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한 수학사 관련 자료연구 및 활용방안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using a mathematical application plan as a resource to research and utilize mathematical history, with a focus on high school mathematics
- Abstract
- 3차 교육과정 이후 학습 부담의 경감을 위하여 학습 내용을 줄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학의 학습 능력은 여전히 저조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초·중·고등학교를 통하여 수학을 학습함에도 불구하고 수학적 능력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역사발생적 원리 지도인 수학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수학사가 교과서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학사 도입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박지영(2007)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수학사 내용이 조금 더 늘어난 상태이지만 각 단원의 도입부분에 간단한 역사적 배경이나 일화를 언급한 단원 내용과 관련한 수학자 소개가 대부분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박갑진(2006)은 ‘학교에서 실행하였던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학생들(10단계)은 아직 수학사에 대해 문외 안이며 막연한 공포감과 지루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7차 교육과정에 도입된 수학사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일으키기에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는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서 바뀐 교과서에서의 수학사자료 분석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수학사의 활용방안 소개에 목적을 두었 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학사 내용을 조사하였다. 제7차와 비교하여 다양한 수학사를 활용한 교과서도 있었으나 그 방법은 한정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는 수학사 활용방안으로 예술과 수학이야기, 시대에 화제가 된 이야기와 일화 제공, 수학적 기호 표기법, 어원으로의 수학사 활용방안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수학사 활용의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한다.
Study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can raise a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to study mathematics in the way that, students are able to see the mathematics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rough this, personalize and apply learnt mathematical thinking aspects.
Because mathematical value and the attitude on mathematics is emphasized in the 7th revision educational curriculum, introducing mathematical history as well as applying mathematical history is important.
We examin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nd the 7th revision educational curriculum's characteristics, and discuss the necessity of mathematical history introduction.
We select textbooks by survey, then through material analysis we detect problems, and by introducing illustrations as well as creating a mathematical application plan we are able to suggest solutions, and we suggest solutions by introducing illustrations and a mathematical application plan.
- Author(s)
- 김윤선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수학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9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28
- Alternative Author(s)
- kim, Yoon S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 Advisor
- 김도상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3
3. 연구의 방법 = 3
4.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수학의 특성 = 5
가. 실용성 = 5
나. 추상성 = 6
다. 형식성 = 6
라. 계통성 = 7
마. 직관성과 논리성 = 7
바. 일반화와 특수화 = 8
2. 수학사 도입의 필요성 = 9
3. 제7차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11
Ⅲ. 연구 내용 = 14
1. 수학사 자료 분석 및 관련 수학사 (제7차 개정) = 14
가. 교과단원 내용 및 관련 수학자 = 14
나. 교과서 선정 = 16
다. 각 출판사의 단원별 수학사 = 17
라. 교과서 분석 결과 = 29
2. 수학사 활용방법 = 31
가. 예술과 수학사의 도입 = 31
나. 시대에 화제가 된 이야기와 일화 제공 = 34
다. 수학적 기호 표기법 및 어원 = 38
Ⅳ. 결론 및 제언 = 42
참고문헌 = 4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