contents
Ⅰ. 序論 = 1
1. 硏究の目的 = 1
2. 誤用と誤用分析硏究 = 2
2.1. 誤用分析硏究の展開 = 2
2.2. 誤用の定義 = 3
2.3. 誤用分析硏究の意義と限界 = 5
Ⅱ. 先行硏究 = 7
1. 誤用分析硏究の現況 = 7
2. 主な先行硏究 = 10
Ⅲ. 初·中級日本語學習者の作文誤用分析 = 14
1. 本稿の誤用分析 = 14
1.1. 調査の對象及びデ-タ收集の方法 = 14
1.2. 誤用項目の分類 = 15
2. 作文に現れた各項目別誤用の傾向 = 17
2.1. 表記の誤用 = 17
2.1.1. 假名の誤用 = 18
2.1.2. 漢字の誤用 = 21
2.1.3. 發音表記の誤用 = 24
2.2. 語彙の誤用 = 29
2.2.1. 名詞の誤用 = 30
2.2.2. 形式名詞の誤用 = 31
2.2.3. 動詞の誤用 = 35
2.2.4. イ形容詞·ナ形容詞の誤用 = 37
2.2.5. 副詞の誤用 = 39
2.2.6. その他の語彙の誤用 = 41
2.3. 文法の誤用 = 46
2.3.1. 活用の誤用 = 47
2.3.2. 助詞の誤用 = 53
2.3.3. ヴォイスの誤用 = 58
2.3.4. テンス·アスペクトの誤用 = 61
2.3.5. モダリティの誤用 = 62
2.3.6. 接續の誤用 = 66
2.3.7. 語順の誤用 = 67
2.4. 表現の誤用 = 67
3. 誤用分析の結果 = 68
3.1. 各項目別誤用の傾向 = 68
3.2. 誤用例からわかった日本語學習上の問題点 = 69
Ⅳ.日本語學習の指導方法の考察 = 72
1. 表記の指導 = 72
1.1. 漢字の字形に關する指導 = 72
1.2. 漢字の字體に關する指導 = 75
1.3. 漢字の同音異字に關する指導 = 76
2. 語彙の指導 = 77
3. 文法の指導 = 80
3.1. 助詞の指導 = 80
3.2. 活用の指導 = 83
4. 表現の指導 = 87
Ⅴ. 結論 = 88
參考文獻 = 91
附錄 - 作文B1の誤用デ-タ = 9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