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ive, idolatry and epiphany in Twelfth Night,The Tempest, Othello and Hamlet
- Alternative Title
- 『십이야 ,『폭풍우 ,『오셀로 ,『햄릿 에서의 이야기 구조와 원리주의 그리고 현현성
- Abstract
- 맥러스키의 「과연 다 좋은가」에서는 어떻게 셰익스피어 극의 주 무대 밖의 부차적인 이야기나 소재들이 드라마가 진행됨에 있어 극의 주요 해석 구조가 되어가는 지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에 더하여 교차하는 부차적 이야기의 소재를 통하여 우상숭배의 원리주의와 그에 반하는 현현성의 성취라는 공통된 주제를 찾고 있다.
『십이야』에서의 편지, 『폭풍우』에서의 마법서, 『오셀로』에서의 손수건 그리고 『햄릿』에서의 유령과 같은 부차적 소재들은 무대 위의 캐릭터들이 선택의 문제에 당면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이 선택의 문제는 극중 인물들이 그들의 좁은 시각을 넘어선 성숙에로의 현현성의 성취인가 아니면 상황을 맹신하고 원리 주의적 관점의 우상화에 치우쳐 균형을 잃은 현실에의 안주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대 밖의 부차적 소재들의 연구를 통해 우리는 원리주의와 이에 반하여 상황에 대한 거시적인 시각과 관계의 균형에 대한 셰익스피어의 르네상스적인 관점을 알 수 있다.
그의 극에서 이러한 현현성과 맹목주의에 대한 관점의 탐구는 문명화로 나아가는 시대의 종교의 위상에 대한 셰익스피어의 관점 연구와 맥락을 함께 한다.
This paper looks at how outside narratives, half told stories of events that happen outside of their play's structure and time frame, relate to the theme of epiphany versus fundamentalist idolatry. The terms epiphany and fundamentalist idolatry while are often charged with religious connotations do not fully apply to Shakespeare's works in their religious connotations yet they do apply in their broader meanings. This paper looks at fundamentalism being a strict adherence to a set of beliefs in this case, a strict adherence to an interpretation of an outside narrative. It also looks into the potential sudden broader realization that these narratives offer in a form of epiphany. This paper takes the theme of epiphany versus fundamentalist idolatry and applies them to Twelfth Night, The Tempest Othello and Hamlet to find that the outside narratives often present the characters with the potential to form an idolizing attachment to a strict interpretation of their meaning. These same narratives also can provide the characters with the opportunity to utilize these stories in achieving a sudden broader viewpoint (epiphany) that may allow them to connect with other characters and break away from their own narrow perspective.
- Author(s)
- MATTHEW, WILLIAM THIVIERE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원리주의 현현성 십이야 폭풍우 오셀로 햄릿 Twelfth Night epiphany idolatry Narrative Hamlet Othello The Tempest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5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96
- Alternative Author(s)
- 매튜윌리암티비얼즈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Advisor
- 정해룡
-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1
Chapter Ⅰ: Romance and Magic as Epiphany. = 5
1. Pagan Festivities and Romance in Twelfth Night = 6
2. Magical Visions: Prospero’s Narrativein The Tempest = 24
Chapter Ⅱ Tragedies: Outside Narratives Introducing the Idolatrous Excess = 34
1. Iago’s Gossip Narrative in Othello. = 35
2. A Play within a Play as Narrative in Hamlet = 42
Conclusion = 54
Works Cited = 5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