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이론 교육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Theory Learning Method in the Education of Advertisement Design Making use of Multimedia : With a focus on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 Abstract
- 21세기 정보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학교현장의 교수-학습환경도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에 사용하고 있는 콘텐츠 및 교육 프로그램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프로그램에서는 선형적인 절차에 의하여 단순히 문자정보나 그래픽만을 제시하였으나, 최근에는 문자정보,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을 단일적 혹은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지식·정보의 혁명은 재화 및 서비스 생산 양식의 혁명으로 이어지고 경제·지식·정보화의 혁명은 인간의 삶의 모습을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변모시키고 있다. 인류문화 전진의 방향은 편의성·능률성·쾌적성·세련성 등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간 삶의 모습을 편리하고도 기능적·창조적으로 아름답게 가꾸어나가기 위한 지적 자산으로서 디자인(Design)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디자인 발달의 요구는 시대 발전의 징표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시각커뮤니케이션으로 우리 생활의 한 부분이 된 광고를 위한 교육을 함에 있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시각적 콘텐츠를 제시하는 교수-학습환경은 교육의 극대화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7차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다양한 매체와 방법의 활용이 강조되며, 첨단 멀티미디어와 정보 통신 기술도입을 통한 방법 및 내용의 필요성과 교육의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매체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Kulik, Bangert, Williams(1983)에 의하면 멀티미디어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시간을 88%나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기반 멀티미디어가 학습자로 하여금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에 비해 보다 많은 지식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학습시킨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은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활동을 촉진하는 교실 환경을 조성, 교육 기반 시설의 확충, 교수-학습 매체의 현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쉽게 가르치고 학생은 재미있게 공부하는 역동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전환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시각디자인 과목 중 ‘광고디자인’ 수업을 멀티미디어로 활용한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살펴보고, 멀티미디어를 통한 교육적 활용이 이론학습과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광고디자인 이론교육에 있어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twenty first century,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schools is changing rapidly. Accordingly, the education content and programs used in teaching and learning are also experiencing many changes. In the existing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program, only text information and graphics are produced from linear procedure, but the latest multi-media environment is now being introduced in which everything including text information, photographs, audio and moving images can be produced singularly or as a combined presentation.
The revolution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was led to the revolution in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has changed the human living environment, with a remarkable speed. The direction of human civilization can be said to be a pursuit of convenience, efficiency, comfort and sophistication. In that sense, the importance of Design as an intellectual force to develop lifestyles in a functional and creative way as well as for convenience,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current high demand for design development can be seen as a sign of timely progress.
In the education of advertisement which has become a part of our life as a visual communication,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visual contents are provided making use of multi media maximizes the effect of education.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reform of education programs, various devices and methods are emphasized for effective study, and the necessity for new methods and content through multimedia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usage of various devices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he maximization of educational effect.
According to the study by Kulik, Banger and Williams (1983), a lesson using a multi-media learning approach reduces the time required to learn the subject material by up to 88 percent. It has also been verified that computer based multimedia imparts more knowledge in a more effective way to students compared to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A new education paradigm using multi-media requires a modernization of teaching/learning devices by improving the class environment and adopting educational foundational facilities to allow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rom this position, the teacher would be able to be more at ease while teaching, and students would gain more enjoyment from study. The a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s most in demand at present.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using various ways to employ multimedia for "advertisement design" lessons as part of visual design in technical high schools. It investigates multimedia content accordingl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use of multimedia on students and the study of theory, and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education in advertisement design theory.
- Author(s)
- 김명주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멀티미디어 광고디자인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2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64
- Alternative Author(s)
- Kim, Myung-Ju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 Advisor
- 장청건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4
3.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고찰 = 7
1.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의 개념 = 7
가. 멀티미디어의 개념 = 9
나.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유형 = 10
다. 멀티미디어의 장점 = 13
2. 멀티미디어 활용 교수-학습 자료 = 14
가. CD-ROM = 14
나. 멀티미디어학습 = 15
다. 웹 기반 수업 = 15
3.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의 학습 효과 = 17
4. 멀티미디어 활용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 = 20
Ⅲ.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교육 = 24
1.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 현황 = 24
가. 디자인 교육의 변천 과정 = 25
나. 디자인 교육의 개설 현황 = 30
2. 전문계 고등학교 광고디자인 교과 내용 = 35
가. 이론 교과서를 통한 광고디자인 관련 단원 분석 = 36
나. 실습 교과서를 통한 광고디자인 관련 단원 분석 = 40
3. 전문계 고등학교 광고디자인 이론 교육 현황 = 44
Ⅳ. 연구방법 = 48
1. 조사개요 = 48
가. 목적 = 48
나. 조사방법 및 대상 = 49
다. 통계방법 및 기간 = 50
라. 교수-학습 수업연구방안 = 50
2. 설문조사분석 = 59
가. 빈도분석 = 59
나. T-검증 = 75
다. 방향성분석 = 79
3. 설문조사분석에 대한 결론 = 81
Ⅴ. 결론 및 제언 = 83
참고문헌 = 88
설문지 = 9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