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유아 완전통합학급 교사들의 내러티브 탐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eachers' Narrative at Fully-integrated Class with Disabled Children
- Abstract
- 본 연구는 비장애유아와의 완전통합교육을 하는 일반유치원교사들 중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았으며, 특수교육에 관한 연수나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뿐만 아니라 어려움과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치원 현장에서 완전통합학급 교사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일반 유치원 현장에서 완전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유치원교사들이 당면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일반유치원 현장에서 완전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유치원교사들의 요구는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 결론은 첫째, 장애유아와의 완전통합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일반 유치원교사들은 장애유아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 그리고 장애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으나, 통합교육을 통해 장애에 대한 긍정적이고 수용적으로 점차 바뀌어가고 있으며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중요함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다.
둘째,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있어서 장애유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 부족과 교육과정 계획 및 전개, 교수자료 선택 및 부모와의 관계상의 어려움 등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완전통합학급의 교사들은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장애유아에게 적합한 시설개선과 전문가 및 보조인력 배치, 현장연수 활성화가 필요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attitudes, difficulties and needs of ordinary kindergarten teachers conducting a fully-integrated education with ordinary children who had neither been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nor had any training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First, how do the teachers of fully-integrated classes recognize the disabled children in actual ordinary kindergartens? Second, what types of difficulties do they have in actual ordinary kindergartens? Third, what types of demand do they need in ordinary kindergarten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below.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ordinary kindergarten teachers running fully-integrated classes with the disabled children had a fear, an aversion and a prejudice agains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ir attitudes have been gradually changed into positive and receptive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and have recognized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Second,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a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n the disabled children in the operation of fully-integrated classes and many difficulties in the pla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ird, it has been noted that the teachers of fully-integrated classes needed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appropriate to disabled children and the arrangement of pertinent professionals and assistants and the activation of on-the-job training for efficient integrated education.
- Author(s)
- 최한옥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장애유아 완전통합학급 내러티브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sabled children fully-integrated class narrative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3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71
- Alternative Author(s)
- Choi, Han O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Table Of Contents
- Ⅰ.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3
3. 용어의 정의 = 3
Ⅱ. 장애유아 및 장애유아교육에 대한 기본 관점들 = 4
1. 법적 기준 = 4
2. 발달 심리적 관점 = 6
3. 교육학적 관점 = 10
Ⅲ. 이야기 탐구 = 16
1.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 16
2. 포스트모던적 연구방법 = 17
3. 포스트모더니즘과 유아교육과정 = 18
Ⅳ. 연구방법 = 21
1. 내러티브 탐구 방법 = 21
2. 연구 참여자 = 22
3. 연구 과정 및 자료 분석 = 24
Ⅴ. 장애유아 통합학급 교사들의 이야기 = 28
1. 당연이 교사의 이야기 = 28
2. 부담이 교사의 이야기 = 34
3. 노력이 교사의 이야기 = 37
4. 미안이 교사의 이야기 = 42
5. 반가운 교사의 이야기 = 46
Ⅵ. 장애유아 완전 통합학급 교사들의 이야기 다시 읽기 = 50
1. 장애유아들에 대한 교사들의 시선 = 50
2. 장애유아 교사인 자신을 들여다보기 = 52
3. 장애유아와 함께 살아가기 = 57
Ⅶ. 희망으로 나아가기 = 65
참고문헌 = 70
부록 = 7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