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고려속가 교육 방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eaching Methods for Goryesokga
Abstract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과정상의 편제 문제, 고전문학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과 부담감, 어려운 어휘, 수업 시간의 부족 등의 문제로 고전문학의 하위 범주인 고려속가 역시 충분히 감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 보아 고려속가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이 개선되어야 할 여지는 충분하다. 여느 문학 교육과 마찬가지로 고려속가 교육에 있어서도 정서적 체험과 내면화를 중요시한다. 특히 고려속가가 고전문학이라는 점에서 기초 학습시 작품과 관련한 배경지식의 습득에 주안점을 두어야 하고, 나아가 감상능력 신장을 위해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능력별, 수준별 교육에 따른 지도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단계적이고 다양한 학습을 위한 기본전략이 있어야 한다. 또한 작품에 대한 인식 변화와 다양한 교육 자료의 제시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인쇄 매체 활용과 동시에 종합예술로써의 고려속가 특징을 살려 청각 매체, 사진 매체, 영상 매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고려속가를 교육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에 좀 더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인 수업의 주체로 설 수 있다.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작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날 것이고 다양한 교육 자료의 제시가 이루어질 것이며, 더불어 내면화와 정서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다양한 매체 활용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쳐 변화를 가져왔으며 국어교육에도 점점 그 영향을 증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국어교육이 인쇄 매체를 중심으로 통해 교수·학습 되었다면 이제는 새로운 환경을 맞아 학습자의 생활에 밀접한 매체들을 끌어와 이를 통해 국어 교육에 적극 활용하고 나아가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힘을 길러주어야 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매체 활용을 통한 고려속가 교육의 방법적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 고려 속가 교육의 방법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Not only the study of Goryesokga as literacy art but also the approach to socio-cultural and musical aspects have been vigorously accomplished. This thesis is started from the fact that Goryesokga was began from a folk song and then developed to a synthetic art. Goryesokga was not just a poem but an old form of Korean verse. Furthermore it became a synthetic art that included songs, musical instruments, dance. Considering that, I want to contribute the gradual study of Goryesoka and have studied the methods that use various medium for teaching Goryesoka.
In the second chapter, I described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teaching Goryesokga. I explained the meaning of teaching Goryesokga and the aspects of highschool textbooks, which how they explain and list Goryesokga. For the real research of teaching Goryesokga, I made up for questionnaires to seconde grade highschool students and then I indicated the result using percentage. Also, I explained the problem of teaching methods of Goryesokga based on the result of all questionnaires.
In the third chapter, I described all contents of using medium for teaching Goryesokga. Also In the part of learning Goryesokga used with various medium, I, in the concrete, showed various use of medium for teaching Goryesokga such as media, auditory, and pictures and movies.
In the forth chapter, I explained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described the medium that is used for teaching Goryesokga through "Ssangwhajum". I made up the teaching plans for the characters of "Goryesokga" which had been enjoyed as a synthetic art.
Goryesokga had been enjoyed as a synthetic art for years. It has many approachable features to use various medium for teaching learners. From now on, We, our teachers, should educate learners to have power to reflect by themselves and communicate with past and future using various methods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of medium which is very closed with learners' lives. Forward, I look forward to being a help for teaching Goryesokga using practical use of medium.
Author(s)
장유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29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32
Alternative Author(s)
Jang, Yu-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고순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3
3. 연구 내용 = 5
Ⅱ. 고려속가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 7
1. 고려속가 교육의 의의 = 7
2. 고려속가의 ‘문학’ 교과서 수록 양상 검토 = 10
3. 고려속가 교육의 실태 = 18
4. 고려속가 수업 방법의 문제점 = 26
Ⅲ. 매체활용을 통한 지도 방법 = 31
1. 고려속가 교육을 위한 매체활용 = 31
2. 다양한 매체 활용 학습 = 36
Ⅳ. 고려속가의 교수·학습 모형 연구 = 44
1. 교수·학습 모형 설계 = 44
2. 고려속가 교육 매체 자료 - = 44
3. 고려속가 작품의 교수·학습 지도안 = 54
Ⅴ. 결론 = 63
【참고문헌】 = 6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