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담 피드백이 한국 고등학생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Teacher-conferencing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Writing
- Abstract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과제 1(즉, 교사 면담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들은 문법 지식이 향상되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문법 시험을 통해 면담 피드백 집단은 평균 8점, 서면 피드백 집단은 평균 3점 상승하여 면담 피드백이 문법 지식 향상에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과제 2(즉, 교사 면담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들은 작문 능력이 향상되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면담 피드백 집단은 평균 8점 상승했고 서면 피드백 집단은 평균 3.3점 상승하여 면담 피드백이 작문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과제 3(즉, 교사 면담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들은 작문에 있어서 문법 오류의 반복이 낮아 졌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오류수를 비교할 때 면담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오류반복수는 99개이고 서면 피드백을 받은 그룹의 오류수는 132개로써 면담 피드백 집단의 오류 반복가 낮았으므로 면담 피드백이 서면 피드백보다 오류 반복을 줄이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였다. 또한 피드백에 상관없이 성적이 높은 학생은 피드백을 반영하는 비율이 눈에 띄게 높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성적이 하위권인 학생은 피드백이 다음 작문에 바로 반영되는 비율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문법과 어휘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상태이어서 피드백에도 불구하고 작문에 반영할 수 있는 힘이 부족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연구과제 4(즉, 교사 면담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들은 작문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흥미도에 있어서는 면담 피드백과 서면 피드백을 받은 학생들 두 집단 모두 영어 작문에 대한 흥미도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사전 인터뷰에서 작문에 대해 모두 두려움을 가지고 있고 부담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험 후에는 모두 공통적으로 작문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앞으로 계속 영어 작문을 하는 것이 어떠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S6(서면)를 제외하고는 5명 모두가 기꺼이 동의하였다. 하지만 연구자의 판단에 의하면 높은 점수대의 학생들은 피드백 유형에 상관없이 작문을 또 다른 도약을 위한 도전과제라고 생각하고서 기꺼이 작문을 계속 하면서 실력을 향상시킬 정신적 자세가 되어 있었으나 점수가 낮은 학생들 중 특히 서면 피드백을 받은 학생들은 피드백이 의미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대로 제출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인지적 해결이 안 되는 경우 흥미도로 바로 이어지기가 어렵다고 보인다. 다시 말해서 점수가 낮은 경우는 단순 서면 피드백만으로는 성취감을 맛보기가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작문에 대한 흥미도가 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교사 면담 피드백이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모두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High school education and curriculum has put much emphasis on comprehension skills, such as listening and reading. But students haven't developed proper writing skills which should be regarded as vital for academic success. Also, the ability to communicate ideas and information effectively in English through the global digital network is of absolute importance. However, good English writing takes more than just encouraging students to write in English. Providing feedback is as important a process as writing itself.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effectiveness of peer feedback and teacher written feedback. But no research has been done on teacher-student conferencing. Teacher-student conferencing gives each student individualized attention, both cognitively and affectively, which is rarely possible under normal classroom conditions.
Recognizing the research gap,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conferencing o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und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Did the students who had teacher-conferencing have more improved knowledge of grammar? 2. Did the students who received teacher-conferencing have better writing ability? 3. Did the students who received teacher-conferencing have fewer grammatical errors in their writing? 4. Did the students who received teacher-conferencing have more interest in English writing? 6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and take a grammar test as their pre-test assessment. Based on tha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group was given teacher-conferencing on their 4 writings, while the other group was given written feedback from their teacher. After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submit an essay and take a grammar test as a post-test evaluation. All the errors in their essays were counted and scores were given, and then the total scores were compared. In addition, to find out how their interest in writing had changed, two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the assessment and after the assessment.
The first result is that the teacher conferencing group has more improved knowledge of grammar than the written feedback group. The second result is that the teacher conferencing group had higher scores on their writing than the written feedback group. The third result is that the teacher conferencing group got fewer grammatical errors than the written feedback group. The fourth result, based on the interview showed that the teacher conferencing group had higher level of interest and motivation in English writing than the written feedback group. 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conferencing group and the written feedback group was more evident in the lower scoring students' writing. That is to say, the students who had lower scores showed lower interest and motivation among the written feedback group. It seems that the lower scoring students need person-to-person conferencing feedback to experience better results. In conclusion, the personalized conferencing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writing than is written feedback from the teacher.
The findings above have provided supportive evidence for the necessity of employing teacher-conferencing in Korean high school writing class especially among students of lower scores.
- Author(s)
- 양윤서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쓰기 면담 피드백 서면 피드백 과정중심작문 오류수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3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66
- Alternative Author(s)
- Yang, Yun-Se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Advisor
- 조윤경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 과제 = 5
1.3 연구의 제한점 = 5
Ⅱ. 문헌 연구 = 7
2.1 쓰기 교육의 중요성 = 7
2.2 과정중심 작문 지도법 = 9
2.3 교사 피드백에 대한 선행 연구 = 12
2.3.1 서면 피드백에 대한 선행연구 = 15
2.3.2 면담 피드백에 대한 선행연구 = 19
Ⅲ. 연구 방법 = 24
3.1 연구 참여자 = 24
3.2 연구 도구 = 25
3.3 실험 처치 = 28
3.3.1 면담 피드백 = 28
3.3.2 서면 피드백 = 31
3.4. 자료 수집 절차 = 34
3.5 자료 분석 방법 = 3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7
4.1 사전 동질성 검증 = 37
4.2 면담 피드백이 문법 지식 향상에 미치는 영향 = 39
4.3 면담 피드백이 작문 능력 향상에 끼치는 영향 = 41
4.4 면담 피드백이 오류 반복에 끼치는 영향 = 46
4.5 면담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태도 = 50
4.5.1 사전 인터뷰 결과 = 51
4.5.2 사후 인터뷰 결과 = 52
4.5.2.1 영어 작문에 대한 태도 변화 = 52
4.5.2.2 학습자들의 피드백에 대한 평가 = 53
4.5.2.3 학습자들의 피드백 활용 = 54
4.5.2.4 피드백이 작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54
Ⅴ. 결론 및 제언 = 58
5.1 결론 = 58
5.2 제언 = 59
참고문헌 = 62
부록 = 69
부록 1 사전 문법 시험 검사지 = 69
부록 2 사후 문법 시험 검사지 = 74
부록 3 분석적 평가 채점 기준표 (박혜숙,p.188) = 80
부록 4 S1(면담)의 사전 작문과 점수 = 81
부록 5 S1(면담)의 사후작문과 점수 = 83
부록 6 S2(서면)의 사전작문과 점수 = 84
부록 7 S4(서면)의 사후작문과 점수 = 8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