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lotte's web』을 통한 전문계 고등학교 영어쓰기지도
- Alternative Title
- Teaching English Writing for Profession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E. B. White's Charlotte's Web
- Abstract
- 본 논문은 문학작품이 영어 쓰기 교육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접목되어 교수할 수 있는 지와 그에 따른 창의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접목 과정에서 '샬롯의 거미줄' 에 나오는 삽화 장면을 직접 보여주면서 교수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이 작품이 교재로서 적절한 것인지,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임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수업 일지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변화를 언급하였다.
'샬롯의 거미줄' 을 통해 학자들의 주장을 토대로 영어 쓰기 지도에 있어 실제 사용한 방법론들을 교실에 적용 가능한 보다 발전적인 것을 언급하면서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의 수업 현장에 적합한 소설작품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소설작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 학습자의 요구 사항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는 소설작품을 단순히 사실적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소설작품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정을 제시해야 한다. 즉, 학습자 스스로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해서 학습의 능동적인 주체가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실 수업에 있어서 소설작품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사는 소설작품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장점을 깊이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다양한 쓰기 수업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교사 스스로 문학적 지식을 넓혀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문학 작품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대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재를 개발 하는 데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서 교재 발간에 많은 권위 있는 조언을 해야 하며 교육당국에서도 교사들의 의견을 존중해서 교과서 편찬에 임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교재의 하나로서 소설작품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생들에게 재미있는 언어적, 문화적 경험이 될 수 있는 다방면의 시도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환언하면, 학교 현장에서 전문계 고교 학생들을 앞에서 언급했던 방법들을 이용하여 교수해 본 결과 아무리 훌륭한 교육매체도 교사를 대신할 수는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아무리 훌륭하고 뛰어난 교육매체가 개발된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단지 학습도구에 불가하다는 것이다. 그 어떤 교본도 교사보다 효과적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바로 앞에서 언급했듯이 교사가 스스로 자신이 계획하고 있는 교수법에 자부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수업에 임하며, 나아가서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재를 개발 하는 데 지속적인 관심을 가진다면 학습자들은 최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또한 본 논문으로 전문계 영어 교사들이 실제 수업을 통해 소설문학작품이 가지는 장점을 평가하고 그 성과결과가 영어교육의 보다 나은 발전을 위한 뒷받침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방안들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aims to find out ways to help professional high school students learn effective English writing through literary texts. It also aims to suggest new methods of teaching English writing to the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ir writing abilities as only small portions of professional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llotted for teaching writing skills. And that part of writing is aimed at training just in writing grammatically correct short sentences, not at improving the ability of the students to express themselves. The current research was focused on using E. B. White's "Charlotte's Web" to be as a good example for its familiar theme and raising students' interests. Also, the research used the framework of 'writing as a process approach' and applied teaching-learning theories to English writing in teaching the novel.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s both before and after the actual teaching treatment.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writing abilities, th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the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oth students' interest and attitude towards the text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xt were improved slightly.
In conclusion, utilizing literary texts in professional high school English classes might help improve professional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ies and provide abundant opportunities for them with various experiences. Most of all, it may be important and necessary for English teachers to recognize some literary texts as a useful tool in teaching English writing
- Author(s)
- 제상형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Charlotte's web 고등학교 영어쓰기지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8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075
- Alternative Author(s)
- Je, Sang Hy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Advisor
- 손달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문제 = 2
1.3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3
2.1 쓰기의 정의 및 쓰기 교육의 성격 = 3
2.2 과정 중심 영어 쓰기 교육 = 6
2.3 소설을 활용한 영어 교육 = 12
Ⅲ. 연구 방법 = 17
3.1 연구 대상 = 17
3.2 연구 도구 = 18
3.3 연구 기간 및 쓰기지도 = 24
3.4 영어 쓰기 교수 계획안 = 25
Ⅳ. 결과 분석 및 토의 = 32
4.1 사전, 사후 설문조사 결과 = 32
4.2 사전, 사후 그룹별 쓰기 능력 변화 = 34
Ⅴ.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2
부록 1 장면 별 학습단어 목록 = 45
부록 2 수업계획안 = 48
부록 3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 일지 = 5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