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지역 제빵류의 조지방 중 트랜스 지방산 및 포화지방산 함량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Trans fatty Acids and 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among Crude Fat of Bakery Foods in Busan Province
Abstract
부산지역의 중소 제과점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식빵류(bread) 9건, 도우넛류(dougnut) 11건, 카스텔라류(castella) 4건, 패스트리류(pasty) 22건, 케이크류(cake) 17건, 파이류(pie) 10건, 과자빵류(sweet bread) 16건 등 7종 89건에 대해 조지방을 추출하고 이것을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트랜스 지방산 및 포화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료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카스텔라류가 1회제공 기준량(70 g)당 0.1±0.0g으로 가장 낮았으며, 패스트리류는 0.4±0.2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89건 모두 조지방 중 트랜스 지방산 함량이 5%이하로 식약청의 권장기준 이내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 함량은 도넛류와 카스텔라류가 각각 1회 제공기준량(70 g)당 5.8±1.8 g과 5.8±3.1 g으로 가장 낮았으며, 패스트리류는 11.7±3.4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트랜스 지방산과 달리 포화지방산의 함량에 있어서는 1회 제공기준량(70 g)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포화지방산 1일 섭취 권장량인 15 g을 초과하는 시료가 패스트리류는 5건, 과자빵류,케이크류 및 파이류는 각각 1건으로 총 89건 중 8건이 권장량을 초과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카스텔라류가 15.6±5.5%로 가장 낮았으며, 패스트리류는 25.0±7.5%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지방 중의 포화지방산 함량은 28.61-93.01%로 다양하였으나 이들 중 포화지방산이 조지방의 50%이상을 차지하는 시료는 총 89건 중 79건으로 대부분의 시료의 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s)
정재훈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4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79
Alternative Author(s)
Jeong, Jae H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산교육전공
Advisor
김선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4
1. 실험재료 = 4
2. 실험방법 = 6
Ⅲ. 결과 및 고찰 = 10
1. 트랜스 지방산 및 포화 지방산 함량 = 10
2. 조지방 및 포화 지방산 함량 = 26
Ⅳ. 요약 = 37
Ⅴ. 참고문헌 = 3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산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