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디자인교육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Improvement of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Curriculum
Abstract
변화와 혁신의 시기에 21세기를 이끌어갈 교육의 중요한 화두로서 “정보화”와 “창의성”을 꼽을 수 있다. 정보화가 사회 및 산업의 구조를 새롭게 형성시키는 틀이라면 창의성은 개인과 기업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해 가는 추진력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주입하는 형태가 아니라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신장되므로 계획적, 구조적, 체계적, 분석적인 과정 중심의 학습이 중요하다. 따라서 왕성한 감성과 표현 욕구를 지니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부터 디자인 교육을 통해 독창적 사고와 분석을 통한 재창조의 기쁨을 알 수 있도록 디자인 교육의 프로그램을 조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론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초등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초등디자인 교육의 외국사례와 한국에서의 초등디자인 교육의 실태에 대해 서술하였다.
국가시책으로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대구광역시 남부교육청의 디자인 교육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남부교육청 소재 초등학교에서 직접 디자인교육을 실시하는 현직 교사들의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교육방법 등을 설문과 자료를 통해 알아보았다.
한국에서 적합한 초등 디자인 교육으로의 방법과 과정을 소개하며,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되는 디자인 교과의 도입과 실생활에 응용 가능한 과정중심의 교과목으로 자리매김 하기를 주장한다. 그에 따른 교육적 변화는 국가의 창의적 인재 육성에 이바지 하는 미래지향적 교육이 될 것이다.
결론으로는 첫째, 전인교육으로서의 디자인 교육을 제안한다.
둘째, 사회성과 협동을 기르기 위한 디자인 교육을 제안한다.
셋째, 살아있는 전통문화교육으로서의 디자인 교육을 제안한다.
넷째, 창의력 신장을 위한 디자인 교육을 제안한다.
다섯째, 미디어시대 창조하는 이미지교육으로서의 디자인 교육을 제안한다.
여섯째, 다양한 경험 중심의 교과로서 디자인 교육을 제안한다.
일곱째, 우수한 전문적인 교사에 의한 디자인 교육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통합교과적이면서 실용적이고, 과정중심의 자기주도적인 디자인을 초등교육과정의 필수 교과로 지정하여 초 중등부터 조기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미래의 교육개혁 방향에 지표를 마련해 줄 것이다.
'Informationization' and 'creativity' are two of primary topics in education sector in the 21st century called the age of shift and innovation. Informationization is a new paradigm to change the structure of society and industries, and creativity is the source of lifeblood that guarantees individual, corporate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As design education can be successful not by cramming education but by a series of careful and discreet learning process, planned, structural, systematic, analytic and process-centered learning is required. Accordingly, it's very important to program design education in a manner to stimulate learners to start enjoying the delight of recreation through original thinking and analysi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s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re full of emotion and eager to express themselves.
In the main body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elementary design education in modern society, relevant foreign cases and the reality of elementary design education in our country were described.
A design education case of Daegu Nambu Office of Education that provided design education in compliance with national policy was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umbrella of that local educational authority to find out their design concepts and teaching methods.
How elementary design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 our country were discussed, and it's asserted in this study that design class should be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and that it should take root as a process-centered subject that could be applied to real life.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design class will contribute to making today's education more future-oriented and nurturing creative and competent manpower.
In conclusion, desig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actualize well- rounded education, to foster the sociability and cooperativeness of students,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o boost the creativity of learners, to realize image education in today's multimedia era and to materialize experiential education. Finally, tha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y superb teachers who specialized in this sector.
Design education should be offered as one of required elementary courses that is integrative, practical, process-centered and self-directed so that learners could learn about design from elementary school as part of early education. That will help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educational reform.
Author(s)
김문희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정보화 창의성 조기디자인교육 초등 디자인교육 통합교과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7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613
Alternative Author(s)
Kim, Moon Hee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3. 연구의 범위 = 3
Ⅱ. 연구 문제 및 가설 = 4
1. 초등교육과정에서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 = 4
Ⅲ. 이론적 고찰 = 6
1. 현대사회와 초등교육 = 6
가. 현대사회와 초등학교 교육 과정 = 8
나. 초등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11
다. 현대 초등교육에서의 디자인 = 13
(1) 교사·교수 중심에서 학생·학습 중심으로 = 15
(2) 획일성에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으로 = 17
2. 초등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배경 = 19
가. 초등 디자인 교육의 의의 = 19
나. 초등과정 디자인 교육의 개념 = 20
다. 초등과정 디자인 교육의 특성 = 21
3. 외국의 초등디자인 교육 현황 = 22
가. 영국의 KS1-2의‘디자인과 기술’ = 22
나. 미국의 필라델피아 예술대학의 ‘K-12디자인 교육’ = 25
다. 프랑스 디자인 교육 = 28
라. 일본 디자인 교육 = 30
4. 현 우리나라의 초등 디자인 교육 현황 실태조사 = 32
가. 미술교과과정 내 디자인 교육 현황 = 32
나. 제7차 미술교과과정 디자인 교육 내용 분석 = 34
다. 대구광역시 남부교육청 디자인교육자료 분석 = 36
(1) 디자인 교육 내용영역 = 38
(2) 디자인 관련 행동영역 = 40
라. 영국과 한국의 디자인 학습지도안 비교 = 46
Ⅳ. 설문조사 = 54
1. 설문조사 목적 = 54
2. 설문조사 대상 및 방법 = 54
3. 설문조사 분석 = 55
Ⅴ. 결론 = 77
1. 초등학생의 심리적, 신체적 발달단계에 적합한 디자인 교육 = 77
2. 초등 창의력 함양을 위한 디자인 교육 = 79
3. 전통문화 계승으로서의 디자인 교육 = 80
4. 통합교과로서의 디자인 교육 = 81
붙임 = 85
설문지 = 85
〈참고문헌〉 = 9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