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서당과 현대 초등학교 인성교육 비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ison Between the Character Education Seodang and Modern Elementary School
Abstract
우리 교육의 문제는 세계화가 주장하는 상호 경쟁과 투쟁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경쟁의 과다에 있다. 왕따 문제, 학교 붕괴 문제도 결국 학생 상호간의 경쟁에서 비롯된 것이다. 경쟁은 동일한 연령층의 아이들을 함께 가르치는 데서 비롯된다.
위 문제에 착안하여 오늘날 초등교육에 비추어 서당에 대해 알아보며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서당은 고구려 시대 경당에 그 기원을 둔 사설교육 기관으로 우리나라 백성들의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서당은 훈장, 접장, 학도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그 중에서 접장의 역할은 오늘날 상호학습이나 협동학습 운영 등에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서당의 교과목이나 교재 등은 오늘날 초등교육과정의 요소 중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서당은 그 교육과정 운영상에도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교육과정이란 서양의 쿠레레(currere)란 어원으로부터 출발했다. 경기코스, 트랙, 나아가 수행해야 할 교수 과목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에서 학생에게 어떠한 교육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일정한 수준의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 놓은 공통적인 기준을 교육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서당은 이러한 공통적인 기준에서도 그 형태가 자유로웠으며 수준별 학습이 가능했다. 또한 학습자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계절,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융통성 있게 교육과정을 운영했다.
서당에서의 교육방법을 살펴보면, 계절에 따라 배우는 과목, 흥을 돋구는 방법 등 다양한 교수법이 구사되기도 하였다. 이는 교육의 전체적인 면이 삶의 과정과 직결되었기 때문이다. 즉 교육은 아동들이 지겨워하는 활동이 아니라 재미있게 즐기는 활동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놀이학습과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오늘날 초등학교에서 활용할 만한 면이 많다. 승경도(陞卿圖) 놀이, 고을 모둠 놀이, 초 · 중 · 종 놀이, 대구(對句) 맞추기, 자(子)맞히기, 화승작(火繩作), 어사(御使)놀이, 괘(掛)짓기, 엽운(葉韻), 투호례(投壺禮) 등의 활동은 교육이라는 측면보다는 즐거운 활동이라는 생각이 아이들의 머릿속에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초등교육을 운영함에 있어서도 공부라는 단어가 지겹고 힘든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즐겁게 지내는 것이 바로 공부라는 생각을 갖게 해 주어야 한다. 유희나 놀이를 학습과 관련시켜 지식과 삶을 터득하게 하는 것이 바로 오늘날 교사 다시 말하자면 훈장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골모듬이, 비슷한 글자 맞추기, 수가지 놀이, 제기차기, 얼음지치기, 자치기, 씨름, 여름끌, 땅뺏기 놀이 등은 학습이 아닌 놀이로써의 교육을 이룬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도 서당에서 활용되었던 여러 가지의 방법 등을 활용한다면 우리가 현재 고민하고 있는 집단 따돌림에 대한 해법도 얻을 수 있으며 완전학습에 대한 수업방법이나 철학 등을 재정립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육의 방법 면에서도 또한 개접례(開接禮), 괘책례(掛冊禮), 백일장, 장원례 등의 방법을 현대의 모습에 활용한다면 아동들의 흥미를 살려가며 좋은 교수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현대 교육적 측면에서 비추어 교육적 의의를 찾아본다면 서당의 교육은 첫째, 수준별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둘째, 활발한 상호작용에 기초한 대화학습을 진행하였고, 자기 주도적 완전학습을 꾀했다. 또한 협동학습과 놀이학습을 중시하며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했다. 셋째, 서당의 교육목표는 오늘날에도 중요한 지,덕,체의 균형있는 조화였다. 한 부분이 소홀함이 없이 골고루 발달되도록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넷째, 서당은 인성교육에 근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아동들을 훈육했다. 다섯째, 획일적인 방법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평가 방법을 취함으로써 전인적인 면의 고른 평가가 되도록 하였다.
우리 교육사에서 범계급적인 서민초등교육기관인 서당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서당교육의 여러 가지 특징들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과 연관성이 많다. 특히 초등교육에서 추구하는 전인교육은 서당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교육인 서당의 교육방법, 평가방법, 훈육방법 등을 현재 초등교육에 적용한다면 지금 현재 초등학교에서 당면한 많은 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principle, the goal of education lies in the completion of personality. Appropriate education for personality is needed at all levels of the curriculum at school. In particular, primary schools are designed for holistic education, and these days, it seems very difficult to conduct holistic education at school.
There are three key reasons for this situation among others.
First, personality education is not possible to be made by school alone, but it should go hand in hand with family, which is actually hard.
Second, in this era when entrance to university is regarded as the ultimate goals of school, what is required of school is to raise students’ performance, which focuses on intellectual education only.
Third, schools have too many students in a class for desirable personality education. The success of personality education comes from a good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 teacher, but overpopulated classes make the teacher have such a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student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how can we solve these problems?’ Considering that an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educational institutes, seodang will result in good solutions, we bega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personality education at seodang,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s related to the Korean education history and history of Korean thinking and previous studies on the seodang education to look into the content and methods of personality education especially used at seodang and investigated holistic education aspects in the modern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and compared personality education at seodang with that of primary school today in order to suggest solutions to apply to primary school personality education today.
As a result, holistic education methods used at seodang which can be applied to primary school holistic education include the following: first, flexible operation of curriculum by level, second implementing various learning-teaching methods such as dialogue learning, self-driven learning, complete learning, play learning, third, emphasis on balance and harmony of knowledge, virtue and health, fourth, various applying various humanity education methods, and finally diverse types of evaluations, not a uniformed method, to assess holistic aspects.
Author(s)
서석훈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4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85
Alternative Author(s)
seo, sek hoo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Advisor
조세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Ⅱ. 전통 서당의 인성교육 = 4
1. 교육내용 = 4
2. 교육평가 = 13
3. 훈육과 예법지도 = 17
4. 교육과정의 특징 = 21
Ⅲ. 현대 초등학교의 인성교육 = 24
1. 교과 교육 = 24
2. 특별활동 = 25
3. 재량활동 = 27
4. 생활지도 = 29
5. 교육과정의 특징 = 30
Ⅳ. 현대 초등학교에서의 적용 가능성 = 32
1. 교육과정의 다양화 = 32
2.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 = 36
3. 훈육지도방법의 다양화 = 40
4. 교육평가의 다양화 = 46
Ⅴ. 결론 = 4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