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건설장비의 소음 및 진동 저감 사례연구
- Alternative Title
- A Case Study on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by Construction Equip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 Abstract
- 생활수준의 향상과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요구조건의 증가로 인하여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에 의한 민원이 증가되어 이에 따른 정신적 및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한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비에 대한 소음과 진동에 대한 문헌과 기존연구자료 및 현장실측자료를 수집/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부분의 건설장비(법에서 정한 장비 수록)에서 소음은 장비에서 30m이내에서는 소음규제한도(수인한도)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건설장비 소음중 특히 항타장비와 브레이커 및 천공장비의 소음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건설장비에 의한 진동은 장비에서 약 5m정도만 이격되면 진동허용치(5mm/sec)를 만족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브레이커 헤드부의 방음외피는 약 1dB로서 별 효과 없으며, 착암기의 헤드부에 방음캡 장착 또는 장비주변에 이동식방음벽을 설치할 경우 장비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나지만 약5dB의 저감효과는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함에 있어 현장의 소음 및 진동의 실측자료는 장비의 구체적인 제원과 작동상태, 그리고 일정한 이격거리와 반복측정에 따른 실측자료를 수집하지 못하고 여러 현장에서 실측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며 또한 부족한 점이 있으므로 차후 장비의 종류에 따라 계획된 실험계획에 따른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the number of big construction project has increased. There are many construction equipment in the big construction site such as drilling machine, rock breaking machine, compressor and pile driver. The operation of equipments cause noise and vibration. People and structures near construction site suffer from those noise and vibration. So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ose noise and vibration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literatures and observation data on noise and vibration from construction sites. This study also presents effectiveness of the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facilities.
This study would help to prevent the problems of noise and vibration in construction site. The conclusion follows:
1. Within 30m, noise from equipment is over the limits
2. Of the source of noise, pile driver, rock breaking machine and drilling machine are the biggest noise sources.
3. The magnitude of vibration keeps within the limit(5mm/sec) at out side area of more than 5-meter from construction machine.
4. In case of installing soundproof equipment at the head of rock breaking machine, effect of soundproof is inconsiderable. But in case of installing soundproof equipment at head of drilling machine and soundproof wall at compressor, It can be expected a reduction of 5 dB, approximately.
Sample data collected by the author in this study is not sufficient, For the purpose of generality, it is necessary that other data source should be processed to obtain the consistent conclusion.
- Author(s)
- 박영오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소음 및 진동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9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26
- Alternative Author(s)
- Park, Young-Oh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토목공학과
- Advisor
- 이영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 2
1.3 연구의 범위 = 2
1.4 연구방법 = 3
Ⅱ. 문헌연구 = 4
2.1 연구동향 = 4
2.2 소음이론 고찰 = 8
2.2.1 소음의 개요 = 8
2.2.2 소음의 발생원 = 9
2.2.3 소음의 전파특성 = 9
2.2.4 소음규제 기준 = 13
2.3 진동이론 고찰 = 20
2.3.1 진동의 개요 = 20
2.3.2 장비에 의한 진동 발생원 = 20
2.3.3 진동의 전파특성 = 22
2.3.4 진동의 영향 = 24
2.3.5 진동레벨과 진동허용기준 = 35
Ⅲ. 자료수집 및 분석 = 38
3.1 기존자료 수집 = 38
3.1.1 소음자료 수집 = 38
3.1.2 진동자료 수집 = 39
3.2 현장실측자료 = 43
3.2.1 대책전 소음 및 진동 자료 = 43
3.2.2 대책후 소음 및 진동 자료 = 51
Ⅳ. 결과 및 고찰 = 63
4.1 결과 = 63
4.1.1 장비소음원에 따른 소음특성 = 63
4.1.2 장비진동원에 따른 진동특성 = 68
4.1.3 소음 및 진동저감 대책의 효과 = 72
4.2 고찰 = 77
4.2.1 장비종류에 따른 소음 고찰 = 77
4.2.2 장비종류에 따른 진동 고찰 = 78
4.2.3 소음저감공법에 대한 고찰 = 79
Ⅴ. 결론 = 80
참고문헌 = 8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토목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