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글자』에 나타난 페미니즘적 요소
- Alternative Title
- Feministic Factors in Hawthorne's 『 The Scarlet Letter 』
- Abstract
- 지금까지 19세기 미국여성운동과 호손의 주변여성이 호손의 여성관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대표작 『주홍글자』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호손은 여주인공 헤스터를 통해 다양하고 발전적인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함으로써 호손의 진보적인 여성관을 엿볼 수 있었다.
미개척 땅인 뉴잉글랜드를 찾아 온 청교도들은 아메리칸 드림(American Dream)을 꿈꾸며 구세계인 유럽과는 다른 신생국을 세웠고 발전시켰으나, 그들의 문화를 비판 없이 유입한 것처럼 여성관 역시 전통적인 여성관을 고집했다.
신앙심이 깊은 청교도 후손으로서, 청교도 교육을 받고 자란 호손은 내성적이며 수줍은 성격으로 인습과 도덕성을 중시했으며, 전통지향적인 여성관을 견지한 작가였다. 하지만 호손은 유년시절 그의 가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당시 사회의 여성관과 다른 견해를 형성하게 되었다. 어머니와 누이로부터 고립되고 소극적인 성향의 부정적인 영향을, 아내에게서 무한한 서로에 대한 사랑과 힘든 시기를 이겨 낼 수 있는 힘과 용기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다시 말해 소피아가 호손에게 준 영향은 따스한 사랑과 용기였다. 그녀를 통해서 호손은 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지녔으며 여성을 남성의 조력자로서, 나아가 헤스터와 같은 용기 있는 여성상을 제시하게 된 것이라고 본다.
헤스터의 강한 실천력은 변화된 의미의 'A'가 잘 반영해준다. 예를 들어 바느질로 생활하고 자립하는 현실적인 여성상의 모습으로 변모하고, '자비의 수녀'처럼 어려운 이웃을 돕는 어머니 역할까지 한다. 그녀는 혼자 사색하던 모습에서 사람들에게 공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사회개혁에 대한 자신의 목소리를 내었다. 불우한 이웃과 어려운 여성을 위해 상담가로 일하면서 해결책을 제시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예견하고 자신의 신념을 피력하기도 하는 공적인 여성상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남녀관계와 결혼제도에 대한 전말을 예견하고 새로운 남녀관계의 기반을 구축하는 신여성상도 보인다. 즉 그녀는 풀러나 앤 허친슨 같은 선구적 인물이 되어 자신의 신념을 피력하는 공적인 그리고 신여성의 이상을 재현한다. 결국 헤스터는 청교도 사회의 관습과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독창적이고 용감한 진보적 여성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참된 여성에서 벗어나 현실적, 공적인 여성으로 더 나아가 신여성으로 변모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헤스터는 그의 작중 인물로 가장 큰 감동을 주는 여성으로 나타난다. 『주홍글자』로 상징된 그녀의 죄의 첫 글자 'A'(Adultery)가 마침내 천사(Angel)와 능력(Able)으로 승화되기까지 많은 역경과 시련 등의 큰 고통을 겪음으로서 장엄미를 느끼게 하는 도덕적 승리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 작품을 통해 호손은 헤스터 프린이라는 강인하고 아름다운 여성을 그려내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헤스터의 행동과 언술에는 모순된 면이 나타났고 이런 양면적이며 모순적인 반응은 당시의 호손으로서는 불가피 하였다.
이 소설은 그 당시 남성중심사회에서의 여성의 삶 뿐 아니라 남녀 모두의 사고를 드러내 준다고 할 수 있고, 그래서 현재까지도 페미니스트적인 작품으로 읽혀지는 것이다.
다소 불확실하고 모호한 태도를 취하는 호손의 결말에서 헤스터의 급진성에 머뭇거리는 입장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기도 하지만 이는 당대 실현되지 못한 개혁에 대한 더 강렬한 바램과 이상으로서의 개혁성을 엿볼수 있다.
이때까지 살펴보았듯이 헤스터가 간통녀에서 천사의 이미지를 지닌 상담자로 변하는 모습은 여성에 대한 호손의 인식의 변화와 연관된다. 사실 호손은 점차 보수적 시각에서 벗어나 진보적인 여성관을 취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주홍글자』는 호손의 이후 장편을 페미니즘적 읽기를 가능하게 만드는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sit Hawthorne's perspective of feminism in The Scarlet Letter. This study tries to read and to re-assess the works of Nathaniel Hawthorne, a representative novel in the 19th century Woman Movement, from a feministic viewpoint.
Hawthorne used the past of New England as the background of his works. The Scarlet Letter revealed Hawthorne's reaction to the 19th century Woman movement and Puritanism. He described the difficulties and the discrimination in life of a female in The Scarlet Letter. bet He tried to prove the importance of the female life through his works.
Puritans in New England had deep religious aspirations and very rigid laws particularly in dealing with sinner. Puritans came across the ocean to enjoy religious freedom and found theocracy in the new land. But they put emphasis on the laws rather than love for others. so the severity of this society gave birth to a big tragedy.
Although Hawthorne was an inheritor of Puritanism, he criticized the severity of Puritan society and sympathized with the women's suffering from the consciousness of sin. He could express his thoughts through the work of moral allegory and hide it behind his symb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eminism in The Scarlet Letter. First, I studied Puritanism to know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Hawthorne's work and life. Second, the process of the feminist movement by the Hester Prynne. Third, I researched the Hawthorne's feminism of symbolism in The Scarlet Letter.
In the conclusion and at the base of this response, Hester is the first heroin that represents the liberal ideal, feminism, and the equality of men and women. She becomes gradually transfigured into a progressive woman. and Hester is a woman who succeeds in transforming the meaning of the letter A that is given to her as a symbol for her sin. She is the one who helps recognize the self consciousness as an individual with one's distinctive identity. Therefore, Hawthorne is deserved to be understood as a 19th century feminist novelist.
- Author(s)
- 안미정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주홍글자 페미니즘 The Scarlet Letter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8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270
- Alternative Author(s)
- Ahn, Mi J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Advisor
- 박양근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Ⅱ. 시대적 배경과 호손의 생애 = 7
Ⅲ. Hester Prynne에 투사된 여성주의 = 13
Ⅳ. 상징에 대한 여성주의적 해석 = 41
Ⅴ. 결론 = 57
인용문헌 = 6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