洛東江河口 EMERGY 分析과 經濟的 價値平價의 比較硏究
- Alternative Titl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MERGY Analysis and the Economic Evalua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 Focused on Eulsuk Island
- Abstract
- 낙동강 하구 생태환경의 보고(寶庫)를 이루고 있는 삼각주(Delta)중 에코센터를 건립하는 등 주요한 요충지로 인식되고 있는 을숙도의 경제적 가치를 에머지 분석법, 여행비용접근법(TCM), 가상가치접근법(CVM)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에머지 분석법에 의하면 421백만원/연, 여행비용접근법(TCM)으로는 4,882백만원/연, 가상가치접근법(CVM)에 의하면 1,174~11,813백만원/연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이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자연환경의 에머지 평가는 태양, 바람, 조석, 강우를 기초로 평가하며 각 에너지에 에너지 변환도를 곱하여 에머지를 구하므로 연도별 각 에너지의 변동에 따라 평가액이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자연환경의 에머지 평가는 대상지의 면적에 비례하여 산정되므로 생태관광을 위해 방문하는 을숙도의 면적이 다른 생태관광지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7.2㎢) 평가액이 경제학적 방법보다 비교적 낮게 평가되었다. 그 외에도 에머지 평가는 대상에머지를 에머지-화폐비율로 나누어 산정하므로 에머지-화폐 비율이 중요하며 각국의 경제규모에 따라 자연환경의 경제적 가치평가가 달라진다.
가상가치접근법은 지불의사금액의 평균, 전체 평균, 절단된 평균 등 설문조사 결과를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인다. 또한 설문방법에 의해 응답자의 진실한 지불의사금액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가설적 편의, 출발점 편의, 지불수단 편의, 정보 편의, 전략적 편의 등 각종 편의가 존재하기 때문에 설문참여자의 정확한 의견수렴에 한계가 있다. 이상과 같은 차이점을 비교하여 을숙도의 가치를 산정할 수밖에 없다.
1990년 “Globe '90 conference"에서 자연환경보전 없이는 관광이 존재할 수 없음을 강조하면서 관광개발은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환경적 영향이 균형을 이루면서 개발되어야 한다고 선언되고 그 대안으로 지속가능한 관광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of Tourism Planning)이 제창 되었으며 환경생태 체험을 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하고 광활한 낙동강 하구, 특히 을숙도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친환경적인 이용을 위하여 환경훼손과 파괴의 위험이 없는 이른바 환경친화적인 관광개발 중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흐름에서 1990년대에 이르러 새로이 나타난 것이 생태관광(Ecotourism)이며 이는 요즈음 심각하게 부각되어 거론되고 있는 환경문제와 관광개발을 적절하게 결합한 대안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생태관광의 존재가치를 자연친화적 개발전략으로 정당화 하여야 하며 생태관광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누구라도 공감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로서 생태관광자원의 공익적 가치를 계량화 할 수 있는 객관적인 틀을 마련하는데 미력이라도 일조할 수 있다면 본고는 가치를 가진다고 사료되며 경제적 가치평가가 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원인은 가치평가의 원리와 접근방법이 다른 면이 있고 설문조사를 통한 가치평가의 경우 가급적 자기 자신에게 유리하게 결과를 유도하기 위한 전략적 편의(strategic bias), 지불수단에 따라 감정적인 반응을 보여 나타나는 수단적 편의(instrumental bias), 혹은 부적합하고 부실한 정보의 제공에서 발생하는 정보적 편의(informative bias)등이 발생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 경상남도에서 개최된 람사르 국제회의 등에서 보듯이 세계적으로 습지보전을 위한 노력이 가일층 심화되고 습지의 오염물질 정화기능, 심미적 기능, 자연학습장으로서의 기능, 생태관광지로서의 기능, 한국가의 환경보전을 위한 노력정도에 대한 상징적인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으며 이의 중요성이 날로 더 할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에서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자연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실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 실천의 방향으로는 단순히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여 보전하려는 수동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대전제 하에 생태환경(ecosystem environment)을 더욱 가치 있고 풍요하게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하는데 조금나마 보탬이 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본연구의 가치를 찾고자 한다.
본고에서 을숙도라는 자연환경의 가치를 추정하였는바 에머지 분석법과 여행비용접근법(TCM), 가상가치접근법(CVM)의 현실과 부합되지 않는 부분과 추정을 어렵게 하는 각종편의로 인하여 실제적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고 사료되며 여러 가지 방법상의 문제와 이에 따른 실제 경제적 가치와의 차이는 추후 선배제현들의 연구로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한때는 쓸모없는 땅으로 여겨졌던 습지로서 단순히 개발과 매립의 대상이었던 낙동강 하구가 관광, 휴양, 생태, 야생동물, 철새의 중요한 서식처로 뿐만 아니라 문화 활동과 위락, 교육에 있어서도 중요한 가치를 가진 공간으로 인식되는데 본고가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면 더 바랄나위가 없으며 우리나라 생태환경 보전 발전을 위한 조그마한 디딤돌이 되었으면 한다.
Nationally, we need to protect the Nakdong River estuary, for reasons being; it is the largest place for returning seasonal birds in the Orient, it is a cultural assets protection area, it is a natural environmental protection area, it is an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t is a wetland protection area, it is a special coastal protection area.
Especially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 eco-center was established on Eulsuk Island by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287 users of visitors. Information about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annual income, occupation, age, travel cost, required time, and conservation-willingness to pay for economic evaluation of the Eulsuk island, were collected.
Additionally, the other method of research utilized emergy evaluation.
The research used TCM(Travel Cost Method),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emergy evaluation.
The comput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ation values of Eulsuk island using TCM were about 1,627~2,441 hundred million won by capital values. Using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y were estimated as 390~5,900 hundred million won by capital values, and using emergy evaluation they were 421million won per year.
- Author(s)
- 김인수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TCM CVM Economic evaluation preservation values capital values emergy evalu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1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49
- Alternative Author(s)
- Kim, In So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자원경제학과
- Advisor
- 윤형모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 목적 = 1
제 2 절 선행연구 = 2
제 3 절 연구의 방법 = 3
제 4 절 연구 대상지 현황 = 5
제 2 장 Emergy분석에 의한 가치평가 = 12
제 1 절 Emergy분석의 이론적 고찰 = 12
제 2 절 Emergy분석에 의한 가치평가 = 17
제 3 장 여행비용 접근법(TCM)에 의한 가치평가 = 29
제 1 절 여행비용 접근법 (TCM)의 이론적 고찰 = 29
제 2 절 설문조사 분석 = 32
제 3 절 여행비용접근법에 의한 가치평가 = 43
제 4 장 가상가치 접근법(CVM)에 의한 가치평가 = 47
제 1 절 가상가치 접근법(CVM)의 이론적 고찰 = 47
제 2 절 설문조사 분석 = 50
제 3 절 가상가치 접근법(CVM)에 의한 가치평가 = 59
제 5 장 결론 - 가치평가 비교 - = 65
◈ 참고문헌 ◈ = 70
부록 [1-1] 낙동강하구에코센터(을숙도)방문객 설문조사 = 72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자원경제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