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교과서 노래와 챈트를 이용한 읽기활동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Various Reading Activities Using Songs and Chants from the Textbook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Abstract
교과서 노래와 챈트를 이용한 읽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단원의 3차시 수업내용을 달리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반과 비교반은 사전 읽기능력 시험을 통해 동질성이 검증되었고 실험연구는 정규 영어 교과 시간을 이용하여 9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직후 치러진 사후시험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단어와 문장시험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전·사후시험의 문항수가 달랐으므로 사전·사후 단어시험의 변환점수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은 단어시험에서 유의확률이 0.016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노래와 챈트를 이용한 읽기 활동을 통해 단어 읽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전·사후 문장시험의 변환점수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은 유의확률이 0.916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비교집단은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비교집단의 유의미한 차이는 사후점수가 향상된 것이 아니라 사전·사후 시험의 난이도를 비슷하게 맞추려고 노력하였으나 사후시험의 난이도가 낮아서 두 집단 모두 평균이 낮아졌고 실험집단에 비해 비교집단이 하락정도가 커서 나온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사후 문장시험에서 실험집단의 하락정도가 적은 것은 노래와 챈트를 이용한 읽기 활동이 문장 이해능력에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노래와 챈트를 이용한 읽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나 어휘, 구문, 발음, 강세 리듬, 억양 등 다양한 언어 요소를 유의적 반복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영어 노래와 챈트가 학교 현장에서는 대여섯 차례 부르는데 그치고 있어 그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다양한 읽기활동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면 부족한 읽기의 내용을 보충하고 단어뿐 아니라 어구, 문장도 자연스럽게 익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duce the reading difficulty that the 5th graders might experience during the transition from reading words to sentences as they move up to the 6th grade. To achieve this purpose, experimental lessons with various activities based on chants and songs were given. Fifty-eight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and experimental. Two groups were asked to take pre-tests and each groups equality was verified. Research was conducted during their English lessons for 9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ost-tests,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Second, after analyzing paired sample t-test using the standard score of the word tests because the number of pre- and post-test was differ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word reading ability. It shows reading activities using songs and chants improve word reading ability.
Third, after analyzing paired sample t-test using standard score of the sentence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 The difference doesn't mean control group improved sentence reading ability. While the overall post-test scores decreased, the range of the control group's pre- and post-test results was larger than the one of the experimental group's pre- and post-test results. The small rang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entence tests means reading activities using songs and cha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sentences. In conclusion, the various reading activities using songs and chants from the textbook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we realized the importance of reading activities to promote students' concentration, degree of accomplishment and participation. For this reason, we have to choose and apply suitable reading activitie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but there was some improvement in the paired sample t-test. Therefore further study of reading activities and objective assessment is necessary.
Third, this research measured only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ds and texts after reading activities using songs and chants.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ctivities and reading-aloud ability because it is important to exchange printed words into sound words for efficient reading.
Author(s)
이혜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0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39
Alternative Author(s)
Lee, Hye 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Advisor
조윤경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과제 = 3
1.3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2.1 읽기에 대한 이론적 접근 = 4
2.2 읽기 지도의 실제 = 16
2.3 읽기지도에 관한 선행연구 = 21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25
3.1 연구 참여자 = 25
3.2 연구 도구 = 25
3.3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 2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2
4.1 기술통계 = 32
4.2 사전 동질성 검증 = 33
4.3 사후시험 점수 비교 = 34
4.4 사전·사후시험 점수 비교 = 35
Ⅴ. 결론 및 제언 = 38
5.1 결론 = 38
5.2 제언 = 39
참고문헌 = 41
부록 = 4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