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국 진출 한국기업 현지 고용인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s of Local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Korean Firms in China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job satisfaction of local works of Korean firms in China. Because as long time has passed since Korean firms enter into China. it became one of the most emergent problem in Korean firms to manage local works effectively and heighten the level of the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through labor survey of 30 Korean firms in China. The sample involves 156 local workers of Korean firms which is located in ShenYang, DaLian, BeiJing and ShangHai.
Overall, results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and working environment were significant and import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ristly, it was to confirm that organizational justice and working environment were significant and import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Secondarily, it also suggested the practical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improving job satisfaction. Further, discuss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Author(s)
JIN HONG JI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중국 한국기업 현지 고용인의 직무만족 국제인적자원관리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5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87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국제경영전공
Table Of Contents
〈표목차〉 = iv
〈그림차례〉 = iv
Abstract = v
제I장 서론 =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 4
제II장 국제인적자원 관리와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제1절 국제인적자원관리 = 5
가.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정의 및 중요성 = 6
나. 국제인적자원관리와 국내인적자원관리의 차이점 = 7
다. 국제인적자원 관리에서 직무만족의 중요성 = 8
제2절 직무만족 = 9
가. 직무만족의 정의 = 9
나. 직무만족에 관한 주요이론 = 12
다.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 16
제3절 조직공정성 = 19
가. 조직공정성 = 19
(1) 분배공정성 = 20
(2) 절차공정성 = 22
제4절 근무환경 = 24
가. 근무환경 = 24
(1) 근무여건 = 26
(2) 인간관계 = 27
(3) 직무스트레스 = 28
제III장 가설 도출 및 연구모형 = 31
제1절 중국 내 직무만족 = 31
제2절 가설 설정과 연구모형 = 32
가.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가설 도출 = 32
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 가설 도출 = 33
다. 연구모형 = 35
제IV장 연구 설계와 구성 = 36
제1절 연구 설계 = 36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 36
제3절 설문지 및 자료수집 = 39
가. 설문지 구성 = 39
나. 자료수집 = 40
제V장 분석결과와 해석 = 42
제1절 인구통계 분석 = 42
제2절 신뢰도, 타당성 및 상관관계 분석 = 44
가.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 44
나.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 = 45
다. 상관관계 분석 = 47
제3절 가설의 검증 = 48
가. 다중회귀 분석 = 48
나. 추가 분석 = 51
제VI장 결론 = 55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 5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 방향 = 57
〈참고문헌〉 = 59
부록 = 6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경영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국제경영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