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를 이용한 산지가치 유형구분
- Alternative Title
-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land Value by Using GIS Analysis
- Abstract
- 산지에 대한 정확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산림생태계의 보호 및 다양한 산지의 기능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산지 가치의 유형 구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의 가치를 산지의 생태계 보전 측면 등을 고려한 보전적 가치, 산림의 조성과 목재의 공급 등을 위한 생산적 가치, 자연환경을 이용한 휴양시설로의 활용을 위한 휴양적 가치, 그리고 토지의 공급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계획적 가치의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경기도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산지 가치의 유형을 분석하고, 영상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각각 산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한 결과 남양주시 전체 산지면적 313㎢ 중에서 보전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면적은 약 62%인 195 ㎢로 나타났으며, 법적인 규제지역을 대상으로 평가한 보전적 가치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산지에 대해 가치의 순위에 따라 생산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우선으로 평가한 후, 다시 계획적 가치 지역을 반영하였다. 그 결과 생산적 가치가 높은 2등급 이상인 지역은 96.28㎢ 로 나타났으며, 계획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10.74㎢로 나타났다. 한편, 휴양적 가치가 높은 지역의 경우 역시 2등급 이상인 지역인 59.07㎢를 대상으로 하여 적지 판정의 개념으로 반영하였다.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각각의 가치를 분석한 결과에 대해 영상을 통해 가치 분석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 지역은 생산적 가치나 계획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계획적 가치가 높게 나타난 지역과 생산적 가치가 높게 나타난 지역, 그리고 생산적 가치와 계획적 가치가 혼재해서 나타난 지역 등을 대상으로 검증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검증결과 5개 지점 중 1개 지점을 제외 하고는 분석결과가 영상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와 영상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지역에 대한 원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석에 사용된 원시자료가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영상 자료와의 시기 차이에서 발생한 불일치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 유형을 4가지로 설정하여 분류하였으나, 향후 가치 유형별 우선순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그 구분 결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산림경영 목표에 적합한 산지의 가치 유형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가치 유형구분에 사용된 각각의 지표들에 대해 산지의 가치 평가를 위해 추가로 반영할 지표들을 고려하여 산지 가치에 대해 보다 더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산지의 가치평가를 위해 GIS 분석에 사용된 다양한 지표들을 주기적으로 갱신, 유지·관리 하여 현실성 및 최신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산지의 합리적인 관리와 가치평가의 올바른 판단을 위해서 지속적인 적용성 검토를 통하여 수정·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ype of forestland value was evaluated using various thematic maps,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 of Namyangju, Based on GIS analysis, forestland value was classified into 4 kind types; conservation, production, recreation, and development values. Finally, the comprehensive analysis map of forestland value was made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of value assessment.
Among the whole forestland of Namyangju, conservation value area is 195㎢, high production value area 96㎢ except the conservation value area, high recreation value area 59㎢, and the high development value area is 11㎢. Evaluation results of forestland value is consistent with aerial photograph. The value evaluation system of forestland by using GIS is to be very applicable for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forestland, according to the periodic data update.
- Author(s)
- 하도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산지가치구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4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86
- Alternative Author(s)
- Ha, D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위성정보과학과
- Advisor
- 김영섭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2. 자료 = 3
3. 유형구분과 가치분류 방법 = 5
3.1 유형구분 = 5
3.2 모자이크를 통한 보전적 가치 분류 = 8
3.3 그리드 중첩을 통한 생산적 가치 분류 = 11
3.4 그리드 중첩을 퉁한 휴양적 가치 분류 = 14
3.5 토지적성평가 방법을 활용한 계획적 가치 분류 = 17
4. 결과 및 고찰 = 22
6. 결론 = 33
References = 35
감사의 글 = 3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위성정보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