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백제지역 석탑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tone Stupa in Baekje Area : Focused on Buyeo, Iksan
Abstract
현재 백제시대 건립된 백제석탑으로는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익산의 미륵사지 서석탑을 들 수 있다. 이 두기의 석탑은 백제석탑의 범주를 벗어나 더 넓게는 한국석탑의 시원기 양식으로, 이후 건립된 정형석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현재 석탑연구가 주로 경주지역에 건립된 신라석탑 양식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한국석탑의 일반적인 흐름에서 제외된 측면이 적지 않다.

이에 따른 결과로 이 두 석탑의 영향을 받아 옛 백제지역에 건립된 석탑들은, ‘백제계석탑’이라는 범주 안에서 건립연대가 고려시대로 편년되고 있다. 하지만 분명 한국의 시원기 석탑을 발생시켰고 뛰어난 건축술을 가진 백제의 문화를 생각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제 멸망 후 고려가 등장하기 전까지 대략 300년간 기존의 ‘백제계석탑’으로 규정된 석탑의 건립이 단 한기도 없었는지, 혹 있었다면 어떤 석탑을 가정해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에서 시작하였다.

우선 사비시대의 융성했던 불교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부여와 익산에 건립된 백제백제계석탑과 그밖의 석탑을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륵사지 서석탑과 정림사지 석탑의 선후 문제를 다시금 살펴보았고, 미륵사지 사리장엄의 발견으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왕궁리석탑의 건립연대로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또한 고려시대 건립 된 ‘백제계석탑’으로 알려진 무량사 석탑은 같은 범주에 있는 금산사 오층석탑과 비교했으며, 장하리 석탑은 일본 석탑사 석탑 그리고 『日本書紀』 기사와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Author(s)
전지혜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백제석탑 정림사지 석탑 미륵사지 서석탑 왕궁리 오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무량사 오층석탑 백제계석탑 석탑 백제양식 석탑 석탑의 건립연대 백제지역석탑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3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74
Alternative Author(s)
Jun, Ji Hye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학과
Advisor
이근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현황 = 1
2. 연구목적 = 6
Ⅱ. 부여지역의 석탑 = 12
1. 정림사지 오층석탑 = 13
2. 무량사 오층석탑 = 27
3. 장하리 삼층석탑 = 36
4. 그밖의 석탑 = 41
Ⅲ. 익산지역의 석탑 = 54
1. 미륵사지 서석탑 = 54
2. 왕궁리 오층석탑 = 67
3. 그밖의 석탑 = 78
Ⅳ. 두 지역석탑의 종합적 고찰 = 81
1. 백제석탑의 형성 = 81
2. 왕궁리 오층석탑의 건립연대 = 91
3. 백제계석탑의 건립연대 = 101
Ⅴ. 결론 = 11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사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