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Osteogenic Potential of Scaffold-free Engineered Tissue for Bone Regeneration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골 형성 잠재성을 지닌 3차원의 세포 조직을 이용한 골 재생 기대효과
Abstract
질병, 감염, 외상 및 종양 절제로 인한 골 결손 부위의 복원 및 재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지체 없이 제작된 조직공학적 조직을 이용하여 골 분화 및 형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골 조직 재생을 위한 이식재로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직공학적 기법으로 제작된 조직, 펠렛은 세포와 세포 자체에서 분비한 세포 외 기질로만 구성되어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가조립의 입체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형성된 3차원의 펠렛은 체외에서 생체 내와 같은 환경을 모사함에 따라 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위한 여러 신호들을 전달하게 되며 이를 골 분화 유도 배지에서 배양하여 기질의 미네랄화, 칼슘 침착, 뼈와 관련된 특정 유전자 발현을 통해 체외에서의 골 분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골 분화의 능력을 가진 펠렛을 생체 내에서의 골 형성정도를 확인해보기 위하여 누드 마우스의 피하조직에 이식하였으며, 그 결과 이식기간이 길어질수록 펠렛 내의 기질이 골 기질의 특성을 나타내며 뼈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골 재생에 있어서 여러 제한점이 있는 현재 치료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이식재로 적용하고자 한다.
골 결손은 외상이나 감염으로 인해 나타나며, 결손부의 조직 수복 및 재생을 위한 여러 외과적 수술적 개입이 불가피하다. 현재 제시되고 있는 조직공학적 치료법 및 자가/동종/이종골의 이식술은 추가적인 수술의 개입으로 인한 합병증 혹은 동종, 이종, 합성골로 인한 면역거부반응 및 낮은 골 활성도와 같이 여러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의 조직공학 기술은 줄기세포 및 생체활성인자를 이용한 세포의 조직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뼈 형성에 있어서 연골 속 뼈 발생이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줄기세포 대신 증식능력이 뛰어난 태아 연골 유래 전구세포와 그 세포가 분비한 세포 외 기질을 이용하여 3차원 형태의 조직을 제작한 후, 골 분화를 유도함으로써 온전한 골 조직의 형성 및 골 재생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작된 조직, 펠렛은 세포와 세포 외 기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가조립의 3차원의 입체 형태를 띄며, 이는 in vitro에서 생체 내와 같은 환경을 모사함에 따라 증식과 분화 과정을 거치면서 생체조직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낸다. In vitro에서 배양된 펠렛의 골 분화정도를 Alkaline phosphate의 활성도, 조직 내 칼슘 축적량, 골 분화 표시 유전자의 발현 및 골 기질의 생성 정도를 주차별로 확인해 보았을 때, 4주간 골 분화를 유도한 펠렛에서 높은 골 분화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생체 내 환경에서의 골 형성 지표를 확인하기 위하여 누드마우스의 피하 조직에 in vitro에서 우선적으로 골 분화를 유도한 펠렛을 이식하는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 생체 내에 이식된 펠렛은 이식기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골 기질이 형성되고, 또한 조직 안으로의 혈관이 침투됨에 따라 생체 조직과 유사한 골 형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지지체 없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3차원의 펠렛을 이용하여 골 재생을 위한 새로운 조직공학적 이식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uthor(s)
박혜민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5561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Advisor
박상혁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2. Materials and Methods 8
2.1 Fetal cartilage-derived progenitor cell culture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8
2.2 Preparation of FCPCs derived engineered pellet 10
2.3 Viability and cytotoxicity assessment 12
2.4 Examination of in vitro cultured engineered pellet 13
2.4.1 Determination of ALP activity 13
2.4.2 Quantify the amount of calcium concentration in pellet 13
2.4.3 Real time qPCR analysis 14
2.4.4 Histological analysis 16
2.5 Animal experiment 17
2.6 FCPCs derived cell pellet for bone regeneration in vivo 18
2.6.1 Measur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18
2.6.2 Measurement of calcium accumulation in pellet 18
2.6.3 Histological analysis 19
2.7 Statistical analysis 20
3. Results 21
3.1 Comparis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abilities of FCPCs 21
3.2 Examination of in vitro cultured engineered pellet 23
3.2.1 Structural characteristic 23
3.2.2 Viability and cytotoxicity 25
3.2.3 Biochemical analysis 28
3.2.4 Gene expression 30
3.2.5 Histological analysis 32
3.3 Formation of bone tissue in vivo 34
3.3.1 Structural characteristic 34
3.3.2 Calcium accumulation in pellets 37
3.3.3 Histological analysis 39
4. Discussion 42
5. Conclusion 45
6. Reference 4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