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미술교과 디자인영역에서 공공디자인 교수·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PLAN OF PUBLIC DESIGN FOR DESIGN SPHERE IN ART SUBJECT : FOCUSED ON THE GENERAL HIGHSCHOOL
Abstract
공공디자인은 공공성을 다루는 디자인으로서 공공기관에 의해 정책적으로 행해지는 디자인행위이기는 하지만, 공공성이라는 속성 때문에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사회구성원 모두에 의해 공동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그리고 디자인 생산자인 국가나 공공기관과 디자인 소비자인 개인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의식과 안목이 비슷한 수준에 있어야 마찰 없이 합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의식 수준과 안목을 끌어 올릴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디자인교육이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 디자인 소비자를 위한 보통교육의 차원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먼저, 보통교육으로서 공공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기위해 일반계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디자인영역 중에서 공공디자인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공공디자인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고, 참고도판 또한 극히 빈약하여 단편적인 내용만 제시하고 있었다. 공공디자인 수업은 주변 환경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안을 찾아가는 과정의 수업을 지향해야 하므로 현행 미술교과서의 내용을 가지고 공공디자인 수업의 교재로 활용하기에는 미비하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인식과 공공디자인에 대한 흥미도를 분석하였는데 전체의 72%정도가 공공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낮았고, 공공디자인의 사회적 동향에 대한 인지도도 71.5% 정도로 저조 하였다.
공공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낮고 교육을 받은 경험도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반수이상의 학생들이 공공디자인 분야에 흥미를 보였다. 이는 공공디자인의 요소들이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수업제재로의 가능성이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위의 사실을 통해 공공디자인이 수업제재로 적합하며, 이를 위해 교재연구과 수업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공디자인 수업방안에서 예상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ㆍ분석단계에서 토론 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태도 등 디자인의 생활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문제의식을 기를 수 있다.
둘째, 종합 단계에서 통해서 학생자신이 구상했던 이미지를 표현해봄으로써 조형의 요소나 원리, 재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평가단계에서 과제를 해결하여 제출할 때 디자인 의도나 소감을 작성함으로써 자신의 의도가 어느 정도 성취되었는가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활동에 대한 만족도 등을 스스로 판단해 보고, 학생 스스로 자신의 문제해결에 대한 자기평가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반계 고등학교 미술교과에서 공공디자인 교수ㆍ학습의 활성화와 나아가서는 디자인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한다.
첫째, 교육과정상 미술교과 수업시수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미술교과서의 디자인영역에서 공공디자인의 내용 정립이 필요하다.
미술교과서에서 디자인영역 대비 공공디자인과 관련 있는 내용의 점유율은 약 1.6%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공공디자인은 디자인의 거의 모든 분야가 적용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미술교과서의 디자인 영역에서 공공디자인의 내용을 더 늘리고, 또한 개념도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국민공통기본과정에서 디자인교과 개설이다.
도시라는 틀 속에서 개인의 삶과 사회적 문화를 위한 공공디자인의 발전을 위해서는 디자인생산자는 물론 질 높은 디자인 소비자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 가장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교육을 통하는 것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디자인 소비자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장차 프로슈머가 될 학생들로 하여금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하고 직접적인 디자인적 요소와 미적체험을 통하여, 도시 생활의 현장 속에서 문화로서의 공공디자인을 향유하며, 나아가서는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 할 수 있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In the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Korea has lagged behind in public design while the large business-oriented private design has developed an accelerating rate, and therefore improvement in public design is required.
For the last few years, public design has become the main political subject of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eoul City and finally it became the parliamentary project which is called, "Design Korea". Now the public authority is able to take the lead in public design projects and has realized the way to apply design into the business of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which are usually related to its citizens’ life.
The public design which deals with the publicness is a design act carried out politically by public institutions but it should be mutually built by every member of the society based on social agreement because of the attribute of publicness.
In short, when the awareness and view on public design of a design producer such as a nation and a public institution, and of a design consumer like individual has somewhat similar standard, the agreement may be reached without friction. Here, what is a problem is that the ordinary citizens are unfamiliar with public design or their attitude does not reach the expected level even though Korean public design is activated to be adopted as national or administrative issues. Accordingly the ordinary citizens need to promote consciousness level and appreciation of public design. To this end, firstly the design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level of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as a general education for design consumers and in there the public design education should be public.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into theoretically public design, analyzed the contents and present condition in the design domain of in the art subject of general high schools, and presented teaching and studying plans based on questionnaire about public design.
Author(s)
김영흔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공공디자인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3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71
Alternative Author(s)
Kim, Young He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Advisor
김선화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 2
Ⅱ. 이론적 고찰 = 3
1. 공공디자인의 이해 = 3
가. 공공디자인의 개념 = 3
나. 공공디자인의 범위 = 4
2. 공공디자인의 사례 분석 = 9
가. 공공디자인에 대한 정책 = 9
나. 공공디자인 요소별 사례 = 15
Ⅲ. 일반계 고등학교 미술교과에서 공공디자인 영역 = 25
1. 미술교과에서 디자인영역 분석 = 25
가. 미술교과의 영역 구성 = 25
나. 미술교과서의 디자인 영역 내용 = 27
2. 미술교과서에서 공공디자인 영역 = 28
가. 교과서에서 공공디자인 영역 현황 = 28
나. 출판사별 미술교과서의 공공디자인 단원 세부 내용 = 29
다. 출판사별 미술교과서의 공공디자인 영역 분석 = 38
Ⅳ. 공공디자인 교수ㆍ학습 방안 = 39
1. 공공디자인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 39
가. 조사 개요 = 39
나. 조사 분석 = 40
다. 분석 결론 = 49
2. 공공디자인 교수ㆍ학습지도예시 안 = 52
가. 단원의 개요 = 52
나. 단원 설정의 이유 = 52
다. 수업 모형과 흐름 = 52
라. 단원의 지도계획 = 53
마. 단계별 교수ㆍ학습 과정 = 54
바. 강의 자료 = 58
사. 과제 제출물 예시 = 59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4
【부록】 설문지 = 6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