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2007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청취활동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Listening Section of First-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an Analysis
Abstract
지금까지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목표로 하는 영어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중요한 듣기영역을 중심으로 2007 새롭게 개정된 영어교과서의 해당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2007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상의 변화가 교과서에 실제로 잘 반영되었는지의 여부와 듣기활동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하여 미비점과 개선점을 알아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좋은 영어 교과서 제작과 실제 수업 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07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수준별 교육과정이 삭제되고 이 부분에 대해 학교여건을 고려한 자율성이 주어진 것과 그로인해 7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심화과정은 대부분 삭제되고 전체 난이도가 하향 조정된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해 출판된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는 예전의 교과서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 주었다. 좀 더 풍부해진 시각적 요소와 언어의 4기능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볼 수 있었고 의사소통 능력의 중시와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시도가 눈에 띄는 점이었다.
분석대상인 교과서들의 듣기영역에 대해 살펴보면 학생들에게 충분한 배경지식과 충분한 정보를 주어 학습의 초기단계에 적합한 다면적 청취가 제한적 청취보다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문장단위에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지엽적 청취가 문맥 속에서 전체의 의미나 화제를 파악해야 하는 전체적 청취보다 많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다분법적 분류에서는 다면적 입력에 의한 지엽적 청취가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이는 학습자들에게 풍부한 정보와 배경지식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고 편안하게 청취활동을 하도록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듣기활동을 제시하는 순서에서는 청취 전 활동으로 대부분의 교과서가 그림을 제시하여 본격적인 듣기활동에 대한 예측을 하도록 준비단계를 마련하여 주고 본격적인 청취활동에 들어가서는 다양한 유형의 활동을 제시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난이도의 하향조정 때문인지 수동적인 형태의 청취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취 후 활동에서는 듣기활동의 내용을 말하기를 중심으로 언어의 4기능과 접목하여 청취이해력을 확인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청취활동의 종류에 있어서도 역시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그림을 이용한 유형을 많이 제시하고 있고 듣고 빈칸을 채우거나 응답을 고르는 수동적인 유형이 대부분이다. 좀 더 능동적이고 협동적으로 청취활동을 할 수 있는 유형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또한 듣기영역의 학습소재에 있어 인터넷 사용의 확산 등으로 더욱 쉽게 접할 수 있는 실용문 등의 이해와 사용을 위한 능력의 배양이나 사회, 문화적 측면의 참신한 내용의 소개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끔씩 보이는 그룹 활동의 경우에도 학생들의 흥미나 도전을 유발하는 도전적인 과제가 아니라 쉽게 예측할 수 있는 과제만을 제시하였고 상호의사 소통 없이도 무리 없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전반적으로 새롭게 개정된 교과서들의 듣기영역은 시각적 단서와 맥락에 대한 단서를 주어 내용을 추측할 수 있도록 하는 이해를 위한 청취활동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과거의 청각적인 인식에 강조를 두는 음소나 발음을 확인하는 지각을 위한 청취보다는 의사소통 능력함양을 위해 더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지만 보다 적극적이고 학생간의 협동학습을 통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청취활동이 앞으로 출판될 교과서에서 계속 개선되어나가야 할 부분임이 명확하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2007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이전의 교육과정에 의거한 듣기영역에 대한 연구들, 예를 들면 조은아(2001)의 중1 영어 교과서의 청취활동 분석과 같은 선행연구와 아주 비슷한 분석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보다 능동적이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함양을 위한 교과서의 듣기영역, 더 나아가서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의 4가지 영역이 모두 발달된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학습의 기본 도구이자 매체가 되는 교과서가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을 생각해 볼 때 교육과정을 떠나 의사소통 능력함양을 위한 교과서를 제작하고 수정, 보완하는 연구는 반드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좀 더 다양하고 수준별, 단계별로 차별화된 듣기 활동으로 이루어진 교과서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듣기활동자료나 학습활동지 등이 교과서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 계속적인 보완이 되어야 할 것이다. 현실상 현장에서는 수학능력시험의 제한으로 영어교육은 본래 목적인 의사소통중심 외국어 교육이라는 본질이 사라져가고 있다. 현장에서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교재분석 및 개발과 관련하여 보다 더 객관성을 가진 연구결과를 통해 계속적으로 재고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명확한 교수학습이론과 경험에 따른 훌륭한 교재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s of the listening parts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o promote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the 2007 revised English curriculum,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07 revised English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listening comprehension sections for the 1st grade students of Korean middle schools. The third chapter present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comprehension and improved instruction methods for it. In the forth and fifth chapter,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presented by Van Dijk and Kintsh(1983), Bachman(1990) and Shin(1999), three different analysis criteria were applied for an in-depth analysis of the listening activities involved in the textbooks. The sixth chapter summarizes the study and comes to a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philosophy of the 2007 revised English curriculum is properly reflected in some parts of th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some listening activities in textbooks are emphasized insufficiently and improperly. This study thus suggests that the textbook should be designed and improved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istening abilities and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the contents of more various and balanced listening activities. A textbook is not something fixed in itself. Further studies to revise the English textbooks should be done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and develop their communicative abilities.
Author(s)
신혜석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2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57
Alternative Author(s)
Shin, Hye Seo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종원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과제 = 5
1.3. 영어 교과서 분석이론 = 5
1.4. 연구의 제한점 = 6
Ⅱ.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 8
2.1. 교육과정의 정의 = 8
2.2.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변천사 = 9
2.3.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 10
2.4. 2007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 13
2.5. 2007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듣기 성취기준 = 15
Ⅲ. 영어듣기 능력 = 17
3.1. 영어듣기 능력의 중요성 = 17
3.2. 영어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 19
3.3. 영어듣기 영역 수업 시 주의사항 = 21
Ⅳ. 연구 분석 대상 및 방법 = 22
4.1. 분석대상 = 22
4.2. 분석방법 = 23
Ⅴ. 교재분석의 실제 = 27
5.1. 청취이해과정에 따른 분류 = 27
5.2. 청취활동의 제시 유형 및 순서 = 31
5.3. 청취활동의 유형 및 순위 = 35
Ⅵ. 결론 = 39
Ⅶ. 참고문헌 = 4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