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문화성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 Alternative Title
-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Children
- Abstract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문화성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사용양상을 알아보고, 문화성향과 갈등해결전략 간의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초등학생들의 문화성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초등학생들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3. 초등학생들의 문화성향과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3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검사와 갈등해결 전략검사를 실시하였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검사를 위해서는 Singelis(1994)가 개발하고 Singelis, Triandis, Bhawuk & Gelfand(1995)가 제작한 INDCOL(Individualism-Collectivism)척도를 초등학교 아동의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은해, 고은주, 오원정(2000)의 청소년용 갈등해결전략척도를 배선영(2000)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적절하도록 문항 내용을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ver. 12.0)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개인주의 성향보다는 집단주의 성향이 그리고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보다는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성향들은 개인주의, 집단주의,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점수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문화성향 유형별 비율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남, 여의 구별 없이 집단주의 성향 특히, 수평적 집단주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여학생에 비하여 남학생들이 수직적 집단주의자로 분류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 여학생 모두 유형별 집단의 분포가 수평적 집단주의>수직적 개인주의>수직적 집단주의>수평적 개인주의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에 따라 초등학교 아동의 갈등해결전략사용 양상이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초등학생들은 절충 및 협력전략의 사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배전략의 사용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절충 및 협력전략의 사용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해결전략사용 유형별로 집단을 분류하여 전체집단을 살펴보았을 때 절충 및 협력전략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양보전략유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들은 절충 및 협력 전략 유형으로 분류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남학생들은 회피전략유형으로 분류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은 지배전략 유형으로 분류되는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데 비하여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지배전략 유형으로 분류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양보전략 유형으로 분류되는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3에 따라 문화성향과 갈등해결전략과의 일반적인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문화성향은 협력 전략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회피전략은 수직적 개인주의를 제외한 수평적 개인주의, 수평적 집단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3개의 성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전략은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개인주의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수평적 집단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는 양보전략과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문화성향으로 구별되는 4개의 집단간 갈등해결 전략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절충 및 협력 전략은 성별에 따른 두 집단간(p<.01) 및 문화성향에 따른 4 집단간(p<.05)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배전략은 문화성향에 따른 4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그리고 모두에서 문화성향과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즉, 절충 및 협력 전략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하여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자들이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개인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에 비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배전략은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직적 개인주의자들이 수평적 집단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자 들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childre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spositions that children have?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at children use? Third,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4(283 male and 281 female) 5th and 6th graders. Research Instrument used to collect data were INDCOL (Individualism-Collectivism; Singelis et al., 1995)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cale (Bae, 200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ent, Crosstabs and Two-way ANOVA.
As a whole, children strongly showed collectivistic pattern and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The distribution of styles were in the order of HC>VI>VC>HI. The distribution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generally were in the order of integrating and compromising>Avoiding>Dominating>Obliging for total sample and there were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the style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tegrating/compromising and dominating styl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ultural dispositions but there were no interactive effect of sex and cultural dispositions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 Author(s)
- 김은진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갈등해결전략 친구간 갈등 문화 성향 개인주의 집단주의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18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617
- Alternative Author(s)
- Kim, Eun-J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 Advisor
- 이희영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문제 = 7
3.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9
1.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 9
가. 갈등의 개념 = 9
나. 아동기의 친구관계와 갈등 = 11
다. 아동의 친구간 갈등해결 전략 = 15
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문화성향 = 20
가.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성향 = 20
나. 개인주의 집단주의 문화성향과 교육 = 25
Ⅲ. 연구방법 = 29
1. 연구대상 = 29
2. 측정도구 = 30
가. 문화성향 척도 = 30
나. 갈등해결 전략 척도 = 31
3. 연구절차 = 32
4. 자료분석 = 33
Ⅳ. 연구결과 = 35
1. 연구결과 = 35
가. 초등학교 아동의 문화성향 = 35
나. 초등학교 아동의 갈등해결전략 = 38
다. 초등학교 아동의 문화성향과 갈등해결전략간의 관계 = 40
Ⅴ. 논의 및 결론 = 46
1. 논의 = 46
가. 초등학교 아동의 문화성향 = 46
나. 초등학교 아동의 갈등해결전략 = 48
다. 초등학교 아동의 문화성향과 갈등해결전략간의 관계 = 50
2. 결론 = 53
참고문헌 = 55
부록 = 6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