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소설의 구성주의적 교육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Bildungsroman Education in Constructivism : Focusingon「The Bicycle Thief」
- Abstract
- 이 논문에서는 그간 소설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지 못했던 성장소설을 대상으로 성장소설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실 환경에서 학생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문학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적 이론의 통합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를 중시하는 구성주의 문예학과 사회 구성주의 관점에 따른 의미 구성 과정을 살펴보고, 성장소설의 내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교수·학습 방법을 논의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학교육으로서의 성장소설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장소설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그 개념을 먼저 정립한 후, 성장소설이 가지는 서사적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실제 교수·학습을 적용할 작품인 「자전거 도둑」의 이야기 전개와 이 작품에서 인물이 겪는 성장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성장소설의 교육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구성주의 관점을 바탕으로 개인적 의미 구성 과정과 사회적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 성장소설이 인물의 성장 과정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에 주목하여 실제 텍스트를 파악하는 개인적 탐구 과정에서 필요한, 인물을 중심으로 한 소설 이해의 단계를 제시하였다.
이어 Ⅳ장에서는 앞서 살펴 본 교수·학습의 이론적 모형을 실제 성장소설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 방법과 절차를 구안해 보고, 이것을 실제 작품에 적용하였다. 실제 작품에의 적용은 김소진의 「자전거 도둑」을 대상으로 하였고, 한 학생이 쓴 독서일지를 바탕으로 실제 토의가 이루어졌을 경우를 가정하여 토의일지를 구상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실제 교수·학습 전략은 개인별 탐구 활동과 소그룹별 토의 활동을 통해 「자전거 도둑」에서 인물이 경험하는 성장 위기 파악하기, 성장의 위기를 겪은 후 인물의 행동 양상 파악하기, 인물에 동화하기, 인물의 성장 과정과 그 성장에 담긴 개인적·사회적 의미 파악하기 등의 의미 구성 활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등장인물의 성장 과정에 따라 개인별로 탐구한 내용을 독서일지에 기록하게 하는 것은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경험과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고,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인물과 자신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자신의 감상과 의문점에 대해 정리할 수 있게 한다.
개인별 탐구 활동 후에 실시하는 소집단별 토의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다른 학습자와 비교하면서 자연스럽게 작품에 대한 이해에 깊이를 더하고, 더욱 성숙한 감상 태도를 보이게 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품과 작가의 세계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성장소설의 특징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정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교수·학습의 절차와 전략, 방법을 구체적인 작품에 적용해 보았지만, 교실 현장에서 체계적인 실험 절차에 따라 검증해 보지 않았기 때문에 경험적 근거를 갖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학교 교육의 현실을 고려했을 때, 탐구 중심과 토의 중심의 교수·학습에 많은 시간을 도입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 있다. 특히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 활동 내용과 차시를 고려한다면, 앞 장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활동을 교실 현장에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성장소설의 교육적 가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노력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나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활동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 작품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고안해 낼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활동들은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또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발달 단계에 맞추어 제시되어야 한다. 같은 성장소설 작품이라도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따라 성장의 과정과 그 과정이 내포하는 인식까지 도달하는 데는 차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 사회의 흐름에 따라 학습자들의 의식 수준도 변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성장소설의 가장 큰 가치는 학습자들의 가치관 성장에 있으므로 항상 학습자를 우위에 두어야 함을 반드시 유념해야한다.
성장소설은 어떤 소설 장르보다 학습자인 청소년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므로 문학교육의 장에서 적극적인 제재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는 활동들이 더 깊은 연구를 통해 계속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have been differentiated by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As every curriculum have a reflection of the paradigm of each era, so literature education does. Although each era needs its own education purpose, there is permanent education purpose which exists continually without being prevented from each era. It should be what ultimately encourages personal maturity and sociality from the past to now and finally it plans to establishing students' desirable identity.
Though the education purpose for students' maturity does stand definitely, present education systems force teachers' one way thinking or focus on analyzing texts. It is so abstract or schematic that students recognize literatures as being static and fixed and this way could not make them reach the ultimate purpose.
Th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make students' identity to be situated through the opposition and comprehension which they could experience in materialized life spot, and an Bildungsroman might be a good method to let it do.
The Bildungsroman tell the incident through using person viewpoint that a character sees all things by in it's story. Once the character sees things through that viewpoint that he has and it proceeds continually, not only have readers empathy with him but also fall into the story easily. Moreover the story deals with the character who is in his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 readers who are in those period could be more simply assimilated to his thinking and emotion. This setting of the Bildungsroman triggers the readers to be immersed in the story and it stimulates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 highly with helping formalize their positive reading attitude.
There are so many initiation storie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 books now in use and many adolescence readers might read them usually to grope for their identity and look back on their growth process. But it has a serious problem that the character who is in the story as a growth role model is not from korean literatures but from foreign literatures. So the education and comprehension about our country's literatures is needed in order to straighten this situation, but educating stories way now in use is still short of acknowledging to solve it. Finally, the thesis going on from now is to search strategies and contents of educating and learning an Bildungsroman through considering literature theories and reading theories.
- Author(s)
- 주해영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성장소설 구성주의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35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189
- Alternative Author(s)
- Ju, Hae Ye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Advisor
- 송명희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선행 연구 검토 = 4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12
Ⅱ. 문학교육에서의 성장소설 = 16
1. 성장소설의 개념과 서사적 특성 = 16
2. 성장소설의 교육적 의의 = 21
3. 성장소설로서의 「자전거 도둑」 = 24
가. 『자전거 도둑』의 성장소설적 특성 = 25
나. 인물의 성장 과정 분석 = 28
Ⅲ. 성장소설 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 36
1. 구성주의 문예학 = 36
2. 의미 구성 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모형 = 41
3. 인물 중심의 교수·학습 = 48
가. 인물을 중심으로 줄거리 정리하기 = 49
나. 인물의 성장 위기 파악하기 = 51
다. 인물의 현실 대응 양상 파악하기 = 51
라. 인물과의 동화에 의한 내면화하기 = 52
Ⅳ. 성장소설 교수·학습 방안과 적용 = 54
1. 성장소설의 교수·학습 모형 = 54
가. 교사의 안내와 시범 = 56
나. 발견적 읽기와 의미 구성 = 59
다. 해석적 읽기와 의미 구성 = 64
라. 비판적 읽기 = 69
2. 성장소설의 교수·학습 방안의 적용 = 70
가. 1차시 :안내하기 단계 = 73
나. 2차시 :발견적 읽기와 의미 구성 단계 = 76
다. 3차시 :해석적 읽기와 의미 구성 단계 = 87
라. 4차시 :비판적 읽기 단계 = 95
Ⅴ. 결론 = 100
※ 참고문헌 = 10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