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영어 문법 오류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Grammatical Errors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문법 습득 정도 및 오류 유형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영어 문법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 총 189명을 대상으로 2006년도 학업성취도평가 영어 시험을 실시하고 평균성적보다 높은 학생을 상위권, 평균성적 이하의 학생을 하위권으로 분류하였다. 상위권과 하위권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과 문법 항목에 기초한 오류 측정 평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오류를 상위 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실태조사 결과 해외 연수 경험을 묻는 질문에서 전체 16명 중 상위권이 13명을 차지하였고, 상위권은 44.6%의 학생이 초등학교 1학년 이전에 영어 학습을 시작하였으나 하위권은 52.3%의 학생이 초등학교 3학년 때 시작하였고, 주당 영어 학습 시간 면에서도 상위권의 43.6%는 주당 6시간 이상을 영어 공부에 투입하는 반면, 하위권은 18.6%만 답하여 학습 경험과 환경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영어 학습 영역의 선호도 조사에 있어서 상위권은 말하기가 35.9%, 하위권은 듣기가 50.0%로 답하여 상위권 학생은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보이고 하위권은 수동적인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의 오류 분석 그 결과 상위권은 50문항 중 평균 34.7개, 하위권은 평균 11.6개로 상당한 정답 차이를 보였다. 집단 전체 평균 오류율은 51.4%, 상위권의 평균 오류율은 30.3%, 하위권은 76.6%로 집단간 오류율 차가 46.3%이다.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인 것은 비교급 항목이고 다음으로 미래시제, 격, 동사의 과거형, 감탄문, 진행형, 의문사 있는 의문문 순으로 오류율이 높았다. 가장 오류율이 낮은 항목은 주어·동사의 일치이고 다음은 전치사, 관사, 의문사 없는 의문문, 수형용사, 의문사 없는 의문문, 복수형 순으로 낮은 오류율을 보였다. 상위권의 평균 오류율 보다 높은 오류율을 보인 항목은 비교급이 16.2%, 미래 시제가 12.3%, 격이 8.2% 더 높았다. 하위권에서는 평균 오류율 76.6%보다 높은 항목은 비교급이 12.8%, 미래시제가 8.8%, 동사의 과거형이 8.7% 더 높아 두 집단에서 모두 비교급과 미래 시제가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평균 오류율보다 낮은 항목은 상위권에서는 관사가 18.8%, 전치사가 19.6%, 주어·동사의 일치가 20.1%이고, 하위권은 주어·동사의 일치가 57.2%, 전치사가 59.5%, 관사가 72.0%를 보여 약간의 등위 차이는 있지만 두 집단 모두 높은 문법 인지도를 보인 문법 항목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아 상위집단이 어려워하는 문법 항목은 하위 집단에서도 많은 오류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간 오류율 차이를 보면 수형용사의 오류율 차이가 54.7%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관사, 격, 진행형, 조동사, 동사의 과거형, 동사의 과거형 순으로 오류율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students' errors, based on their abilities in terms of S.L.A (Second Language Acquisition), especially in the area of English. For this purpose, 189 6th graders from three different schools in Busan have been tested and further analyzed. They took an English Achievement Test in 2006. After this evaluation,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upper and lower level groups. They were asked to fill in blanks for 50 items. The err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15 grammatical items of the textbook and the results were separately analysed in each group.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First, the average error rates are 76.6% in the lower level group and 30.3% in the upper level group.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error rates of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 lower level group. This shows a big gap between the grammar perception rates of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Second, the ranks of the error rate are different between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Bu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grammar item, which has a low perception rate in the upper level group, is the same in the lower level group.
Thir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kinds of errors in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Overgeneralization is common in these two groups. However, the upper level group reconstructs grammatical rules and the lower level group applies the grammar rules they've learned.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asons for the errors, there is the relation between the grammar appearance frequency of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The error rates for the two groups are low to the grammar rules which have a high appearance frequency.
Author(s)
최은정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초등학생 영어 문법 오류 분석 문법 교육의 필요성 초등영어교과서의 문법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7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611
Alternative Author(s)
Choi, Eun-J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과제 = 4
3. 연구의 제한점 = 5
4. 연구의 구성 = 5
Ⅱ. 문법 교육과 오류분석 = 6
1. 문법 교육 = 6
가. 문법 교육의 필요성 = 6
나. 초등영어교과서의 문법 내용 = 9
2. 오류와 오류분석 = 15
가. 대조 분석론 = 16
나. 중간언어 이론 = 17
다. 오류 분석론 = 18
3. 오류 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 = 25
Ⅲ. 연구방법 = 28
1. 연구 대상 = 28
2. 연구 방법 및 절차 = 30
3. 연구 도구 = 31
가. 실태 조사 설문지 = 31
나. 연구 문항 작성 = 3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6
1. 실태 조사 결과 = 36
가. 해외 영어 연수 실태 = 36
나. 영어 교육 시작 시기 = 37
다. 영어 학습 시간 = 38
라. 영어 학습 영역의 선호도 = 38
마. 영어 실력에 대한 인식도 = 39
2. 오류 분석 결과 = 40
가. 문법 오류 측정 결과 = 41
나. 문법 항목별 집단 전체 오류율 분석 = 42
다. 문법 항목별 집단별 오류율 분석 = 44
라. 문법 항목 별 문항에 따른 오류 유형 및 오류율 비교 = 46
Ⅴ. 결론 및 제언 = 81
1. 결론 = 81
2. 제언 = 83
참고문헌 = 84
부록 = 88
부록1 설문지 = 88
부록2 영어 평가지 - 1 = 89
부록3 문항별 오류율 및 순위 = 9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