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경기가 기초체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basketball on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 Abstract
- 본 연구는 B광역시 대한농구협회에 등록된 남자 중학생 농구 선수 총 11명을 12주간 훈련으로 기초체력 및 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초체력
1) 근력은 운동 전 35.37±8.27kg에서 운동 후 36.55±8.04kg으로 1.18kg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근지구력은 운동 전 43.27±4.64회/분에서 운동 후 48.45±6.69회/분으로 5.18회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p< .01) 증가하였다.
3) 순발력은 운동 전 2.05±0.12m서 운동 후 2.34±0.14m로 0.29m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p< .001) 증가하였다.
4) 민첩성은 운동 전 11.57±0.91초에서 운동 후 11.20±0.53초로 0.37초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유연성은 운동 전 11.34±5.27㎝에서 운동 후 13.71±6.43㎝으로 2.37㎝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p< .01) 증가하였다.
6) 평형성은 운동 전 45.10±45.89초에서 운동 후 73.79±56.37초로 28.69초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신체조성
1) 체지방량은 운동 전 7.82±2.55㎏에서 운동 후 8.90±2.59㎏으로 1.08㎏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제지방량은 운동 전 49.57±15.32㎏에서 운동 후 55.87±6.15㎏으로 6.30㎏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체수분량은 운동 전 38.81±4.50ℓ에서 운동 후 40.21±4.45ℓ으로 1.40ℓ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p< .01) 증가하였다.
4) 근육량은 운동 전 49.32±5.64㎏에서 운동 후 52.05±5.68㎏으로 2.73㎏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p< .01) 증가하였다.
5) 단백질량은 운동 전 11.39±1.19kg에서 운동 후 11.93±1.21kg으로 0.54kg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p< .001) 증가하였다.
The thesis studied a total of 11 people who are middle school basketball player in Nam gu B-city. All of subjects are registered in Korea basketball association.
The duration of basketball game training program of this study is 12 -weeks, the training time in total 3 hours warming-up 20 minutes, the interval and physical fitness 60 minutes and technical exercise 80 minutes, cool down did in 20 minutes.
Exercise frequency is 5 times per week, specific program same a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physical fitness1) Muscular Strengt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creasing just 1.18kg from 35.37±8.27kg to 36.55±8.04kg.2) Muscular Enduranc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5.18 times/min from 43.27±4.64 times/min to 48.45±6.69 times/min(p< .01).3) Improvisation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0.29m from 2.05±0.12m to 2.34±0.14m(p< .001).4) Agilit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creasing 0.37sec from 11.57±0.91sec to 11.20±0.53sec.5) Flexibil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2.37㎝ from 11.34±5.27 ㎝ to 13.71±6.43㎝(p< .01).6) Balanc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creasing just 28.69sec from 45.10±45.89sec to 73.79±56.37sec.body composition1) Body fat mass show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creasing just 1.08㎏ from 7.82±2.55㎏ to 8.90±2.59㎏.2) Lean body mas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6.30㎏ from 49.57±15.32㎏ to 55.87±6.15㎏.3) Total Body water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1.40ℓ from 38.81±4.50ℓ to 40.21±4.45ℓ(p< .01).4) Muscle mas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2.73㎏ from 49.32±5.64㎏ to 52.05±5.68㎏(p< .01).5) Protein mas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0.54kg from 11.39±1.19kg to 11.93±1.21kg(p< .001).
- Author(s)
- 정재윤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농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1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55
- Alternative Author(s)
- Jung, Jae-Yo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 Advisor
- 신군수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의 문제 = 3
4. 연구의 제한점 = 3
5.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농구경기의 발달 = 6
2. 농구경기의 특징 = 7
3. 농구경기와 기초체력 = 9
4. 농구경기와 신체조성 = 10
Ⅲ. 연구 방법 = 12
1. 연구 대상 = 12
2. 측정도구 = 12
3. 측정항목의 선정 = 13
4. 측정방법 = 13
5. 실험 계획 및 방법 = 15
6. 자료 처리방법 = 16
Ⅳ. 연구결과 = 20
1. 기초체력 = 20
2. 신체조성 = 26
Ⅴ. 논의 = 31
1. 기초체력의 변화 = 31
2. 신체조성의 변화 = 38
Ⅵ. 결론 = 44
참고문헌 = 4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