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정의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협동학습 적용 현황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eachers' Interest about the Affective area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effective in the Affective area and the Status of Applic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정의적 영역의 만족에 도움을 주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리고 사용실태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현 학교상황을 더욱 정확히 이해하고, 교사 혹은 학교가 더욱 명확히 인식하고 나아가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알게 하는 데에 있다.
그것을 위하여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는데, 각 연구문제에 대하여 부산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앞에 제시된 연구방법에 따라 조사함으로써 도출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인식은 어떠한가?
대부분의 교사들은 정의적 영역이 수학수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로 수업상황에서는 정의적 영역보다 인지적 영역이 더욱 더 고려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정의적 영역에 도움을 주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인식, 실행정도는 어떠한가?
많은 교사들이 협동학습에 대해 부분적으로든 전체적으로든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고 연구결과에서 밝힌 것처럼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도움을 주는 것을 실제 수업 상황에서도 경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교사들의 응답을 통하여, 교사들이 협동학습을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아직 학교와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것들을 실제 수업 상황에 적용하는 것을 어려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는 협동학습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은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교사들의 생각을 알 수 있게 한다.
결론적으로, 정의적 영역에 대해서도, 정의적 영역에 효과적인 협동학습에 대해서도 그 중요성과 효과를 인지하고 있으며, 시행하려는 노력들도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어려움이 크다고 인지하고 있어서 협동학습 사용 빈도수는 그리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협동학습이 활발하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uch the teachers are interested in the affective area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effective in the affective area and to know how actively they apply the cooperative learning.
For this study, a survey of the fifty-three math teachers who are in the middle schools was conducted. And analysis of frequency was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onsideration about the affective area was not low. They think that the affective area has an effect on the class of mathematics. But the cognitive area have been more considered than the affective area in the class of mathematics.
Second, many teachers think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And they said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cooperative learning's effect which have been found by the presented studies about the cooperative learning. However, they felt constraint about the actual application of what the school and the curriculum demand. In addition, frequency of using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not high. That is,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not applied actively.
Author(s)
정미은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정의적 영역 협동학습 교사의 관심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4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79
Alternative Author(s)
Jeong, Mi-e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Advisor
정진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3
3.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 = 4
1. 협동학습 = 4
가. 협동학습의 정의 및 이해 = 4
나. 협동학습의 특징 = 6
다. 협동학습의 효과 = 8
2. 정의적 영역 = 13
가. 정의적 특성의 개념 = 13
나. 정의적 특성의 하위 구성 요소 = 14
3.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 25
가.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 25
나. 학습자의 활동이 중요하다. = 26
다. 학습자는 수학 학습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 27
4. 선행 연구의 고찰 = 28
가. 협동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 28
나. 수학 성취와 관련하여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에 대한 선행연구 = 28
Ⅲ. 연구방법 = 30
1. 연구대상 = 30
2. 설문문항 = 30
Ⅳ. 연구 결과 = 32
1. 협동학습과 정의적 특성이 수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어느 정도 인지하고 동의하는가? = 32
가. 정의적 영역이 수학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동의 여부 = 33
나. 협동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대한 동의 여부 = 33
다. 협동학습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답변 = 34
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 중 협동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관심과 실행이 어느 정도인가? = 35
가. 수학 수업 시에 더욱 중점을 두는 부분 = 36
나. 수학 수업 중 협동학습 사용 현황 = 37
다. 협동학습을 사용한 적이 있을 경우, 사용 빈도 = 37
라. 사용 빈도가 낮거나 없을 경우에 대한 이유 = 39
Ⅴ. 결론과 제언 = 42
1. 결론 = 42
2. 제언 = 44
참고문헌 = 45
Abstract = 46
부록 = 4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