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등교육과정에서 에코디자인(Eco-Design) 교육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n medium quality course of study, necessity and improvement plan study of education that is Eco-design
Abstract
Humanity’s ceaseless consumption has brought an inevitable consequence that is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Fortunately, companies, consumers and designers who recognize today’s environmental problems are concerned and gradually changing the way they work. Eco-Design is becoming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area of design and should be attained by alternative environmental philosophies which should be systematically taught to students of design. However, through analysis of current business middle school design courses, I have found that Eco-design isn’t being sufficiently taught in today’s curriculum.
Environmental education is taught primarily through indirect environmental observation, and not enough through a specific environmental course of study. Therefore, we need a systematic range of courses with a focus on Eco-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is the role of the instructor, so we need to ensure that the teachers are also taught the significance of Eco-desig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National support for Eco-design needs to link with both the school and local family and community involvement for education of Eco-design.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way in which Eco-design can be efficiently planned, applied and assessed.
Author(s)
윤양순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에코디자인 교육 환경 라벨링 그린디자인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5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588
Alternative Author(s)
Yun, Yang-Soo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Advisor
김선화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그림 목차
Abstract
I.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3. 연구의 한계 3
II. 에코디자인의 사회적 배경 4
1. 환경문제의 대두 4
2. 기업 환경의 변화 7
3. 소비자 의식 변화 10
4. 디자이너 책임확대 12
III. 에코디자인 개념의 이론적 배경 16
1. 에코 디자인의 개념 16
1-1. 에코디자인 어원적 의미 16
1-2. 에코디자인 정의 17
1-2-1. 그린디자인과 에코디자인 차이점 18
1-3. 에코디자인의 내용 23
1-4. 에코디자인의 목적 24
2. 에코 디자인 사례 26
2-1. 국내 에코디자인 연구 동향 26
2-2. 에코 디자인 기업 29
2-3. 공익광고 33
2-3-1. 국내 인쇄광고 33
2-3-2. 국외 인쇄광고 36
2-4. 제품 39
2-4-1. 가구 39
2-4-2. 생활소품 47
2-4-3. 의류 56
2-4-4. 가전제품 59
2-4-5. 교통수단 61
2-5. 에코 마크(환경 라벨링) 제도 62
2-5-1. 외국의 에코 마크(환경 라벨링) 제도 62
2-5-2. 국내의 에코 마크(환경 라벨링) 제도 68
IV. 국내외 에코디자인 교육 비교 분석 70
1. 외국의 에코디자인 교육 71
1-1. 미국 71
1-2. 영국 73
1-3. 독일 74
1-4. 일본 76
1-5. 프랑스 77
2. 우리나라의 에코디자인 관련 교육 79
2-1. 에코디자인 관련 교과 분석 79
2-1-1. 제 7차 교육과정 내 에코디자인 관련사항 80
2-1-2. 중학교 관련교과와 단원분석 84
2-1-3. 실업계 고등학교 관련교과와 단원분석 89
2-2. 기타 91
2-2-1. 환경체험학습 프로그램 91
2-3. 우리나라 에코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95
3. 에코디자인을 위한 교육방안 제시 96
V. 결론 101
참고 문헌 10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