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작품 지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eaching Literature in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Abstract
지금까지 문학 작품이 고등학교 영어교육에 있어서 가지는 효용성을 세 가지 이론적 근거와 함께 고찰하고, 문학 작품 활용 방법,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 실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학 작품은 영어 학습자들에게 인성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있고, 학습자들의 언어능력 수준에 맞는 적절한 작품의 선정은 지루하고 무의미하게 반복되는 언어 기능의 학습보다 훨씬 더 좋은 언어학습 효과를 가지며 목표어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문학 작품은 2009년 3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과 문화 이해라는 학습목표에 적절히 부합하는 학습자료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로 부산 소재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문학 작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총 57과 중에서 시 3편(5.26%), 소설 1편(1.75%), 희곡 3편(5.26%), 수필 4편(7.01%), 설화 1편(1.75%), 동화 2편(3.50%)에 불과해 양적인 면에서나 다양한 장르의 수록 면에서도 미진한 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 현직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에서 보았듯이 실제로 많은 선생님들이 문학 작품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문학 작품을 활용한 다양한 수업활동을 실시하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문학이 인간의 삶에 관계되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어 학생들에게 읽고자 하는 동기와 흥미를 줄 수 있는 유용한 언어학습 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문학 작품의 특성을 인식하여 교사는 문학 작품을 번역하고, 내용을 설명하는 천편일률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문학 작품을 학생들의 삶과 결부시키는 언어활동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텍스트, 교사, 그리고 동료학생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중심의 수업활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2009년 3월부터 적용되어 시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영어교육은 여전히 대학입시제도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현행의 입시 체제하에서 보다 통합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 기능을 강조하는 영어교육은 실천에 옮기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움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의 실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어휘와 다양한 표현력, 상황에 맞는 적절한 문장 등이 제시되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영어 교재는 인위적인 상황 제시와 그에 따른 제한된 언어만을 사용하고 있어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문화적 이해와 표현력을 갖추는 데 부족한 점이 상당히 많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교과서는 영어 학습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이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더 많은 문학 작품을 수록해야 한다고 본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현행 입시 체제하에서 교과서를 벗어난 수업을 하는 것은 상당한 무리가 있으므로 학생들의 언어 수준에 맞고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문학 작품을 교과서에 수록한다면 보다 역동적이고 창의적인 영어학습의 장이 열릴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 고등학교 1학년 과정부터 수준별 수업에 따른 보조교과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학습활동을 보조교과서에 반영하고,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수업에 임한다면 학생들이 재미와 감동 속에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높여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n efficiency of English literature in the high school. This study will inspect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and present teaching models using literature text. And also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the high school textbooks provide learners with appropriate literature texts.
For this study, a survey on "the efficiency of the activities for the literature text" was made up for the teachers in the high school. After that, five English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of the high school used in a certain area, Pusan, were chose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literary text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nglish literature has many advantages as a material for teaching English. I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a foreign culture and to develop language skills such as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Also, It offers a chance to feel courage, confidence, hope, friendship, love etc and those emotional experiences make students grow up. A choice of suitable texts for students is a prerequisite for the successful use of literature in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36 of 43 teachers in the high school in Pusan answered that they conducted the literature text in school hours. And 52.7% of them answered the literature text had motive for studying English.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five textbooks shows that the ratio of the literature texts is low in general. There are 3 poems(5.26%), 1 novel(1.75%), 3 dramas(5.26%), 4 essays(7.01%), 1 folk tale(1.75%), 2 fairy tales(3.50%) of whole 57 lessons in five textbooks.
12 of 43 English teachers chose O. Henry's short story 「The Love Powder」for the most suitable text of teaching. So, I applied a three-stage teaching instruction to that story and developed a syllabus for the practical use in an English class. The syllabus had three stages; pre-reading, while-reading, and post-reading.
In conclusion,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should include more appropriate literature texts. If more diverse literature text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s, it will be helpful for students to develop communications skills. Therefore, literature is needed in real educational sites and should be expanded to the discussion of how to teach.
Author(s)
이경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어교육 영문학 교과서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9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29
Alternative Author(s)
Lee, Kyong L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양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논문의 구성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1. 영어 교육과 문학 = 5
2. 문학 작품의 효용성 = 7
가. 인성적 측면 = 7
나. 언어능력의 향상 = 8
다. 문화적 측면 = 10
라. 문학 작품의 선정 = 11
3. 2007년 개정 교육과정 = 14
가. 영어 교육과정 목표 = 14
나. 소재 = 15
4. 문학 작품의 지도 방법 = 17
Ⅲ. 연구 문제 = 19
1.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학 작품 현황 조사 = 19
가. 영어 교과서의 선정 = 19
나. 장르의 제한 = 20
2. 문학 작품 지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 20
가. 설문 대상 = 20
나. 설문 내용 = 21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23
1.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학 작품 수록 현황 = 23
가. 교과서별 문학 작품 수록 현황 = 23
나. 장르별 문학 작품 수록 현황 = 24
2. 설문 조사 결과 및 분석 = 26
3. 실제 수업 지도안 = 34
가. 읽기 전 활동 = 35
나. 실제 수업활동 = 38
다. 확장 활동 = 42
Ⅴ. 결론 및 제언 = 45
참고 문헌 = 47
부록 = 5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